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병원 의사들 (암오케이)

종양내과 의료진들의 암환자 맞춤형 정보 채널 by. 암오케이(I'MOK)


암병원 의사들 (암오케이)

항암제의 가장 두려운 부작용이라면..
대표적으로 오심과 구토가 있습니다.

다행히 예전과는 달리 요즘은 효과적인 항구토제가 많이 개발이 되어 있어서
항암 당일 구토를 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항암 후 2-3일이 지나서 나타나는 오심,
즉 울렁거리고 토할 것 같은 느낌은 아직 상당수의 환자 분들이 겪고 있어요.
한번 이런 부작용을 겪으면 다음에도 또 이럴까봐 걱정이 되시지요.
종종 이런 걱정 때문에 병원에 들어서기만 해도 토할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오심과 구토는 시간이 갈수록 더 많이 나타나는 부작용은 아닙니다.

아래 그림은 아킨지오 (NEPA)라는 항구토제와 알록시 (PALO)라는 항구토제를 비교한 임상시험 결과인데요.
(출처: Cancer Med. 2019; 8: 2064– 2073. doi.org/10.1002/cam4.2091)

막대그래프 숫자는 항암 후 1-5일째 울렁거림이 없었던 환자의 비율을 의미한답니다.
점점 심해지는 부작용이라면 이 숫자가 항암을 여러 번 할수록 (오른쪽으로 갈수록) 줄어들겠죠.

하지만 그렇지는 않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항구토제의 효과가 시간이 가도 유지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지요.
항암제로 인한 오심, 구토는 약제의 특성에 따라 많이 달라집니다.

✔ 구토가 심한 약 (시스플라틴, 독소루비신+카보플라틴),

✔ 중간정도인 약 (옥살리플라틴, 이리노테칸 등),

✔ 구토가 심하지 않은 약 (5-FU, 파클리탁셀 등)으로 나눠지며,

대부분의 면역항암제나 표적항암제는 구토가 심하지 않은 약으로 분류됩니다.
그러나 오심 구토의 정도는 개인차가 많고, 한번 겪으면 심리적인 불안이 해지면서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기는 합니다.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에는 담당 선생님과 상의하여 추가적인 구토억제제를 처방 받으세요.

2 weeks ago | [YT] | 2

암병원 의사들 (암오케이)

▶암오케이 설문에 담긴 작은 응답이, 더 많은 환우들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진료와 치료라는 길고도 힘든 여정을 묵묵히 걸어오신 당신,

그동안 마음속 가장 버거웠던 순간은 언제였나요?

암오케이는 여러분의 진솔한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자,

설문을 정성껏 마련했습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리며, 다른 환우들에게 큰 도움이 되어주세요!

👉 설문 참여하기 : docs.google.com/forms/d/e/1FAIpQLSedNlXnBYHFsVlBrV…

3 weeks ago | [YT] | 2

암병원 의사들 (암오케이)

▶“대장암 예방” 지금 당장 실천할 수 있는 방법◀

안녕하세요~
대장암 전문 종양내과 의사 김쌤입니다.


암을 예방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위험 요인들을 피하고 예방 요인들을 늘리는 것입니다.

암의 위험 요인은 흡연, 비만, 운동 부족 등이고, 예방 요인은 금연, 규칙적인 운동 등으로 잘 알려져 있죠.
오늘은 대장암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릴게요!



1️⃣운동


규칙적으로 신체를 움직이는 활동은 대장암의 위험을 낮춰 줄 수 있습니다.
주 5일 이상, 하루 30분 이상의 중강도의 신체 활동을 유지하는 것은 암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중강도의 신체 활동이란 운동을 하는 동안 옆 사람과 대화를 할 수 있을 정도로, 보통 속도의 걷기 이상의 강도를 말합니다.


2️⃣식이


대장암 발병 위험과 연관되어 있는 붉은색 고기, 가공육, 고지방 음식의 섭취를 줄이고 섬유질이 풍부한 과일, 채소의 섭취를 늘리는 것이 대장암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3️⃣금연, 금주


흡연과 음주 모두 대장암의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4️⃣대장 용종의 제거(내시경 검사)


대부분의 대장 용종은 선종으로 분류되며 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를 통하여 대장암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예방법은 상당히 효과적입니다.

증상이 없는 저위험군인 경우, 45세 이후부터 5~10년마다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거나,
1년마다 대변 잠혈 검사를 통해 양성인 경우 즉시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기를 권합니다.

본인에게 궤양성 대장염, 포이츠-예거스 증후군, 크론병,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이 있거나,가족 중에 연소기 용종, 대장암 혹은 대장 용종,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 환자가 있는 고위험군은
좀 더 자주 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의료진과 상담 후 검사 방법과 검사 간격을 정하여 정기적으로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2 months ago (edited) | [YT] | 7

암병원 의사들 (암오케이)

▶췌장암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


오늘은 췌장암이 왜 생기는지, 그 발병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췌장암의 발병 원인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몇 가지 위험요소는



🔹비유전적 위험인자

(흡연, 당뇨, 만성 췌장염, 비만, 술)와



🔹유전적 위험인자

(가족성 췌장암, 배선돌연변이, 유전성 만성 췌장염)가 있습니다.






📢비유전적 위험인자



✔ 흡연 : 전체 췌장암의 약 30%에 해당되는 환자는 흡연으로 인해 췌장암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당뇨 : 인과 여부는 불분명하지만, 일반적으로 당뇨를 잃고 있는 사람이 당뇨가 없는 사람보다 췌장암에 걸릴 위험이 2배 정도 높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 만성 췌장염 : 만성 췌장염이 있는 사람은 췌장암의 위험이 일반인에 비해 최고 16배까지 증가합니다.

✔ 비만 : 고도의 비만도 췌장암의 위험인자가 될 수 있습니다.

✔ 술 : 급성췌장염과 만성췌장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과도한 알코올 섭취입니다. 만성췌장염은 췌장암의 위험인자이므로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삼가야 합니다.





📢유전적 위험인자



✔ 가족성 췌장암 : 췌장암 환자의 약 5-10%에서는 가족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가족성 췌장암은 뚜렷한 유전적 원인을 알지는 못하지만, 췌장암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췌장암의 위험이 증가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 배선돌연변이 : 췌장암을 비롯한 대부분의 암은 유전자 돌연변이가 일어나며, 세포의 성질이 변화하여 생겨나는 질병입니다. 이 때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유전자 돌연변이를 '배선 돌연변이'라고 합니다. 현재까지 발견된 돌연변이 중 BRCA, ATM, PALB2, CDKN2A, MLH1 등이 췌장암의 위험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유전성 만성 췌장염 : 특정한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 만성 췌장염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비교적 젊은 나이에 만성 췌장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 김송철 외. 「췌장암 안내서」. 군자출판사, 2020.

2 months ago (edited) | [YT] | 1

암병원 의사들 (암오케이)

▶맹장염에서 맹장암까지: 알아두면 건강에 도움되는 맹장 (충수돌기) 이야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맹장에 대해 이야기 해볼게요.



​‘복부 오른쪽 아래가 갑자기 날카롭게 아프기 시작했다면, 혹시 맹장염인가요?’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거나 들어본 적 있는 이 질문은 맹장염의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맹장염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흔한 질환 중 하나로, 급성으로 진행되면 응급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2024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간한 '2023 주요수술 통계연보'를 살펴보면,
맹장염 시 이뤄지는 충수절제술이 얼마나 흔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더욱 자세히 알 수 있는데요.
특히 9세부터 30대에서는 '상위 5개 수술'에 올라 있어, 맹장염으로 인한 수술이 젊은 연령에서 더욱 흔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맹장은 별다른 기능이 없어서, 쉽게 수술해도 된다던데...❓



사실 맹장은 떼어내도 별다른 문제가 생기지 않아 제거 수술이 당연하게 여겨져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 결과는 맹장이 단순히 퇴화된 기관이 아니라는 사실을 밝혀내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맹장은 소화기관의 기능뿐만 아니라 면역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면역 기관이기도 합니다.

맹장 내부에는 림프 조직이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어 백혈구의 일종인 림프구가 많이 생성되는데, 이 림프구는 세균과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에 대항하여 우리 몸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맹장은 장내 유익균의 안전한 보금자리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예컨대 장염 치료를 위해 항생제를 복용하게 되면 장염을 일으킨 유해균뿐만 아니라 장내 유익균도 함께 사라지게 되는데, 이때 맹장에 자리 잡고 있던 장내 유익균들이 다시 장으로 돌아와 장내 환경을 회복시키고 면역 기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최근연구에 따르면, 맹장이 없는 환자들은 장염에서 회복하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이는 맹장이 면역 체계를 유지하고 장내 유익균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뒷받침합니다.




​💡맹장 수술하다 맹장암 발견할 수 있어요.💡


이처럼 맹장은 분명 인체에 유익한 기관임에는 틀림없지만 발열, 복통, 구역 등의 맹장염 증상이 나타나면 심한 경우 복막염으로도 이어질 수 있어 결론적으로는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특히, 맹장에서는 암도 발생할 수 있는데요, 맹장의 위치적 특성 때문에 대장 내시경으로 발견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맹장염 수술 중에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맹장암은 맹장염 수술 중에는 0.1%미만으로 드물게 발견되지만, 50세이상 성인에서 100명중 1-2명꼴로 발생한다고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50세 이상의 성인이라면 맹장에서 나타나는 이상 증세(복통, 팽만감, 체중감소, 혈변과는 다른 어두운 타르색 대변 등)에 특히 더 주의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맹장암, 어떻게 치료할까요?💡


맹장암의 치료는 맹장암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먼저, 가장 흔한 맹장암은 선암으로 전체 맹장암 중 95%를 차지합니다. 이 경우에는 대장암과 유사하게 치료를 시행합니다. 수술을 통해 맹장암을 제거하고 암의 퍼져 있는 정도를 확인한 후 필요에 따라서는 항암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선암의 한 종류로는, 많은 양의 점액을 생성하는 점액선 선암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종양을 최대한 제거하고, 만약 복막에 남아있는 종양이 있다면 수술 중에 하이펙(HIPEC)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하이펙(HIPEC)은 고온 복강내 화학요법으로, 고온의 항암제를 복강 내에 직접 주입하여 남아 있는 종양세포를 죽이는 치료법을 의미합니다.

그 밖으로는 유암종과 같은 신경내분비 종양이 생기기도 하는데 이 역시 수술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요약🔅

맹장은 크기는 작지만 우리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맹장염의 증상을 주의 깊게 살피고, 50세 이상이라면 맹장암의 위험에도 대비해야 합니다. 우리 몸의 작은 신호에 귀 기울이는 것이 건강한 삶의 비결일 수 있습니다.

3 months ago (edited) | [YT] | 4

암병원 의사들 (암오케이)

▶타그리소와 렉라자를 비교해봅시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타그리소와 렉라자에 대해 말씀드리려합니다.


EGFR변이가 있는 비소세포폐암을 진단받은 환자분들은 일단 표적 유전자가 있다는 것에 안도 하실겁니다.
하지만 곧 치료제로 "타그리소냐, 렉라자냐"를 고민하게 되실 것 같습니다.

환자분들 입장에서 이 두 가지 항암제 중 어느 한가지를 결정하는 것이 정말 쉽지는 않으실 거란 생각이 들어 준비하였습니다.




표적유전자로 EGFR 변이가 있다니 다행이긴 한데, 치료제로 무엇을 쓸 것인지 고민되시는 환자분들에게 타그리소와 렉라자에 대해 설명해드릴게요.


결론을 먼저 말씀드리면 효과 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약​입니다.
콜라는 마시는데 '코카콜라냐 펩시콜라냐'의 차이라고 하면 느낌이 잘 전달될지 모르겠습니다.

종양이 이 항암제에 얼마나 반응할지, ​반응 유지기간은 얼마나 되는지, 특히 뇌전이에 대한 반응율은 얼마나 되는지를 아래 표에 정리하였습니다.



그렇다면 부작용은 어떨까요?
환자분들이 가장 힘들어하시는 세가지 부작용인 여드름 발진, 손발 부작용, 설사, 그리고 그 외 부작용에 대해 비교해보겠습니다.


연구 결과를 보았을 때는 타그리소가 부작용 면에서 조금 더 힘든 약처럼 보이지만, 진료실에서 많은 환자분들에게 약을 처방해보면 두 약제의 여드름 발진, 손발 부작용, 설사 발생율은 피부에 와닿는 차이는 크게 없습니다.

​하지만, 손발 저림이라는 부작용은 렉라자에서 타그리소와 비교하여 특이하게 더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고, 실제 임상연구 데이터에서도 그렇게 보입니다. 단, 렉라자 사용 중 손발 저림이 생겨서 항암제의 용량을 줄였을 때 증상이 잘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1️⃣타그리소 또는 렉라자는 효과면에서 거의 동등하고

2️⃣부작용 면에서 손발저림 부작용이 렉라자에서 특이하게 나오는데 용량을 줄이면 조절이 가능하다.

3️⃣둘 중 어떤 약을 선택해도 괜찮다.

라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중요한 것은 1세대 EGFR 표적 항암제였던 이레사 보다 타그리소와 렉라자가 더 우월한 효과를 보이는 좋은 약제임을 틀림 없습니다.

3 months ago (edited) | [YT] | 9

암병원 의사들 (암오케이)

암오케이 X 그리팅

당신의 식사, 함께 고민합니다.

치료 중 ‘무엇을 먹어야 할지’ 고민 된 적 있으셨죠.
암오케이는 늘 그 고민에 함께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매일의 식사로 쉽고 편하게 건강한 일상을 지키고자 하는
현대백화점그룹 '그리팅(Greating)'과 함께 한마음으로 시작했습니다.

1. 암오케이 회원에게 드리는 작은 응원

지금 암오케이에 가입 및 정보 제공 동의하시면
👉 그리팅 1만원 할인 쿠폰을 보내드립니다.
그리팅에서의 첫 한 끼, 부담 없이 시작해보세요.

2. 암오케이에 당신의 이야기를 남겨주세요.

당신의 이야기를 나눠 주신 분을 선정하여
👉 그리팅 3끼 체험팩을 보내드립니다.
따뜻한 마음을 담아, 세 끼의 식사로 정성껏 응원하겠습니다.

잘 먹는 것이 회복의 시작이니까요.
암오케이는 늘 당신을 생각합니다.

지금 암오케이에 가입하고 우리의 응원을 받아 가세요.
감사합니다.

🔗이벤트 참여하러 가기 : im-ok.co.kr/event/greating?source=youtube

by. 암 환자 맞춤형 정보 플랫폼 – 암오케이

3 months ago (edited) | [YT] | 5

암병원 의사들 (암오케이)

▶췌장암 수술을 하면 당뇨가 오나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췌장암 수술과 당뇨에 대해 말씀드리려 합니다.


췌장암 수술로 인해서 췌장을 제거하는 경우에,
췌장에서 나오는 여러 호르몬의 변화로

수술 전에 없었던 당뇨병이 발생할 수 있어요.
이를 췌장성 당뇨병이라고 부릅니다.



췌장성 당뇨병은 전체 당뇨병의 5~10% 정도이며,
췌장성 당뇨병 중에서 췌장 절제 이후에 생기는 당뇨병은 2~10% 정도입니다.



그럼 췌장암 수술 후 발생 할 수 있는 당뇨병에 대해 알아볼게요.



✔췌장 수술 후 당뇨병의 특징

췌장 수술 후 발생한 당뇨병은 인슐린 투여에 의한 저혈당이 잘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혈당을 잘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며, 저혈당 방지를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췌장 수술 후 당뇨병의 치료 및 주의 사항


📍당뇨병의 기본적인 치료 방법

​전췌장절제술을 받은 경우 인슐린 분비 능력이 없기 때문에 제 1형 당뇨병과 마찬가지로 인슐린을 하루에 여러 번 투여 받아야 합니다.

또한, 저혈당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혈당 관리에 대해 교육을 받아야 하며, 지속혈당감시기기를 사용하여 혈당을 감시하기도 합니다.


췌장 부분 절제술 후 발생한 당뇨병의 경우에는 인슐린 분비 능력이 남아 있다면 경구용 혈당 강하제로 당뇨 조절을 해볼 수 있으나, 인슐린 분비능력이 현저하게 감소되어있는 경우 인슐린 투여가 필요합니다.



📍 저혈당 관리 방법

​저혈당은 혈당이 감소하면서 손떨림, 식은땀, 불안감 등이 발생합니다.
저혈당이 더 진행되면 기력 약화, 어지러움, 두통, 의식소실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저혈당의 일반적인 대처 방법은 포도당 또는 포도당을 함유한 탄수화물(설탕, 꿀 1숟가락, 주스 3/4컵, 사탕 3~4개)을 섭취하는 것입니다.
지방이 함께 함유되어 있는 초콜릿이나 아이스크림 등은 저혈당 대처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으며, 포도당의 경구 섭취가 어려울 경우 반드시 병원에서 주사로 투여를 받아야 합니다.







4 months ago (edited) | [YT] | 2

암병원 의사들 (암오케이)

안녕하세요.

EGFR변이 양성인 비세포폐암의 항암치료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치료 옵션이 많다는 것은 암환자분들에게 희소식인데요,
그만큼 어떤 치료를 선택하는게 좋을지에 대한 고민도 되실겁니다.


치료방법을 결정함에 있어, 항암치료의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도 따져보게 되지만
어떤 항암제 치료가 받기 수월한가 즉, 부작용이 어느정도인지도 고려해보게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제의 부작용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EGFR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을 진단받았을 때 우리나라에서 선택 가능한 치료 옵션은



1. 타그리소 단독(급여)

2. 렉라자 단독 (급여)

3. 타그리소+백금계 항암제 병용요법

(알림타/카보플라틴, 비급여)



위 3가지가 있으며, 머지 않아

4.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요법(비급여 예상)이 치료 옵션으로 추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치료 옵션별(1-4) 부작용에 대해서 중대한 부작용 비율과 주요 부작용 증상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아래 표와 그래프를 보시면

​렉라자는 경미한 손발저림까지 포함하여 40%정도의 손발저림이 있긴 하지만
좋은 치료제로 부작용이 심한 경우에는 항암제 용량을 줄여서 사용하게 됩니다.

​실제로 진료실의 경험으로는 타그리소 단독치료가 부작용에 있어 좀 편한 치료로 생각되지만,
사람마다 경험하는 부작용이 다양하고 치료 선택에 있어서는 항암제의 부작용만으로 결정할 수는 없습니다.

​타그리소와 항암제를 병용하는 치료에서는
아무래도 주사 항암제를 같이 쓰기 때문에 주사 항암제로 인한 빈혈 등의 부작용이 좀 있습니다.

​렉라자와 리브리반트 병용 요법은 리브리반트가 주사를 맞은지 1달 이내 과민반응이 생기고,
피부 발진, 손발톱변화와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폐동맥 혈전이 조금 더 생기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 항응고치료를 예방적으로 할 것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전략적으로 병용하는 치료제이기 때문에
진료실에서 환자분과 함께 부작용에 대한 고민도 더욱 깊어지는 것 같습니다.






📌요약



EGFR양성인 비소세포폐암의 치료 옵션에 따른 부작용에 대해 비교해보았습니다.

치료 옵션은 타그리소단독, 렉라자 단독, 타그리소-백금계항암제 병용,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요법이 있으며, 부작용은 중대한 부작용 비율과 주요 부작용 증상으로 비교해 보았습니다.

​항암제 단독 보다는 병용 요법이 조금 더 부작용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두가지 항암제를 함께 쓰는 병용요법은 아무래도 효과 증진을 위해 전략적으로 병용하는 치료방법이지만, 그만큼 부작용에 대해서도 좀 더 고려해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4 months ago (edited) | [YT] | 9

암병원 의사들 (암오케이)

★★ 암오케이 서비스가 모든 암종으로 확대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많이 기다리셨죠?!
암오케이의 서비스가 드~디~어~ 대장암, 폐암, 췌장암에서 "모든 암종"으로 확대 되었습니다!


치료 중 겪는 증상 관리부터
검사결과 해석, 참여 가능한 신약 임상시험 정보까지!


평소 '나의 검사결과'에 대해 궁금하셨다면
망설이지 말고 📲 지금 바로 암오케이에 업로드 해 보세요!
▶▶ im-ok.co.kr/


암오케이는 항상 암 환우들의 회복과 건강을 응원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by. 암 환자 맞춤형 정보 플랫폼 - 암오케이

4 months ago (edited) | [Y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