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점부터 단점까지 내멋대로 리뷰


네모난꿈

원붕명젠은 정말 특이한 게임입니다.
놀라울 정도로 안드로이드 팬들과 iOS 팬들 모두
이 게임은 자신이 좋아하는 디바이스가 아닌
상대방 플랫폼에 최적화되어 있다고 말하는
iOS 최적화 게임이자 안드로이드 최적화 게임입니다.

원붕명젠을 메인으로 쓰는 이유는 크게 세가지로
1. 국내 인기가 많음
2. 고사양
3. 각 제조사들의 AP 사양이 변하면 안드로이드 iOS 둘다 대응패치를 해주며 **업데이트가 나오는 시점을 어느정도 예상할 수 있음**
입니다.

여담으로 해외에선 인기있으나 국내에선 거의 안하는 게임
(포트나이트 등)
이런 게임 중에서 아이폰에 최적화된 게임들이 좀 있고
이런 게임을 하신다면 아이폰 가시는게 맞는데

이런 게임으로 영상을 만들면 다수의 대한민국 사용자가 체감하는 실성능을 대변할 수 없어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리니지라이크 게임들도 갤럭시에 유리한 게임들 많이 있는데, 이것도 특정 게임들 몇개 골라내면 갤럭시 성능이 너무 과도하게 좋아보일 수 있어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냥 일단은 원붕명젠을 메인으로 계속 쓰고
나중에 고사양 게임들 또 새로 나오면
사양이랑 한국 내에서 인기가 어느 정도 되는지 보고
쓸만한 게임들 추가로 발굴해보겠습니다.

14 hours ago | [YT] | 90

네모난꿈

최근 스마트폰 성능과 최적화 수준이 많이 개선되어서
지금 나와있는 게임에서 부하를 좀더 올려서 테스트를 할 방법을 찾아보는데,
이게 참 어렵네요. 문제가 쉬워져서 변별력이 줄어드는 상황이 벌어지는 중이고
특히 다음주에 8 Elite Gen 5 나오면 그때부터는 이 현상이 더욱 심화될 것 같습니다.

지금 제가 사용하는 시나리오는 일일 숙제 정도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재현하는 쪽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전투만 계속 하는게 아니라 일퀘, 일일 이벤트 퀘스트 등에서 발생하는
전투+퍼즐+기믹+미니게임 등에서 걸리는 부하를 재현하는 것에 초점)

이렇게 하면 그나마 체계적인 변수 통제가 가능하긴 하지만
스타레일을 제외한 나머지 게임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극한까지 올리기가 어려워서

이제 연속전투 등으로 테스트 부하를 좀더 올려볼까 싶다가도

문제는 연속전투 테스트의 경우 변수 통제가 불가능해서
제대로 테스트를 하려면 큰 수의 법칙에 의거해 테스트를 엄청나게 돌리고
평균, 중앙값, 분산, 편차 등을 봐야 해서 좀 많이 버거운 상황이고요

(3DMark나 Geekbench 등의 벤치마크 프로그램도
같은 테스트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성능을 측정할 수 있기에
테스트별로 일관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어서 주로 사용되는 것)

모바일 게임에서는 이런 테스트 모드가 없기 때문에
임의로 이런 일관성을 최대한 유지한 시나리오를 만들어서 쓰는 상황입니다.

그냥 막 난전 상황에서 한두번 전투 딱 돌리고
아~ 결과 이렇네 이러고 치워버리면
전투에서 스킬 쓰는 순서도 다르고,
테스트 맵도 다르고, 전투 동선도 달라질 수밖에 없게 되고요

이런 방식으로 리뷰하면
같은 게임을 사용하더라도 실제로는 서로 다른 테스트를 실행한 뒤
그걸로 두 기기를 비교하는 꼴이 되어서 이 방법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원신이나 명조는 필드에서 몹 한번 잡으면 리스폰까지 엄청 기다려야하고,
그럼 테스트를 며칠에 나눠서 해야 하는데 이건 사실상 불가능하고...

비경으로 계속 테스트하자니 고난이도 비경은 컨트롤 실수하는 순간 전멸나서
테스트가 꼬여버리고

저난이도 비경은 전투가 지나치게 빨리 끝나서
중간중간에 로딩이 너무 자주 걸리는데

그렇다고 해서 잡는 몬스터랑 전투 동선 안맞춘 상태로 테스트 진행하면
통계적 요소까지 따진 다음 랜덤하게 수없이 돌려야 정확한 값이 나와서
집에서 혼자 할 수 있는 스케일이 아니고.

고민이 참 많아집니다.

1 day ago | [YT] | 87

네모난꿈

애플 요즘 미호요나 쿠로게임즈하고 사이가 안 좋나요...?
설마 게임사들이랑 싸웠나

2 days ago | [YT] | 113

네모난꿈

아이폰 17 프로 시리즈 리뷰 관련 공지입니다.
미리 리뷰 관련해서 공지를 드리는 이유는 이번 리뷰가
장기전으로 갈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입니다.

16 프로 시절까지 아이폰은 기기가 나오면
SW 안정화가 다 되어 있어서
게임을 딱 돌렸을 때 바로 프레임과 발열 측면에서
확연하게 다른 기기들을 압도하는 모습을 보였고
그것만 봐도 충분히 성능이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올해는 상황이 좀 달라 보입니다.

Geekerwan 등 해외에서 올라온 자료를 우선적으로 체크해 보았는데,
지금 아이폰 성능 정책이 챔버를 넣고 성능을 올린다가 아니라
챔버를 넣고 발열을 잡는다... 를 제일 중요하게 가져가는 것 같고

게임 해상도의 경우 "중국섭" 클라이언트 기준으로
(저희가 플레이하는건 중국 내수용 앱과 클라이언트 자체가 분리되어 있어서
경우에 따라 값이 다를 수 있습니다.)

스타레일
안드로이드 높음 < 아이폰 17 프로 맥스 매우높음 < 안드로이드 매우높음

명조
동일하게 "높음" 일때 전반적으로 안드로이드보다 낮은 듯?

(중국어 자료라서 확실하게 파악은 하지 못했습니다)

일단 글로벌 서버에선 어떨지 다시 체크를 해봐야 할 것 같고요

게임 성능과 전성비도

스타레일은 안드로이드보다 확실히 프레임과 전성비가 나은데
정작 해상도 고점은 안드로이드보다 낮고

(안드로이드 해상도를 아이폰보다 낮게 해둔 상황에서도 아이폰이
스타레일 프레임과 전성비 이기는데, 해상도 고점은 안드로이드가 더 높음
상당히 복잡하죠. 데이터 해석을 잘 해야 합니다)

명조의 경우에는 더 낮은 해상도에서도
전력 효율성과 프레임 모두 안드로이드에 밀리는 등
상황이 상당히 혼란스러워서, 예전에 갤럭시 리뷰 1~2달씩 붙잡았던 것처럼

17 프로 맥스는 몇달씩 붙잡고 버전별 성능 체크하면서
장기전으로 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애플계열 디바이스 전성비 체크의 경우에는 제가 가진 장비로 불가능해서
프레임과 발열, 그래픽 디테일 위주로 체크해 보겠습니다.

(안드로이드는 암페어, 볼트 값이 ADB로 나오는데
iOS는 공식 계측 SW에서 해당 값이 안 나와서
정확하게 측정하려면 별도 계측 HW가 필요함.

PerfDog에서 아이폰 전력소모 값을 W단위로 보여주긴 하는데,
예전에 체크해봤을 때 PerfDog 버전에 따라
값이 이상하게 높거나 낮게 나오는 경우가 있었어서
현재 크로스체크 없이 PerfDog 단독으로는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공식 문서를 보면 PerfDog도 ADB와 iOS 공식 계측 툴에서 원본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기 좋게 가공 후 출력해준다고 적힌 부분들이 많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애플에서 정식으로 계측 기능을 제공해주지 않는 부분을
내부적으로 어떻게 구현했는지가 좀 궁금하기도 하네요.)

4 days ago | [YT] | 87

네모난꿈

차세대 스냅드래곤 8 Elite, 약 4.6GHz로 작동 시 긱벤치 6 싱글코어 3705점 도달.
(내용추가 : 비슷한 클럭에서 3812점 도달 자료도 등장! browser.geekbench.com/v6/cpu/13866692)

일단 이것만 봤을 때 관건은
1. 저 상태에서의 전력 소모가 어느 정도인지?
2. 분명 추후 오버클럭 버전이 나올텐데, 거기서는 어디까지 갈 수 있을지?
3. A19 Pro 대비 CPU 코어당 성능과 효율은 열세가 될 것이 유력한데, GPU 격차를 얼마나 벌릴 수 있을지?
3가지가 될 것 같습니다.

browser.geekbench.com/v6/cpu/13863433
(3700점대 링크)

browser.geekbench.com/v6/cpu/13866692 (3800점대 링크)

여담으로 오늘 업로드한 원신 6.0 최적화 영상에 있는 내용인데,
이제 안드로이드가 SW 최적화도 매섭게 따라와서
예전처럼 벤치마크 점수만 높고 실제로는 iOS에 비해 성능 안 나온다
이런 문제에서 점차 탈피하는 중이라

아이폰은 챔버 넣었고
안드로이드는 부족한 최적화 커버하고 있으니
이젠 안드로이드와 iOS 진영 모두 다 "내 손 안의 PC"에 걸맞는 성능을 보여주는
그런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는 느낌이 듭니다.

4 days ago (edited) | [YT] | 94

네모난꿈

17 프로 맥스 빅코어 클럭 평균 약 4.25GHz로 작동했을 시, 긱벤치6 싱글코어 점수가 4019점으로 4000을 돌파했습니다!!

저번에 작동클럭 가지고 단순 역산했을땐 4000 돌파가 불가능할 것으로 예측했는데,

클럭이 올라갈 때 점수 증가율이 클럭 상승률 대비 더 높게 올라가서 결국 4000점을 넘겼네요 ㄷㄷ

browser.geekbench.com/v6/cpu/13780176

이렇게 되면 8엘리트 차세대가 CPU 싱글코어 점수 측면에서 이 정도 고점을 따라오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루머상으로 싱글코어 고점 4천은 거의 확실하게 못간다고 보는 루머가 많이 있었어서요.

여담으로 A19 Pro 6코어 GPU 모델
CPU Base Frequency가 4.26 GHz인데
올해는 챔버 들어가서 그런지 쿨링을 잘해주면
고점 뽑기가 좀 수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벌써부터 작동 클럭 한계에 근접하는 벤치가 많이 나오네요.

1 week ago | [YT] | 104

네모난꿈

아이폰 17 프로 맥스 오렌지 9월 19일 오전 8시 픽업예약 성공!

혹시 몰라서 아이패드랑 맥북이랑 두대로 애플닷컴 화면 띄워놨는데
아이패드는 9시 땡 하자마자 열린 반면 맥북쪽은 아직도 조금만 더 기다리라는 화면이 뜨네요.
혹시 몰라서 기기 두대로 동시에 예약걸기를 잘한 것 같습니다 ㅋㅋ

1 week ago | [YT] | 57

네모난꿈

아이폰 17 Pro 시리즈에 탑재되는 A19 Pro 6코어 GPU 고점 =
8 엘리트 1세대+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추정치)

출처 : browser.geekbench.com/v6/compute/4765303

현재 공개된 자료를 통해 성능 고점을 파악해보자면

일단 긱벤치 6 Metal 스코어가 M2와 동급입니다.
(M2 패드 프로가 46109, 6코어 GPU A19 Pro가 45657)

긱벤치는 그래픽 API마다 점수 기준이 달라서 이걸
3DMark 와일드라이프 익스트림으로 환산해서 비교하겠습니다.

M2 아이패드 프로의 3DMark 와일드라이프 익스트림 고점이 7000점 초반대 정도입니다. (7012)

8 Elite 1이 상온에서 쿨링 잘되어 있으면 6700~6800 초중반대 정도 고점이 나오고
(6842점이 S25 울트라 전체 스코어 백분위 93%에 해당)

별도로 쿨링을 하면 7000 초반대까지 고점이 올라갑니다.
(7017점이 S25 울트라 전체 스코어 백분위 98%에 해당)

따라서 A19 Pro의 GPU 고점은 8E1+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이고요
저점이나 유지력은 아직 공개된 자료가 없어서 직접 확인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1 week ago (edited) | [YT] | 77

네모난꿈

아이폰 17 프로 라인업에 탑재되는 A19 Pro 모델의 긱벤치 6 점수가 나왔습니다.
4.2GHz에 가까운 클럭 유지하면서 돌렸을 때
싱글코어 스코어 3895점으로, A19 Pro 또한 4000의 벽은 넘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browser.geekbench.com/v6/cpu/13736665

여담으로 지난번에 나온 4300점 루머는
스크린샷 이미지에 있는 4P 4E 구성 보고 뭔가 이상하다 싶었는데 역시 가짜였습니다.

1 week ago | [YT] | 97

네모난꿈

드디어 베이퍼 챔버 들어간 아이폰이 오는건가!!!

3 weeks ago | [YT] |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