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차 트레이너이자 제 직업관에 대해 공유해 보겠습니다. 제가 만들어 온 가치관과 사고는 다른 분야에도 똑같이 적용될 거라 생각합니다. 본론으로 들어가면 트레이너라는 직업은 영업직의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업직이란 타인에게 가치를 제공할 만한 상품을 팔아 본인의 인센티브를 챙기는 직종입니다.
그럼 트레이너(상품을 파는 여타 다른 직종 포함)가 검소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자본주의의 핵심은 개인의 노력만큼 돈이라는 물질적 보상을 받는 것입니다.
이 말은 내 상품을 타인에게 더 많이 팔면 팔수록 더 큰 보상을 받는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의문점이 생깁니다. 결국 물질적인 보상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자본주의의 핵심인데 왜 그 물질적 보상을 검소하게 다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정답은 인간의 인센티브 편향에 있습니다. 한때 페덱스에서는 야간작업 물량이 지체되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페덱스 임원들은 기존의 근무 시스템을 과감히 버리고,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본인에게 정해진 하루치 물량을 처리하면 퇴근시키는 방법이었습니다. 이 시스템을 도입하고 페덱스는 두 번 다시 야간 물량이 쌓인 적이 없었다고 합니다. 이게 바로 인간의 인센티브 편향입니다. 이 편향은 뛰어난 현자라고 해서 조율이 가능하거나, 지능이 낮다고 해서 쉽게 편향에 휘둘리는 그런 개념이 아닙니다. 자본주의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본인을 어떻게 포장하든 인센티브 편향에 의해 움직이게 시스템 되어있습니다. 이 말인즉슨 트레이너(영업직)가 아무리 회원들에게 존경받는 지도자로 불릴지언정, 당장 본인이 다음 달 낼 월세조차 없거나 빠른 시일 내에 고급 외제차를 사고 싶다는 욕망에 휩싸여있다면, 결국 본인 자신의 인센티브 편향에 따른 선택을 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여기서 인센티브 편향이란 그 사람을 위한 상품을 파는 것이 아니라 내가 가져가게 될 보상에 높은 비중을 둘 가능성을 뜻합니다. "나는 그렇지 않을 것 같은데?" "너무 사람을 세속적이게 보는 거 아닌가?" 라고 생각되는 분들은 오히려 더닝 크루거 효과에 빠져 본인을 객관화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저는 일게 트레이너지만, 이 일을 10년간 하면서 자본주의에서 인정받는 법을 배웠습니다. 자본주의란 참 어렵습니다. 물질적 보상을 받기 위해 세상에 가치를 제공하지만, 그 보상의 선순환을 그리려면 결국 판매자는 물질적 보상 그 너머의 것을 보아야 합니다. 결국 아무리 좋은 가치를 제공하려고 노력할지 언정 판매자 자체가 검소하지 못해 금전적 여유가 없다면 그 선순환의 고리는 끊기게 됩니다.
굳이 증권을 다루는 토스 커뮤니티에 뜬금없이 제 직업 가치관을 설명해 본 이유는 간단합니다.
요즘 종종 눈팅을 하고 있지만 돈을 쉽게 벌 수 있다는 환상에 휩싸여 증권을 다루는 분들이 많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더 마음 아픈 것은 그런 가치관을 추종하는 젊은 세대가 많아진 것 같습니다.
인간이 물질을 쫓는 욕심은 끝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저는 그 욕심을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가장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운전자 10명을 인터뷰해 보면 본인의 운전 실력이 평균 이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8할 이상입니다.
하지만 전 세계에 어떠한 천재지변과 인재를 통틀어도 교통사고가 가장 높은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다는 것을 잊으면 안 됩니다.
북디빌더
"내가 먹은 음식이 내 몸을 바꾼 것처럼,
내가 읽은 책들이 나를 변화시켰다."
1 week ago (edited) | [YT] | 4
View 0 replies
북디빌더
이사 완료. 조만간 컴백합니다.
2 months ago | [YT] | 2
View 0 replies
북디빌더
트레이너(영업직)가 검소해야 하는 이유.
10년 차 트레이너이자 제 직업관에 대해 공유해 보겠습니다.
제가 만들어 온 가치관과 사고는 다른 분야에도 똑같이 적용될 거라 생각합니다.
본론으로 들어가면 트레이너라는 직업은 영업직의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업직이란 타인에게 가치를 제공할 만한 상품을 팔아 본인의 인센티브를 챙기는 직종입니다.
그럼 트레이너(상품을 파는 여타 다른 직종 포함)가 검소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자본주의의 핵심은 개인의 노력만큼 돈이라는 물질적 보상을 받는 것입니다.
이 말은 내 상품을 타인에게 더 많이 팔면 팔수록 더 큰 보상을 받는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의문점이 생깁니다.
결국 물질적인 보상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자본주의의 핵심인데 왜 그 물질적 보상을 검소하게 다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정답은 인간의 인센티브 편향에 있습니다.
한때 페덱스에서는 야간작업 물량이 지체되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페덱스 임원들은 기존의 근무 시스템을 과감히 버리고,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본인에게 정해진 하루치 물량을 처리하면 퇴근시키는 방법이었습니다.
이 시스템을 도입하고 페덱스는 두 번 다시 야간 물량이 쌓인 적이 없었다고 합니다.
이게 바로 인간의 인센티브 편향입니다.
이 편향은 뛰어난 현자라고 해서 조율이 가능하거나, 지능이 낮다고 해서 쉽게 편향에 휘둘리는 그런 개념이 아닙니다.
자본주의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본인을 어떻게 포장하든 인센티브 편향에 의해 움직이게 시스템 되어있습니다.
이 말인즉슨 트레이너(영업직)가 아무리 회원들에게 존경받는 지도자로 불릴지언정,
당장 본인이 다음 달 낼 월세조차 없거나
빠른 시일 내에 고급 외제차를 사고 싶다는 욕망에 휩싸여있다면,
결국 본인 자신의 인센티브 편향에 따른 선택을 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여기서 인센티브 편향이란 그 사람을 위한 상품을 파는 것이 아니라 내가 가져가게 될 보상에 높은 비중을 둘 가능성을 뜻합니다.
"나는 그렇지 않을 것 같은데?"
"너무 사람을 세속적이게 보는 거 아닌가?"
라고 생각되는 분들은 오히려
더닝 크루거 효과에 빠져 본인을 객관화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저는 일게 트레이너지만, 이 일을 10년간 하면서 자본주의에서 인정받는 법을 배웠습니다.
자본주의란 참 어렵습니다.
물질적 보상을 받기 위해 세상에 가치를 제공하지만,
그 보상의 선순환을 그리려면 결국 판매자는 물질적 보상 그 너머의 것을 보아야 합니다.
결국 아무리 좋은 가치를 제공하려고 노력할지 언정 판매자 자체가 검소하지 못해 금전적 여유가 없다면 그 선순환의 고리는 끊기게 됩니다.
굳이 증권을 다루는 토스 커뮤니티에 뜬금없이
제 직업 가치관을 설명해 본 이유는 간단합니다.
요즘 종종 눈팅을 하고 있지만 돈을 쉽게 벌 수 있다는 환상에 휩싸여 증권을 다루는 분들이 많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더 마음 아픈 것은 그런 가치관을 추종하는 젊은 세대가 많아진 것 같습니다.
인간이 물질을 쫓는 욕심은 끝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저는 그 욕심을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가장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운전자 10명을 인터뷰해 보면 본인의 운전 실력이 평균 이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8할 이상입니다.
하지만 전 세계에 어떠한 천재지변과 인재를 통틀어도 교통사고가 가장 높은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다는 것을 잊으면 안 됩니다.
2 months ago | [YT] | 2
View 0 replies
북디빌더
유튜브를 시작하고 인간에 대한 많은 깨달음이 있었습니다.
독서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알리고자
시작한 유튜브가 어느 순간 타인의 반응을 살피는 수단으로 전락했습니다.
책을 읽으면서도
"이걸 어떻게 풀어 내야 사람들이 많이 볼까?"
라는 생각을 하는 제 자신을 보니
제가 가장 좋아하는 책중에 하나인
"내가 틀릴수도 있습니다"가 생각났습니다.
제 자신의 감정도 잘 돌아보지 못하며, 내가 안다고 생각하는 것 또한 틀릴수도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니
남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방식의 독서를 내려 놓았습니다.
시간이 흘러 만약 제가 타인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고 묵묵히 걸어갈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한다면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내려 놓으니 독서가 더 행복해졌습니다.
부자가 되려고 하는 독서,
성공하려고 하는 독서,
좋은 사람이 되려 하는 독서가
좋은 동기가 될수도 있지만,
과하면 독이 될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제 유튜브를 거쳐 간 분들에게 희망을 드리겠습니다.
평생 독서와는 다른 길을 걷던 저 또한
결국 독서라는 친구를 습관으로 만드는데 성공했습니다.
습관의 힘을 간과하지 마세요.
결국 모든 인간은 환경에 지배됩니다.
자유민주주의에 살고 있는 우리 환경에 대한
지배권은 각자 개인에게 있습니다.
포기하지 말고 어제 보다 1%더 현명한 사람으로
남으려 노력하십쇼.
저 또한 그리 살겠습니다.
5 months ago | [YT] | 5
View 1 reply
북디빌더
콘덴서 마이크 구매했습니다.
오늘 쇼츠 영상부터 새로운 마이크로 녹음했습니다..ㅎ
이번주 일요일 영상 업로드부터는 좀 더 좋은 음질로 찾아뵙겠습니다.
4,000원짜리 중국산 마이크 들으시느라 고생들 하셨습니다..ㅋㅋㅋ
10 months ago | [YT] | 14
View 1 reply
북디빌더
오늘은 "큰 손"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나스닥에서 "큰 손"은 크고 유망한 해지펀드나
워렌 버핏 등을 들 수 있겠죠.
여러분이 생각했을 때 "자산이 상승" 하면 누가 가장 큰 혜택을 볼 것 같나요?
현금 자산 비중이 적은 큰 부자들이 가장 큰 혜택을 받습니다.
그다음은 저희 같은 중산층들이 수혜를 받죠.
참으로 웃긴 게 저소득층의 자산은 증식되지 않습니다.
그들은 주식투자를 하지 않거든요.
예를 들어 제가 다니는 헬스장에서 미화 업무를 하시는 어머님은 주식투자를 하지 않고 계실 가능성이 큽니다.
그들이 무지한 걸까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일반인들은 사회에서 가장 일차원적인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입니다.
우리는 각자 본인의 위치에서 세상에 가치를 제공하며 살아갑니다.
큰 부자들은 본인이 가진 돈으로 재화나 서비스를 구입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은
중산층이거나 그보다 아래에 있는 사람들이죠.
주식 시장과 부동산 시장이 무한히 상승할수록,
아래 계층에서는 불만이 쌓일 것입니다.
그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나라에서는 계속 빚을 내어 돈을 풀어야합니다.
그 불만이 서비스 제공의 욕구를 상실시킨다면 사회가 붕괴되기 때문입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큰 부자들은 자산의 가치가 무한히 상승하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결국 돈의 가치를 창출하는 것은 사람이며,
생각보다 주식투자를 하지 않고, 본인의 가치를 창출하며 사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이들이 세상에 가치를 제공하지 않으면 세상은 돌아가지 않습니다.
돈이 휴지 조각이 되는 순간이 바로 이때입니다.
한때 독일에서는 마트에 갈 때 카트에 지폐를 가득 실어 가야만 했습니다.
"오마하의 현인"이 아침에 맥모닝을 먹으며
죽기 전에 본인의 자산 대부분을 기부하겠다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입니다.
독서를 하는 부자들은 다 아는 사실이죠.
이 부분이 선명해져야 돈의 가치가 보이고, 부자들의 기부가 이해됩니다.
당신이 바라보는 "돈의 가치"는 무엇인가요?
10 months ago | [YT] | 13
View 2 rep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