한의학박사 이재성의 채널. MBC 생방송 오늘아침 패널(2014~2019), MBC 라디오동의보감 진행자(2002~2006)
▶ 이재성 박사의 최근 저서
『식탁보감 1권』, 『식탁보감 2권』, 『임신을 위한 힐링』, 『살찌지 않는 습관』, 『우리 가족은 안녕하십니까』, 『우리 아이가 생겼어요』
▶ 난임극복 임신교실 (유튜브)
youtube.com/channel/UCkEscKfmiRaEWfDf2MaBrNw
▶ 이재성 박사의 식탁보감 (카카오스토리)
story.kakao.com/ch/ihopebaby
▶ 이재성 박사의 당뇨탈출 (밴드)
band.us/@dangtal
▶ 이재성 박사의 식탁보감 (밴드)
band.us/@sikbo
▶ 난임극복 임신교실 (블로그)
ihopebaby.tistory.com/
▶ 난임극복 임신교실 (카페)
cafe.naver.com/ihopebaby
Disclaimer
본 채널의 모든 컨텐츠는 논문 고찰, 발표된 자료, 그간의 공부 내용, 개인적인 경험 등을 토대로 만든 개인적인 의견이며 이후 새로운 사실이 밝혀지면 달라질 수도 있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저는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더 많은 사람입니다. 본 컨텐츠는 의학적인 진료를 대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내용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특히 질환이 있는 분들은 담당 의료인의 지도를 따르는 것이 안전합니다. 따라서 본 채널의 모든 컨텐츠에 대하여 시청자 본인의 선택과 판단이 요구되며 그에 따른 결과에 대해 저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음을 밝혀둡니다.
이재성 박사의 식탁보감
[카스 올제로 댓글 이벤트]
안녕하세요, 식탁보감 유튜브 댓글 이벤트에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여 방법 : 해당영상(논알콜 VS 무알콜) 좋아요 누르기 > 퀴즈 정답을 영상 댓글로 달기 > 아래 이벤트 신청 폼 작성
📌참여 기간 : 10월 29일 ~ 11월 5일
📌경품 : 카스 올제로 1box(24개입)
📌아래 폼 제출해주시면 추첨을 통해 10분께 소정의 경품을 제공해드립니다.
📌당첨자 발표 : 11월 14일 당첨자 개별 문자 안내
📌경품 발송 시점 : 11월 중
📌아래 구글 폼을 11월 5일(수)까지 제출해주세요!
(구글 폼 링크 : forms.gle/Mf4nxbRgzs6mwoL9A)
youtube.com/shorts/K_T8_mmqvE0
3 weeks ago (edited) | [YT] | 82
View 4 replies
이재성 박사의 식탁보감
제가 잠시 호주에 나왔는데요,
여기서는 ‘리브레 프리스타일2 plus’를 온라인으로 첫 구매할 때
15불에 살 수 있었어요.
냉큼 사서 붙여봤습니다.
붙이면 확실히 신경을 더 쓰게 됩니다.
그렇다고 스트레스 받지는 않아요.
그냥 그러려니..
하면서 저를 관찰합니다.
”무엇을 어떻게 먹고 언제 움직여야 하는지“를
다시 한 번 마음에 새기면서 말이죠.
지난 2주 간의 성적입니다.
지역이 호주이다 보니
혈당수치의 단위가 한국처럼 mg/dl 가 아니라
mmol/L 입니다.
15일 중에
목표 범위 10 mmol/L(=180 mg/dl)을 넘어갔던 시간이
1% 정도였네요.
15일간 혈당측정 결과
예상 당화혈색소 수치는 5.4%
이것은 평균혈당이
약 107.3 mg/dL (6.0 mmol/L)
이 정도로 추정된다는 뜻입니다.
늘 경험하는 거지만
밥을 먹고 나서 바로 차를 타면
180 mg/dl 을 쉽게 뚫고 올라갑니다.
밥, 빵, 면 같은 탄수화물 위주의 식사를 했을 때죠.
(그게 나쁘다는 뜻은 아니에요)
그래서 저는
밥 먹고 어쩔 수 없이 바로 차를 타게 되면
크루즈컨트롤 세팅하고
다리를 들썩들썩,
무릎을 접었다 폈다,
하기도 합니다 ㅎ
당화혈색소는 5.7% 를 넘으면 당뇨전단계,
6.5%를 넘으면 당뇨병으로 진입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번 15일 동안의 혈당측정 결과에서
5.4%의 추정치가 나왔다는 건
비교적 혈당관리가 잘 되었다는 뜻이기는 한데..
그렇게 살면 확실히 살이 좀 빠집니다.
저는 워낙 호리호리한 몸매라서
여기서 살이 더 빠지면
좀 불쌍해지거든요.
저는 살 빠지기 싫어요 ㅠ
저는 좀 적당히 살아야 하겠습니다.
걷는 시간도 좀 많았거든요.
*두 기기 모두 사용 소감 :
덱스콤G7은 10일간 사용이고
리브레는 15일간 사용가능한데,
리브레는 중간에 신호가 끊기는 일이 좀 생기네요.
기기와 연동되는 순정앱은
두 가지 모두 UI가 썩 만족스럽지는 않습니다.
덱스콤G7은 ‘카카오파스타’라는 앱과 붙여서 사용하면
훨씬 더 좋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기기들은
1형 당뇨병이 아닌 경우라면
그저 자신을 알아가는 도구일 뿐입니다.
해보면 10일로도 충분한 것 같습니다.
6 months ago | [YT] | 148
View 16 replies
이재성 박사의 식탁보감
기분 좋아요! 근처 백화점에서 “가열조리용” 표시가 없는 굴 발견했어요. 찾아보면 이런 것도 있다니깐요. (PPL 아님)
알이 실하네요. 오늘 저녁은 바로 매생이 굴 떡국으로 갑니다.
맛있게 먹고나서 바로 동네 한바퀴 산책하겠습니다.
길거리에서 저 보시면 반갑게 인사해요🥰
라벨에서 눈 크게 뜨고 뭘 봐야하는지는 아래 영상 참고하세용.
굴 먹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것, 영상입니다.
youtube.com/shorts/WnpciMm2Nf...
11 months ago (edited) | [YT] | 281
View 17 replies
이재성 박사의 식탁보감
며칠 전 광화문 근처 내수동 골목길을 거닐다가
눈길을 사로잡는 싸인을 하나 발견했지요.
맛있는 디카페인 커피. 그 새로운 경험.
그럼 또 얼마나 맛있을지
궁금하잖아요.
그래서 쑥 들어갔지요.
경험하러.
“여기 디카페인 커피는 어떤 공법으로 카페인을 제거했나요?”
주인장은 살짝 당황한 듯 안 한 듯
“어, 음, 사탕수수로 하는 건데, 에틸… 뭐로 8번 추출했다고 해요.”
“아, 그럼 워터 공법, 그니까 물 추출, 이런 건 아닌가보네요.”
“네, 물 추출하고는 좀 다른 공법이라고 하더라고요.”
“아, 그럼 에틸.. 뭐.. 라는 용매를 가지고 추출한 건가봐요.”
“네, 그런 것 같습니다..”
살짝 실망스러웠습니다.
용매추출법은 커피원두에 용매가 남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어서요.
초임계 이산화탄소 공법까지는 아니어도,
내심 스위스워터 공법이나
마운틴워터 공법으로 카페인을 제거했다면
좋은 거라고 생각했었거든요.
‘용매추출이라? ......
그래도 맛있다니까,
새로운 경험이라니까’
디카페인 싱글 오리진을 주문했습니다.
콜롬비아산 원두라고 써있었습니다.
홍차, 황설탕, 꿀의 향미가 있다는.
괜찮았습니다.
막 눈이 둥그래질만큼은 아니었지만.
괜찮은 커피집인지 더 시험해보고 싶었습니다.
“저, 이 디카페인 원두가 어떤 브랜드의 원두인가요?”
“아, 생두 말씀이세요? 저희는 카페노갈레스 원두를 쓰고 있어요.”
빠르게 검색 들어갔습니다.
제가 ’국가공인검색사‘라서요. (그런 거 없음 ㅋ)
카페노갈레스는 커피 원두의 품종이 아니라
콜롬비아 원두를 수입해서 유통하는 회사 이름이었어요.
웹사이트에 들어가보니
아마도 제가 마신 커피의 원두는
콜롬비아의 우일라(Huila) 지역에서 재배된 커피인 듯 했고요,
어떤 공정으로 카페인을 제거한 원두인지 설명되어 있었습니다.
“Sugarcane decaffeinated”
즉, 사탕수수로 카페인을 제거한
아하, 사탕수수에서 유래하는
에틸 아세테이트(에틸초산)를 용매로
카페인을 제거하는 공법이었어요.
에틸초산이라면
이건 에탄올 + 초산(식초 성분) 화합물로서
설령 조금 잔류한다 하더라도
별 걱정 없는 물질이었습니다.
최근에 ”디카페인 커피에 발암 물질이 남아있다“는
괴담이 또 돌았던 거 같아서요.
얼마 전 제가 영상 올렸던
에어프라이어 발암물질 괴담처럼요.
기회가 되면
디카페인 커피의
카페인 제거 공정에 대해서 한 번 다뤄보겠습니다.
여러분도 디카페인 커피를 취급하는 커피숍에 가시면
어떻게 카페인을 제거한 원두인지
한 번 슬쩍 물어보세요.
주인장이 커피에 얼마나 진심인지 슬쩍 엿볼 수 있을 겁니다.
#디카페인 #커피 #커피투어
1 year ago (edited) | [YT] | 728
View 57 replies
이재성 박사의 식탁보감
또 하나 찾았어요. 순수한 플레인 요거트.
분유 아니고 원유에 유산균만 넣고
다른 건 하나도 안 넣은 순수한 요거트.
원유 99.99%.
저 순수한 거 좋아해요.
맛은 달지 않고 고소하며 살짝 새콤.
다만, 어떤 균주를 사용했는지 밝히고 있지 않아요.
매일유업 #상하목장유기농요거트 는 그래도 어떤 균주를 사용했는지 밝혔는디.
.
#PPL아님 #내돈내산 #플레인요거트 #서울우유
1 year ago | [YT] | 911
View 68 replies
이재성 박사의 식탁보감
요거트의 신 맛은 왜 중요할까요?
유산균은
우유에 들어있는 유당을 먹고나서
유산을 뱉어냅니다.
유산을 만들기 때문에 유산균이라고 하는 거에요.
유산, 다른 말로 젖산(lactic acid)인데요,
'산'이라서 맛이 십니다.
그러므로 요거트가 시다는 것은
발효가 잘 되었다는 뜻입니다.
유산 뿐 아니라 초산, 구연산 등의 각종 유기산은
혈당이 오르지 않게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요거트의 신 맛은
중요한 맛입니다.
그저 달기만 한 건.. 노 노
하지만 그 맛의 '산' 성분은
입에 그대로 남으면
치아의 에나멜 층을 손상시킬 수 있어요.
그러므로 신 거 먹고 나서는
입안을 맹물로 헹구는 것,
잊지마셔요.
어떤 요거트를 고르는 것이 좋은지는
아래 링크 영상에 정리해두었습니다.
https://youtu.be/19phVQswFEY
.
.
1 year ago | [YT] | 188
View 6 replies
이재성 박사의 식탁보감
일주일에 두 컵 이상 먹으면 당뇨 예방에 도움 된다는 그 음식, 글로 정리한 겁니다.
영상은 여기에 있고요. https://youtu.be/D1mlLux6PIw
1. “일주일에 2컵 이상 먹으면 당뇨병 위험이 줄어든다”는 기사가 일제히 쫙 떴음.
m.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m_news&query…
2. 메이저 언론사들인데 제목이 죄다 다 비슷했음.
3. 다 다른 기자가 쓴 건데 기사 내용도 문구도 꽤 유사함.
4. 지금이 2024년인데 기자들은 일제히 2014년에 발표된 연구 결과를 소개했음.
5. 기사에, 이런 연구는 이전부터 있었고 2014년에 미국의 프랭크 후 교수가 요거트가 당뇨 발생 위험을 줄인다는 내용을 학술지 ‘서큘레이션 Circulation’에 발표했다고 함.
6. 서큘레이션을 뒤져봤더니 거긴 초록만 포스터로 발표한 거였고, 정작 논문은 BMJ 라는 학술지에 실렸었음.
7. 어디에 실렸다는 건 뭐 중요한 건 아니라고 생각함.
8. 다만 기자들이 다들 외국 자료 한 가지를 참고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긴 함.
9. 일주일에 두 컵 먹으면 당뇨병 위험을 줄인다는 그 음식은 바로 요거트.
10. 신문사들은 대부분 이걸 미국 FDA가 ‘인정’했다고 타이틀을 뽑음.
11. 미국 FDA의 문건을 찾아봤음.
www.fda.gov/food/cfsan-constituent-updates/fda-ann…
12. 지난 2024년 3월 1일에 발표된 것임. 따끈따끈.
13. 미국에는 일반 식품에도 건강/질병 관련된 문구를 표시할 수 있음.
14. 이 문구를 헬스 클레임(Health Claim)이라고 함.
15. 미국 식품에 표시할 수 있는 헬스클레임(Health Claim)은 과학적 근거가 충분한지에 따라 QHC와 AHC의 두 가지 수준으로 나뉨.
16. QHC는 Qualified Health Claim, 과학적 근거가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자격이 있는 주장.
17. AHC는 Authorized Health Claim, 상당한 과학적 근거가 있어 권위를 갖는 주장.
18. 2018년에 세계적인 요거트 제조사인 다논(Danone)은 미국 FDA에 요거트 제품에 “요거트 섭취가 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Health Claim을 쓸 수 있게 해달라고 117개의 자료를 제출하며 청원을 함.
19. 2018년에 낸 청원에 대한 응답을 미국 FDA는 2024년 3월에 한 것임.
20. FDA는 회신 서한에서 “요거트 섭취가 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문구를 요거트 업체가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not intend to object to ~ 한다고 함.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nnounced today in a letter of enforcement discretion that it does not intend to object to the use of certain qualified health claims regarding the consumption of yogurt and reduced risk of type 2 diabetes, provided that the qualified health claims are worded so as not to mislead consumers, and that other factors for the use of the claim are met.
21. ‘object to~’ 는 반대한다는 뜻, 그 앞에 ‘not intend to’ 가 붙었으니 ‘반대할 생각은 없다’는 뜻.
22. 즉, 그 문구 사용을 허용해준다는 뜻.
23. 어떤 문구냐면,
“Eating yogurt regularly, at least 2 cups (3 servings) per week, may reduce the risk of type 2 diabetes. FDA has concluded that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supporting this claim.”
“Eating yogurt regularly, at least 2 cups (3 servings) per week, may reduce the risk of type 2 diabetes according to limited scientific evidence.”
24. 앞 부분을 대략 번역하면 “적어도 일주에 2컵 이상(3인분) 요거트를 규칙적으로 먹으면 2형 당뇨병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25. 다만 “과학적인 근거는 제한적이다”라는 문구도 반드시 같이 써야 함.
26. “단정할 수 없다”는 뜻.
27. 즉, AHC가 아니라 QHC에 해당됨. 그래도 그게 어딘가!
28. 어쨌거나 미국 FDA가 요거트의 효과를 ‘인정’했다기보다는 문구 사용을 ‘허용’했다는 것. 과학적 근거가 제한적이지만.
29. 미국에선 식품일 뿐인 요거트의 라벨에 감히 ‘당뇨병’이라는 단어를 쓸 수 있음.
30. 우리나라에선 일반 식품은 물론이고 건강기능식품에도 질병이나 증상에 관한 단어를 쓰면 혼남.
31. 어떤 식품이 장기적으로 질병 예방 효과가 있는지, 그 판단의 근거로 삼게 되는 연구는 대개 ‘관찰연구 observational study’
32. 어떤 특정 인구집단(코호트)을 대상으로 “요거트를 얼마나 자주 먹는지”를 설문조사를 하고 응답자는 자신의 기억을 회상해서 답을 적게 됨.
33. 그리고는 장기간 동안 그들을 관찰함. 요거트를 자주 먹은 사람들과 적게 먹은 사람들에게서 당뇨병이 얼마나 생기는지.
34. 근데 이때 사람들한테 특정 요거트를 얼마나 자주 먹으라고 관여할 수가 없음. 이게 임상시험과 큰 차이.
35. 근데 이 세상에는 요거트의 종류가 정말 많음.
36. 들어있는 유산균도 다르고, 원유로 발효시킨 거, 혼합분유로 발효시킨 거, 저지방 우유로 만든 거, 전지우유로 만든 거, 순수하게 우유만 발효시킨 게 있는가 하면, 설탕, 감미료, 향료, 색소, 증점제 같은 첨가물을 넣은 것도 있음.
37. 그러니 어떤 연구에서는 요거트 자주 먹은 사람들은 당뇨병 발생이 적었다 하는데, 또 다른 연구에는 무의미하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함.
38. 근데 요거트 자주 먹은 사람들이 당뇨가 덜 생긴 건 그게 꼭 요거트 때문이 아닐 수도 있음.
39. 요거트를 규칙적으로 먹는 사람들은 평소에 건강한 식생활을 하려고 신경 쓰는 사람들일 수 있음.
40. 요거트 때문에 당뇨가 덜 생긴게 아니라 식단 관리를 잘 해서 그런 걸 수도 있음.
41. 그래서, “요거트가 당뇨 발생 위험을 줄인다”라고 딱 단정지을 수는 없음.
42. 그래도, 미국 FDA가, 비록 과학적인 근거가 충분치는 않지만, 이런 문구를 허용했다는 건 상당히 그럴 법하다는 뜻.
43. 그런데, 미국에서는 설탕을 첨가했건, 저지방이건, 고지방이건.. 아무 요거트에나 다 이 문구를 쓸 수 있게 허용하는 것 같음.
44. 시간이 지나면 언제가 미국FDA의 지침이 바뀔 수 있다고 생각됨.
45. 요거트, 당뇨 염려된다면 반드시 가려먹어야 함.
46. 우리나라에서 시판되는 별의별 요거트 중에는 당뇨인들이 주의해야 하는 요거트가 있음.
47. 뭘 주의해야 할지, 당뇨병 발생 위험 감소에 도움이 될 법한 요거트 고르는 법, 곧 영상으로 만들겠음.
.
1 year ago (edited) | [YT] | 461
View 31 replies
이재성 박사의 식탁보감
곽진언의 노래를 들으며
눈발 날리는 탄천을 산책했고
납작귀리에 물 부어 렌지 2분 돌리니
훌륭한 귀리밥이 되었고
옳지! 아내가 당근라페를
냉장고에 쟁여두었고
외출했다 돌아온 아내가 또
분식집보다 맛있게 라면을 끓여줬고
짐에 가서
레그프레스 씨게 밀었고
뜨거운 탕에
어ㅎ- 소리를 내면서 몸을 담궜고
씽크대 옆 정수기에서
85도씨 따순물이 바로 나왔고
영국에서 사온 폴란드 컵에 카누를 풀어
일인 쇼파에 앉았고
폰으로 스피커에게
명령을 전송했고
국밥부장관 성시경의
달달한 노래가 나왔습니다.
딸은
자기방에서 쿨쿨 자고 있습니다.
심장은 규칙적으로 뛰고 있고
숨은 편하게 들락거립니다.
지금 여기가 천국입니다.
.
1 year ago | [YT] | 568
View 32 replies
이재성 박사의 식탁보감
감기 초기에 소금물을 가글을 하면 어떤 효과가 있는지, 근거를 들어서 간략히 글로 정리해봤어요.
글 보러 가기 --> mommom.me/18808/
2 years ago | [YT] | 344
View 18 replies
이재성 박사의 식탁보감
소금물 가글 할 때, 어떤 소금이 가장 좋을까.
감기 예방, 잇몸 질환 예방, 건강한 면역을 위한 소금물 가글법, 글로 정리했습니다. 어떤 소금을 얼마나 쓰는 것이 좋은지 등등. 비싼 소금 쓸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아래 링크에 싹 정리해두었습니다.
ㄴ mommom.me/18770/
2 years ago (edited) | [YT] | 213
View 7 replies
Lo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