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를 좋아 하는 강아지(별명) 방송 그래서 새(BIRD)아지입니다
우리 주변에 있는 새(흔히 볼 수 있는 새들 위주)
우리 주변에 없는 새(흔히 볼 수 없는 새들 위주)
제가 새를 처음 볼 때 생김새나 모양이 비슷해서 이건 무슨 새지 저건 무슨 새지하고 궁금해 했던 부분을 생각하며 비교해가면서 영상을 만들 생각입니다
특히 헷갈릴만한 부분을 찾아서 설명하고 비교 하겠습니다
가끔 다른 풍경영상도 올릴게요
금요일 저녁(아침으로 변경) 8시 15분에 새로운 영상이 올라 옵니다
새아지 - 조류 탐조 방송
안녕 하세요
새를 좋아하는 새아지입니다(날개 길이가 긴...)
지난주 문제 정답은...
보기에 나온 내용 전부 다 입니다...ㅋㅋㅋ
잘 날아가기 위해서는 날개가 크고 긴것이 바람을 타고 날기에 좋으며 가는 동안 중간 중간 쉬어 가기도 한다고 합니다
처음 출발할때 육지에서(섬에서) 상승기류를 타고 빙빙 돌면서 올라가서 날아간다고 합니다
상승해서 다음 휴게소까지 가는데 가능 동안 죽으라고 날개짓을 해야겠지요 만약에 사람들이 섬을 개발 하거나 하면 새들 입장에서 중간 휴게소가 없어지는 것이지요
그럼 결과는.....(새들이 이동하는 동안에 많은 새들이 죽는다고 합니다)
(바다보다 섬이 더 열을 일찍 받아서 상승기류가 생기고 새들은 그것을 이용한다고 합니다)
이번주 문제는
세상에서 날개 길이가 가장 긴 새와 그 날개가 맞게 연결 된 것은...
5 days ago | [YT] | 1
View 7 replies
새아지 - 조류 탐조 방송
안녕 하세요
새를 좋아하는 새아지입니다(잘 날아 가는 새들...)
지난주 문제 정답은...
새둥지 안에 있는 알들은 다 자기 자식일까...
대부분의 새들이 일부일처 이렇게 한 쌍으로 번식을 한다고 합니다
간혹 일부다처 일처다부가 간혹 있기도 합니다
(저는 일부일처이니 둥지 안에 있는 알들은 다 자기 자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거의 모든 새들이 바람을 핀다고 합니다 수컷만이 아니라 암컷도 틈만 나면 ....
그래서 둥지 안에 있는 알이 누구의 알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고 합니다
책에 나오는 새들이 외국새들이고 책쓴이도 외국인이라....우리 나라 새들의 얘기는 아니지만...
새들의 습성이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국내 새들에 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 책은 못 보았습니다
다른 나라들은 몇 십년동안 한 종만 연구하는 사람들도 있던데...
두루미같이 평생을 짝을 정하고 사는 새들은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요 녀석들도 같은 경우이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 추측입니다)
이번주 문제
새들이 장거리 비행(바다를 가로지르는)을 하는 경우 어떻게 날아갈까?
1 week ago | [YT] | 2
View 10 replies
새아지 - 조류 탐조 방송
새를 좋아하는 새아지입니다(새들의 바람...)
비가 올 것 같은 때 제비가 낮게 나는 이유는...
비가 올 것 같은 곳에 저기압이 형성이 되어 곤충이나 벌래들이 높이 날 수가 없어서
낮은 곳에 위치하게 되고 그걸 제비가 먹이 활동을 하면서 낮게 난다고 합니다
날씨을 알고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그 곳에 먹이들이 모여 있다보니 낮게 날게 된다고 합니다
더 정확한 것은 제비에게 물어 보면 되겠지만...)
이번주 문제
새들이 봄철에 짝을 찾아서 번식을 하는데 그럼 짝을 이룬 새들의 둥지 안에 있는 알들은 다 자기 자식들일까요?
2 weeks ago | [YT] | 1
View 4 replies
새아지 - 조류 탐조 방송
안녕 하세요
새를 좋아하는 새아지입니다(제비가 낮게 나는 이유...)
정말 오랫만에 인터넷이란 문명에 접속하는 것 같습니다
제가 지방으로 이사하고 한동안 집수리한다고 정신이 없었습니다
그러는 동안 13.6kg 살이 빠졌습니다 인터넷을 신청하고 1달을 기다려 설치했습니다...ㅋㅋㅋㅋ
잡소리 치우고 본론으로 들어 가겠습니다
비가 올 것 같은 날 제비가 낮게 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럼 제비가 날씨를 잘 아는 것일까요??
1 month ago | [YT] | 4
View 4 replies
새아지 - 조류 탐조 방송
안녕 하세요
새를 좋아하는 새아지입니다
지난주 문제 굴을 파는 새가 있는가 였습니가 역시나 역시나 세상은 넓고 나의 지식은 소박한가 봅니다
있습니다
슴새는 굴을 파고 알을 낳는다고 합니다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굴에도 알을 낳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굴울빼미라는 새도 굴을 판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굴을 파기 보다는 만들어진 굴을 이용하지만 간혹 굴을 파기도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제가 지금 이사관련해서 준비를 하고 있어서 한 동안 영상을 올리지 못 할 것 같아서 얘기 합니다
시골집을 하나 구해서 수리를 하려고 합니다 지금 시골집 계약은 완료된 상태입니다
5월이나 6월에 영상이 올릴 것 같아서 미리 얘기해 드립니다
6 months ago | [YT] | 3
View 12 replies
새아지 - 조류 탐조 방송
안녕 하세요
새를 좋아 하는 새아지입니다
이 번 주 영상은 개인적으로 머리가 너무 아파서 쉽니다
이사 관련해서 ...
꾸벅
6 months ago | [YT] | 2
View 3 replies
새아지 - 조류 탐조 방송
안녕 하세요
새를 좋아하는 새아지입니다(굴을 타는 새...)
저번주에 문제의 정답은 바늘질 하는 새가 있다 입니다
잎에 부리로 구멍을 만들고 식물(섬유)를 이용해서 재봉을 (바늘질을) 한다고 합니다
새의 이름은 태일러버드 로 우리나라 새는 아닙니다
역시 세상은 넓고 나의 지식은 소박합니다
이번주 문제로는 땅굴을 파는 새가 있다? 없다?
6 months ago | [YT] | 2
View 6 replies
새아지 - 조류 탐조 방송
안녕 하세요
새를 좋아하는 새아지입니다(바늘질 하는 새..)
저번주에 탁란에 관해서 얘기해 드렸습니다
알의 무늬를 보고 자기 알인지 안다고도 했던 것 같습니다....(저의 기억입니다)
이번주 문제
바늘질 하는 새가 있을까요?? 없을까요??
6 months ago | [YT] | 2
View 8 replies
새아지 - 조류 탐조 방송
안녕 하세요
새를 좋아 하는 새아지입니다 (탁란에 관한 이야기...)
오늘은 새 관련 문제가 아니고 그냥 새 이야기입니다
제가 새를 보면서 정말 궁금했던 탁란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왜 새들은 자기자식이 아닌 다른새를 아주 아주 열심히 키우는 것일까??
자라는 모습을 보면 나랑 다르다는 것을 알 것도 같은데 왜 키우는 걸까??
예를 들어 설명하면 붉은머리오목눈이가 처음으로 번식에 성공해서 자신의 알을 각인하면 다음부터 탄란을 피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그런데 처음으로 번식에 성공해서 알을 낳았고 잠시 나가 있는 동안 다른 새들이 붉은머리오목눈이 둥지에 탄란을 했다고 과정을 하면 처음 태어나는 아기새(업둥이)를 자식 새로 각인한다면 그 붉은머리오목눈이는 자기가 살아가는 동안 친자식이 아닌 업둥이를 자기 자식이라고 생각하게 되겠지요 그리고 다음에 번식에 성공해 정말 자기 자식을 보았을 때 전이랑 다르다고 생각하게 되어 자기 자식을 버릴 수도 있겠지요
그래서 부모새들은 자기 둥지에 있는 알은 일단 자기 자식이라고 생각을 한다고 합니다
(한 번의 잘못된 각인으로 인해서 평생 자식을 키울 수 없는 큼직한 일을 피하기 위해서...)
그렇다면 아기새들의 입장은 어떻게 될까요??
알에서 나온 새가 처음보는 것은 아마도 부모새일 가능성이 젤 높을 것이고 아기새에게는 아무런 힘이 없기 때문에 모든 것을 부모새에게 의지해야 함으로 아기새들은 각인을 한다고 합니다 그래야 먹고 살 수 있겠지요 (처음 보는 새가 우리 엄마일까 의심한다면 아마도 먹고 살기는 많이 힘들어 보입니다)
간혹 알에서 갓태어나 처음으로 보는 것이 사람이라면 사람을 따르는 것도 조금은 이해가 됩니다 그들 나름대로 살기 위한 몸 부림이겠지요
그럼 붉은머리오목눈이는 바보처럼 가만히 있기만 했을까요 둥지 안에 알은 자기 자식이라고 생각하고...
자기가 낳은 알의 색깔로 구별을 한다고 합니다 파란색의 알 흰색의 알로...
그럼 탁란을 하는 새들은 눈이 없는 것도 아니고 자기 알의 색깔과 둥지 안의 알의 색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고 그 들도 그에 맞게 색을 변화했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뻐꾸이는 탁란을 하고 그 둥지에서 젤 먼저 태어나서 주변에 있는 다른 알이나 혹은 아기새들을 둥지 밖으로 버린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럼 뻐꾸이들은 다 그런걸까요 뻐꾸이도 종류가 많으니 다른 삶을 사는 녀석들도 있겠지요 어떤 녀석들은 둥지에서 배다른 형제들과 같이 경쟁하면서 같이 자란다고 합니다 원래 둥지의 아기새들의 형태나 울음소리를 따라하면서 묻어 간다고 합니다 그럼 둥지의 부모새들도 어떻게 구별이 안되니 같이 잘 키우겠지요
둥지에 다른 새가 탁란을 했다고 의심이 되면 새들은 둥지와 자기가 낳은 알들을 포기하고 떠나기도 하고 의심이 되는 알을 공격해서 부셔버리기도 한다고 합니다 자라는 동안에도 이상한 느낌을 받으면(탁란을 의심한다면) 둥지를 버리거나 먹이를 주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럼 탁란을 하는 입장에서는 자기알이 버려지는데 그냥 멍하니 바라보고만 있을까요
어떤 종들은 탁란을 하고 자기알이 버려지거나 부셔지는 것을 막을 수는 없겠지만 그런일이 일어 나면 그 둥지에 다른 알들도 다 부셔버린다고 합니다 그럼 다른 곳에서 다시 둥지를 만들고 번식에 들어 갈 것이니 그 곳에 가서 다시 탁란을 할 수 있는 기화가 다시 생긴다고 합니다 이건 거의 창과 방패의 싸움이 아니라 창과 창의 싸움 같습니다
실제로 탁란의 비율은 그렇게 높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저의 기억으로 15% 정도였던 것 같은데 컴퓨터의 테이터가 날아가서 기억이.....책의 제목도 생각이 나질 않지만 나름 기억나는대로 정리 하였습니다 탁란을 당한 새들은 얘이 똥 밣았다고 생각해야지요 실재로 탁란은 많은 새의 둥지에서 일어 납니다 붉은머리가오목눈이가 대표적인 것이지 다른 새의 둥지에서도 많이 일어 납니다
한 번은 정리하고 싶었던 새들의 이야기 였습니다 두서없이 정리된 것 같지만 내용은 맞을 것입니다 세세한 부분은 저의 기억이 잘못된 것일 수도 있습니다 더 궁금한 것이 있으면 댓글에 적어 주세요 아는 범위 내에서 답해 드리겠습니다 (요즘 개인적인 사정으로 영상을 못 올릴 수도 있습니다 오늘도 탐조를 갔다가 오기는 했지만 머리가 복잡해서 편집하는 것은 쉽지가 않습니다.....꾸벅.....)
6 months ago | [YT] | 4
View 6 replies
새아지 - 조류 탐조 방송
안녕 하세요
새를 좋아하는 새아지입니다(한 주 쉽니다 ...)
지난주 정답은 우리나라 참새가 가장 많이 사는 지역 경기도 100핵타르당 387.2 경상남도51.2마리
경기도와 경상도만 나와 있어서 다른 장소는 모르겠습니다
경기도에 참새가 젤 많이 살고 있습니다
7 months ago | [YT] | 2
View 6 replies
Lo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