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엔비디아 젠슨 황,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에게 직접 서신을 보내서 "GB300칩에 탑재될 HBM3E 12단 제품이 공식적으로 승인을 받았다"고 뉴스1이 보도
3)돈이 풀리니 미쳐 날뛰는 자산들: 금 값 4000달러 돌파, 비트코인 사상 최고치 돌파
4)정부의 적극적 재정 정책과 한미 관세 협상 난항으로 원달러환율 1420원
5)블룸버그 "이제 코스피가 한국의 최신 히트작이다"
6)골드만삭스 "아직 버블은 아니다. 기술주 상승은 이익에 기반하고 있고 상위 기업들의 재무가 견조하다. 밸류도 여전히 역사적 버블 수준에 미달해 있다. 다만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자. 전통적 가치주도 회복할 수 있다. 기술 인프라(에너지, 자본재, 전력망) 관련주도 관심 갖자"
7)BOA "미국 천연가스 미드스트림(액화, 운송 등)의 전성기가 온다"(미드스트림은 국내에서는 대표적으로 조선, 피팅, 공기압축기 제조사 등이 있음)
8)JP모건 "2025~2027년까지 초대형 데이터센터 운영 기업들이 총 1.2조달러의 자본지출을 할 계획이다"
9)오픈 AI가 AMD에 대규모 칩을 주문. 1GW 규모의 AMD MI450을 내년 하반기부터 공급할 예정 --> 이제 엔비디아 만으로는 GPU를 감당하기 어려움 --> 오픈 AI는 공급사 다변화라는 도박을 했음 --> AMD 핵심 HBM 공급사는 삼성전자라서 삼성전자의 수혜
10)모건스탠리의 반성문 "디램 가격 상승이 일시적일 줄 알았지만 아니었다. 공급이 구조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HBM이 디램을 잡아먹는게 아니라 디램이 HBM을 지탱하는 상황으로 변하고 있다. 마이크론 PER 22배줘도 된다(SK하이닉스는 8배에 불과)
11)젠슨 황 발언 "블랙웰 수요가 미쳤다"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생산능력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 "xAI(일론 머스크의 AI 기업)에 더 많이 투자하지 못해 후회된다"
12)오라클 이익률 압박: 엔비디아 고성능 칩을 대량으로 대여하고 있어 비용 부담 심각 + 고객에게 이를 대여하는 서비스에서 이익을 내기 어려운 상황 + 아마존, MS, 구글 등과의 경쟁 심호 + 엔비디아의 높은 가격 정책으로 클라우드 업체들의 수익성에 빨간불 --> 오픈 AI는 엔비디아 외에 AMD로 공급처 다변화 시작, 다른 업체들도 따라할지가 관건
13)골드만삭스 "AI 시대의 폭발적인 전력 수요를 감당할 핵심 에너지원으로 원자력을 지목하며, 차세대 SMR과 핵융합 기술이 지정학적 패권과 투자 기회의 중심이 될 것입니다. AI가 모든 것을 바꾸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가 원자력을 소환한 이유입니다."
14)일본 자민당 총재로 다카이치가 선출. 시장 예상 밖의 결과 "아베 노믹스처럼 적극적인 부양책을 펼칠 것. 이는 엔화를 약하게 만들고 일본 증시를 급등시킬 재료". 실제 일본 니케이 지수는 그녀가 당선되자 폭등
15)연휴 이후 국내증시 추가 상승 유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지난 1주일간 +3.42% 상승. 나스닥 지수는 +0.69% 상승. 마이크론은 +6% 급등한 상황 --> 국내 반도체가 차별화된 상승을 더 이어갈 가능성 높음. 특히 삼성전자는 오픈 AI의 AMD 칩 대량구매와 엔비디아 GB300에 공시적으로 HBM3E 12단을 승인받은 만큼 잃어버린 신뢰를 회복했다고 평가
안녕하세요. 염승환이사입니다. 추석 연휴 잘 보내고 계시죠? 저도 잘 지내고 있습니다. 이번 추석에도 방송은 쉬지 않습니다. 10월 3일부터 10월 11일까지 7개의 영상을 준비했습니다. 최근 시장이 아주 뜨거운데 반도체만 뜨겁지 많은 업종들이 아직은 차가운 상태입니다. 하지만 영원히 차가운 것은 없습니다. 차가울 때 뜨거움을 미리 준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연휴 함께배우기 영상과 함께하면서 연휴 이후의 주식 시장을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함께 배우고 함께 고민하시죠! 감사합니다.
P.S: 10월 10일 금요일도 제가 휴가여서 '시장 함께읽기'는 업로드 되지 않습니다. 시장 함께읽기는 10월 13일부터 다시 재개됩니다.
1)10월 3일 토요일 오전 10시: 반도체, 대세로 떠오른 HDD와 eSSD
2)10월 5일 일요일 오전 10시: 금 값 상승과 스테이블코인 시대의 도래(NAVER)
3)10월 6일 월요일 오전 10시: 시멘트 배우기(아세아시멘트)
4)10월 7일 화요일 오전 10시: 2027년 버블을 준비하자
5)10월 8일 수요일 오전 10시: 석유화학은 구조조정 중, 반격을 준비(롯데정밀화학, 금호석유)
6)10월 9일 목요일 오전 10시: 다시 보자, 대형제약사(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HK이노엔, 한미약품, 유한양행, SK바이오팜, 녹십자)
7)10월 11일 토요일 오전 10시: 자산운용사는 어떤 기업들을 살까(브이아이피자산운용 등)
염블리와 함께 [LS증권]
👀 댓글을 남기면 염블리가 답해드립니다 ! 👀
주식 투자에 관해 궁금한 점들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염승환 이사님이 질문을 뽑아 Live 방송에서 직접 답해드립니다!
그럼 10월 22일(수) 오전 10시 10분에 만나요!
4 days ago | [YT] | 141
View 136 replies
염블리와 함께 [LS증권]
👀 댓글을 남기면 염블리가 답해드립니다 ! 👀
주식 투자에 관해 궁금한 점들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염승환 이사님이 질문을 뽑아 Live 방송에서 직접 답해드립니다!
그럼 10월 15일(수) 오전 10시 10분에 만나요!
1 week ago | [YT] | 143
View 121 replies
염블리와 함께 [LS증권]
*연휴기간 있었던 일 들
1)미국증시 사상 최고가 행진 지속: 급등은 아니지만 완만한 상승 지속
2)엔비디아 젠슨 황,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에게 직접 서신을 보내서 "GB300칩에 탑재될 HBM3E 12단 제품이 공식적으로 승인을 받았다"고 뉴스1이 보도
3)돈이 풀리니 미쳐 날뛰는 자산들: 금 값 4000달러 돌파, 비트코인 사상 최고치 돌파
4)정부의 적극적 재정 정책과 한미 관세 협상 난항으로 원달러환율 1420원
5)블룸버그 "이제 코스피가 한국의 최신 히트작이다"
6)골드만삭스 "아직 버블은 아니다. 기술주 상승은 이익에 기반하고 있고 상위 기업들의 재무가 견조하다. 밸류도 여전히 역사적 버블 수준에 미달해 있다. 다만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자. 전통적 가치주도 회복할 수 있다. 기술 인프라(에너지, 자본재, 전력망) 관련주도 관심 갖자"
7)BOA "미국 천연가스 미드스트림(액화, 운송 등)의 전성기가 온다"(미드스트림은 국내에서는 대표적으로 조선, 피팅, 공기압축기 제조사 등이 있음)
8)JP모건 "2025~2027년까지 초대형 데이터센터 운영 기업들이 총 1.2조달러의 자본지출을 할 계획이다"
9)오픈 AI가 AMD에 대규모 칩을 주문. 1GW 규모의 AMD MI450을 내년 하반기부터 공급할 예정 --> 이제 엔비디아 만으로는 GPU를 감당하기 어려움 --> 오픈 AI는 공급사 다변화라는 도박을 했음 --> AMD 핵심 HBM 공급사는 삼성전자라서 삼성전자의 수혜
10)모건스탠리의 반성문 "디램 가격 상승이 일시적일 줄 알았지만 아니었다. 공급이 구조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HBM이 디램을 잡아먹는게 아니라 디램이 HBM을 지탱하는 상황으로 변하고 있다. 마이크론 PER 22배줘도 된다(SK하이닉스는 8배에 불과)
11)젠슨 황 발언 "블랙웰 수요가 미쳤다"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생산능력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 "xAI(일론 머스크의 AI 기업)에 더 많이 투자하지 못해 후회된다"
12)오라클 이익률 압박: 엔비디아 고성능 칩을 대량으로 대여하고 있어 비용 부담 심각 + 고객에게 이를 대여하는 서비스에서 이익을 내기 어려운 상황 + 아마존, MS, 구글 등과의 경쟁 심호 + 엔비디아의 높은 가격 정책으로 클라우드 업체들의 수익성에 빨간불 --> 오픈 AI는 엔비디아 외에 AMD로 공급처 다변화 시작, 다른 업체들도 따라할지가 관건
13)골드만삭스 "AI 시대의 폭발적인 전력 수요를 감당할 핵심 에너지원으로 원자력을 지목하며, 차세대 SMR과 핵융합 기술이 지정학적 패권과 투자 기회의 중심이 될 것입니다. AI가 모든 것을 바꾸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가 원자력을 소환한 이유입니다."
14)일본 자민당 총재로 다카이치가 선출. 시장 예상 밖의 결과 "아베 노믹스처럼 적극적인 부양책을 펼칠 것. 이는 엔화를 약하게 만들고 일본 증시를 급등시킬 재료". 실제 일본 니케이 지수는 그녀가 당선되자 폭등
15)연휴 이후 국내증시 추가 상승 유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지난 1주일간 +3.42% 상승. 나스닥 지수는 +0.69% 상승. 마이크론은 +6% 급등한 상황 --> 국내 반도체가 차별화된 상승을 더 이어갈 가능성 높음. 특히 삼성전자는 오픈 AI의 AMD 칩 대량구매와 엔비디아 GB300에 공시적으로 HBM3E 12단을 승인받은 만큼 잃어버린 신뢰를 회복했다고 평가
2 weeks ago | [YT] | 631
View 47 replies
염블리와 함께 [LS증권]
안녕하세요. 염승환이사입니다. 추석 연휴 잘 보내고 계시죠? 저도 잘 지내고 있습니다. 이번 추석에도 방송은 쉬지 않습니다. 10월 3일부터 10월 11일까지 7개의 영상을 준비했습니다. 최근 시장이 아주 뜨거운데 반도체만 뜨겁지 많은 업종들이 아직은 차가운 상태입니다. 하지만 영원히 차가운 것은 없습니다. 차가울 때 뜨거움을 미리 준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연휴 함께배우기 영상과 함께하면서 연휴 이후의 주식 시장을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함께 배우고 함께 고민하시죠! 감사합니다.
P.S: 10월 10일 금요일도 제가 휴가여서 '시장 함께읽기'는 업로드 되지 않습니다. 시장 함께읽기는 10월 13일부터 다시 재개됩니다.
1)10월 3일 토요일 오전 10시: 반도체, 대세로 떠오른 HDD와 eSSD
2)10월 5일 일요일 오전 10시: 금 값 상승과 스테이블코인 시대의 도래(NAVER)
3)10월 6일 월요일 오전 10시: 시멘트 배우기(아세아시멘트)
4)10월 7일 화요일 오전 10시: 2027년 버블을 준비하자
5)10월 8일 수요일 오전 10시: 석유화학은 구조조정 중, 반격을 준비(롯데정밀화학, 금호석유)
6)10월 9일 목요일 오전 10시: 다시 보자, 대형제약사(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HK이노엔, 한미약품, 유한양행, SK바이오팜, 녹십자)
7)10월 11일 토요일 오전 10시: 자산운용사는 어떤 기업들을 살까(브이아이피자산운용 등)
2 weeks ago | [YT] | 599
View 36 replies
염블리와 함께 [LS증권]
👀 댓글을 남기면 염블리가 답해드립니다 ! 👀
주식 투자에 관해 궁금한 점들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염승환 이사님이 질문을 뽑아 Live 방송에서 직접 답해드립니다!
그럼 10월 1일(수) 오전 10시 10분에 만나요!
3 weeks ago | [YT] | 113
View 104 replies
염블리와 함께 [LS증권]
안녕하세요. LS증권 투자컨텐츠팀 입니다.
금일 시장읽기는 당사 사정으로 인해 오후 8시경에 업로드 될 예정입니다.
구독자 분들의 너른 이해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1 month ago | [YT] | 188
View 12 replies
염블리와 함께 [LS증권]
👀 댓글을 남기면 염블리가 답해드립니다 ! 👀
주식 투자에 관해 궁금한 점들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염승환 이사님이 질문을 뽑아 Live 방송에서 직접 답해드립니다!
그럼 9월 24일(수) 오전 10시 10분에 만나요!
1 month ago | [YT] | 122
View 115 replies
염블리와 함께 [LS증권]
👀 댓글을 남기면 염블리가 답해드립니다 ! 👀
주식 투자에 관해 궁금한 점들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염승환 이사님이 질문을 뽑아 Live 방송에서 직접 답해드립니다!
그럼 9월 17일(수) 오전 10시 10분에 만나요!
1 month ago | [YT] | 105
View 76 replies
염블리와 함께 [LS증권]
👀 댓글을 남기면 염블리가 답해드립니다 ! 👀
주식 투자에 관해 궁금한 점들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염승환 이사님이 질문을 뽑아 Live 방송에서 직접 답해드립니다!
그럼 9월 10일(수) 오전 10시 10분에 만나요!
1 month ago | [YT] | 103
View 66 replies
염블리와 함께 [LS증권]
🙏9/3(수)의 [함께소통하기]는 휴방합니다 🙏
염승환 이사의 개인 일정으로 라이브가 한 주 쉬어갑니다.
다음 주 라이브 때 만나요!
오늘 오후 6시 [시장함께읽기]로 찾아뵙겠습니다👋
📌 그때까지 구독, 좋아요, 알림 설정은 필수!
1 month ago | [YT] | 115
View 4 replies
Lo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