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모난꿈

아이폰 17 프로 시리즈 리뷰 관련 공지입니다.
미리 리뷰 관련해서 공지를 드리는 이유는 이번 리뷰가
장기전으로 갈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입니다.

16 프로 시절까지 아이폰은 기기가 나오면
SW 안정화가 다 되어 있어서
게임을 딱 돌렸을 때 바로 프레임과 발열 측면에서
확연하게 다른 기기들을 압도하는 모습을 보였고
그것만 봐도 충분히 성능이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올해는 상황이 좀 달라 보입니다.

Geekerwan 등 해외에서 올라온 자료를 우선적으로 체크해 보았는데,
지금 아이폰 성능 정책이 챔버를 넣고 성능을 올린다가 아니라
챔버를 넣고 발열을 잡는다... 를 제일 중요하게 가져가는 것 같고

게임 해상도의 경우 "중국섭" 클라이언트 기준으로
(저희가 플레이하는건 중국 내수용 앱과 클라이언트 자체가 분리되어 있어서
경우에 따라 값이 다를 수 있습니다.)

스타레일
안드로이드 높음 < 아이폰 17 프로 맥스 매우높음 < 안드로이드 매우높음

명조
동일하게 "높음" 일때 전반적으로 안드로이드보다 낮은 듯?

(중국어 자료라서 확실하게 파악은 하지 못했습니다)

일단 글로벌 서버에선 어떨지 다시 체크를 해봐야 할 것 같고요

게임 성능과 전성비도

스타레일은 안드로이드보다 확실히 프레임과 전성비가 나은데
정작 해상도 고점은 안드로이드보다 낮고

(안드로이드 해상도를 아이폰보다 낮게 해둔 상황에서도 아이폰이
스타레일 프레임과 전성비 이기는데, 해상도 고점은 안드로이드가 더 높음
상당히 복잡하죠. 데이터 해석을 잘 해야 합니다)

명조의 경우에는 더 낮은 해상도에서도
전력 효율성과 프레임 모두 안드로이드에 밀리는 등
상황이 상당히 혼란스러워서, 예전에 갤럭시 리뷰 1~2달씩 붙잡았던 것처럼

17 프로 맥스는 몇달씩 붙잡고 버전별 성능 체크하면서
장기전으로 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애플계열 디바이스 전성비 체크의 경우에는 제가 가진 장비로 불가능해서
프레임과 발열, 그래픽 디테일 위주로 체크해 보겠습니다.

(안드로이드는 암페어, 볼트 값이 ADB로 나오는데
iOS는 공식 계측 SW에서 해당 값이 안 나와서
정확하게 측정하려면 별도 계측 HW가 필요함.

PerfDog에서 아이폰 전력소모 값을 W단위로 보여주긴 하는데,
예전에 체크해봤을 때 PerfDog 버전에 따라
값이 이상하게 높거나 낮게 나오는 경우가 있었어서
현재 크로스체크 없이 PerfDog 단독으로는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공식 문서를 보면 PerfDog도 ADB와 iOS 공식 계측 툴에서 원본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기 좋게 가공 후 출력해준다고 적힌 부분들이 많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애플에서 정식으로 계측 기능을 제공해주지 않는 부분을
내부적으로 어떻게 구현했는지가 좀 궁금하기도 하네요.)

4 days ago | [YT] |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