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예술종합학교 K-Arts TV

한국예술종합학교 공식 유튜브 채널입니다. 공연과 전시·교육, 창작의 현장을 담아 예술의 가치와 감동, 그리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예술가들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The official YouTube channe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capturing performances, exhibitions, education, and creation to share the value and inspiration of art and the stories of artists moving toward the future.


한국예술종합학교 K-Arts TV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기악과 첼로를 전공한 첼리스트 이유빈이 제22회 2025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첼로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
또한 한국예술영재교육원 재학 중이며 2026학년도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예술사에 예술영재로 입학 예정인 첼리스트 이재리가 2위를, 4위는 기악과 첼로전공 4학년에 재학 중인 최아현이 차지했습니다. 🥈🥉

9일 통영국제음악재단에 따르면, 11월 8일 열린 결선 무대에서 레오시 스바로프스키 지휘자가 이끄는 통영페스티벌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고, 쇼스타코비치 첼로 협주곡 제1번을 연주한 이유빈이 1위 수상과 함께 UNESCO 음악창의도시 특별상👏 등 2관왕에 올랐습니다.
이어 드보르작 첼로 협주곡을 연주한 이재리가 2위 및 박성용 영재특별상을, 최아현이 4위로 수상자로 결정되었습니다.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는 세계적인 작곡가 윤이상(1917~1995)을 기리며 재능 있는 젊은 음악인을 발굴‧육성하기 위해 2003년 시작되었습니다.
국내 콩쿠르 가운데 2006년 국내 최초로 국제음악콩쿠르세계연맹에 가입하였으며, 매년 첼로‧피아노‧바이올린 순서로 열립니다.
올해는 첼로 부문으로, 23개국 137명의 참가자가 지원하였고 11월 1일부터 8일까지 통영국제음악당에서 진행되었습니다. 🌍🎶

1위 수상자 이유빈은 한국예술영재교육원을 수료 후 2018년도에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입학하였으며, 졸업 후 독일 베를린 한스 아이슬러, 바렌보임-사이드 아카데미, 프라이부르크에서 공부하였습니다.
첼리스트 이강호, 츠요시 츠츠미, 트룰스 스바네 교수를 사사하였으며, 2021년 헝가리에서 개최된 다비드 포퍼 국제첼로콩쿠르에서 1위와 특별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

2위 수상자 이재리는 현재 한국예술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이며, 2026년 음악원 예술영재로 입학할 예정입니다.
이강호 교수를 사사하고 있으며, 올해 중국에서 열린 제6회 쇤펠트 국제 현악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하였습니다. 🇨🇳🎻

4위 수상자 최아현은 한국예술영재교육원을 수료한 후 2022학년도 음악원 예술영재로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입학하여 박상민 교수를 사사하고 있습니다.
제51회 중앙음악콩쿠르 첼로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한 바 있습니다. 🏅

수상자들은 11월 9일 광주예술의전당 대극장에서 열린 입상자 콘서트 무대에 섰습니다. 🎼🎻👏

1 day ago (edited) | [YT] | 29

한국예술종합학교 K-Arts TV

한국예술종합학교 융합예술센터 아트콜라이더랩은 오는 11월 11일(화)부터 13일(목)까지 석관동 캠퍼스 일대에서 <2025 커넥티드 위크: 열린학교>를 개최합니다. 🎨

올해의 주제는 ‘합류지점(Confluence)’입니다.
이는 서로 다른 흐름들이 만나 새로운 방향으로 흘러가는 지점을 뜻합니다.
아트콜라이더랩 설립 10주년과 커넥티드 캠퍼스 5년간의 여정이 새로운 시대의 예술과 교차하며 예술과 기술, 교육의 미래를 함께 상상하는 융합예술 축제입니다. 🌊💡

🌐아트콜라이더랩 10년의 궤적, ‘열린학교’로 이어지다

지난 10년간 아트콜라이더랩은 ‘충돌, 새로움의 발견’을 모토로 다양한 융합예술 교육과 협업을 통한 창작 실험을 이어왔습니다.
특히 ‘커넥티드 캠퍼스’ 프로젝트를 통해 예술대학의 디지털 전환과 6개원을 아우르는 시범교육사업을 기획·운영하며 다양한 장르와 경계를 넘나드는 협업의 장을 조성하고 지속가능한 예술교육의 패러다임을 실험해왔습니다.

이번 페스티벌은 그간의 성과를 기록하고 현업예술가와 예비창작자, 그리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미래 예술 창작의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하는 자리입니다.
‘기록(Archiving)’, ‘연결(Connecting)’, ‘상상(Imagination)’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 아래 다양한 전시와 렉처, 공연 프로그램이 이어집니다.

🎭 전시 – 10년의 여정, 함께 한 작가들

메인 전시인 10주년 아카이브 전시는 석관동 캠퍼스 본관 갤러리에서 열립니다.
아트콜라이더랩의 10년간의 교육·창작·연구의 궤적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이번 전시에는 아트콜라이더랩의 교육과 창작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현재 활발히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나이야드(구 소망사무국)의 <모두의 소망>, 두도웨이브(김래오, 두루필)의 <케미컬 엑스>, 옥세영 작가의 <그림자의 방>과 <그림자의 밤>, 그리고 원우리 작가의 <음정 응답>이 전시됩니다.🧠

또한 3면 인터랙티브 프로젝션이 가능한 창작실험실 AC-CAVE(창조관 104호)에서는 커넥티드 캠퍼스 창작 프로젝트 참여 학생들이 제작한 인터랙티브 아트게임과 XR 이머시브 퍼포먼스 전시가 진행됩니다.
이 밖에도 캠퍼스 내에 구축된 인터랙티브 미디어월에서는 2025년 아트콜라이더랩 아카데미와 커넥티드 캠퍼스 미술원 연계 시범교육사업 참여 학생들이 작품을 선보입니다. 🖼️

🧑‍🏫 렉처 – 충돌과 융합, 그 다음

행사 기간 동안 매일 다양한 주제의 렉처와 라운드테이블이 이어집니다.
첫째 날은 두산큐레이터워크숍과 협력하여 <서로의 틈으로 연결되기>를 주제로 렉처와 워크숍이 진행됩니다.
두 번째 날은 아트콜라이더랩 출신 아티스트 김래오, 이광현 작가와 동시대 작가 조은희, 황선정 작가가 참여해 새로운 예술 창작의 가능성을 모색합니다.
셋째 날에는 신나래 주무관, 신원정 작가, 이진원 감독, 임현진 프로듀서, 최윤정 큐레이터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함께하여 예술과 사회의 접점을 조명합니다. 🔍🎤

🎉 폐막행사 – Collider! Collider! 예술·기술·사람이 연결되는 밤

마지막 날인 13일 저녁 6시부터 갤러리에서 폐막행사가 열립니다.
케이터링과 함께 창작자, 연구자, 학생,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자유롭게 교류하며 3일간의 여정을 마무리합니다.
공연과 렉처 퍼포먼스로 채워지는 폐막 무대에는 음악원과 영상원이 함께하는 <Steve Reich: Music for Pieces of Wood (Interactive ver.)>, 장재호 초대 센터장의 <Trustless Numbers 0x01>, 박선유의 <어떤 면>, 박인수 교수의 <탈춤의 선>이 포함됩니다.

폐막행사와 렉처 프로그램은 사전 신청제로 운영되며, <2025 커넥티드 위크: 열린학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트콜라이더랩 홈페이지(www.artcollide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days ago (edited) | [YT] | 20

한국예술종합학교 K-Arts TV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에 재학 중인 김현서가 제58회 파가니니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에서 역대 최연소로 3위를 차지했습니다. 🎻

이번 대회는 10월 25일(현지시간) 이탈리아 제노바에서 결선이 열렸으며, 김현서는 3위 수상과 함께 청중상, 최연소 결선 진출자상 등 특별상 2개 부문까지 휩쓸며 3관왕에 올랐습니다. 🏆

파가니니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는 세계적인 바이올린 거장 니콜로 파가니니를 기리기 위해 1954년 제노바에서 창설되어 2년마다 열리는 권위 있는 콩쿠르입니다.

기돈 크레머(1969), 레오니다스 카바코스(1988) 등 세계적인 연주자들이 우승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으며, 한국인으로는 백주영(1996, 3위), 이유라(2006, 2위), 양인모(2015, 1위) 등이 입상한 바 있습니다.

김현서는 2010년생으로 만 15세에 불과하며, 이번 대회 역대 최연소 참가자이자 수상자라는 놀라운 기록을 세웠습니다. ✨

그는 3위상과 특별상을 합쳐 총 1만 5천 유로(한화 약 2,500만 원)의 상금을 받았으며, 부상으로는 산타체칠리아 국립 아카데미 오케스트라, 시칠리아 신포니카 오케스트라, 라 페니체 극장, 볼로냐 페스티벌, 파가니니 제노바 페스티벌 등 이탈리아 전역 및 세계 주요 무대에서의 연주 기회가 주어집니다. 🌍🎶

김현서는 4세에 바이올린을 시작해 2021년 금호영재콘서트로 공식 데뷔하였고, 지난해에는 비오티 국제 콩쿠르에서 성인들과 경쟁하여 2위에 오르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그는 고(故) 김남윤 교수의 마지막 제자로 한국예술영재교육원을 거쳐, 올해 3월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에 최연소 영재 입학하였으며, 현재 이지혜 교수를 사사하고 있습니다. 🎼

한편, 이번 대회 1위는 중국의 장 아오제(17), 2위는 일본의 요시모토 리노(22)가 차지했습니다.

2 weeks ago | [YT] | 93

한국예술종합학교 K-Arts TV

AI는 "창작의 도구인가, 적인가?" 🤖
한국예술종합학교 융합예술센터 A&T랩은 오는 10월 30일(목)부터 11월 1일(토)까지 김희수 아트센터 갤러리 1·2에서 ‘A.I x ART x HUMAN’이라는 주제로 첨단 융복합 콘텐츠 쇼케이스 및 컨퍼런스를 개최합니다.

이번 쇼케이스에서는 생성형 AI가 실시간으로 내러티브를 만들어내는 작품부터 NeRF와 볼류메트릭 캡처 등 최신 기술이 집약된 VR 다큐멘터리까지, 지난 1년간 AT랩이 글로벌 무대에서 검증받은 미래형 작품들이 국내 최초로 공개됩니다. 🌍

2025 베니스 국제영화제 이머시브 경쟁 부문 초청작 <저녁 8시와 고양이>, 2025 SXSW XR 부문 초청작 <플라이 투 유>, 2025 레인댄스 영화제 베스트 이머시브 씨어터상 수상작 <허수아비: 리킨들>, 그리고 ‘AI 배우(버추얼 캐릭터)’를 활용한 미래형 AI 네이티브 콘텐츠 <다이아몬드 더스트>(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초청)를 포함해 총 7편의 AI·XR 융복합 작품이 상영됩니다. 🎬

또한 10월 31일(금) 오후 2시에는 김희수 아트센터에서 ‘AI와 스토리텔링의 미래’를 주제로 컨퍼런스가 개최됩니다. 📢
이 자리에서는 "AI는 콘텐츠 시장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생성형 AI 시대, 창작자의 역할은 무엇인가", "기술과 예술은 어떤 방식으로 협업할 수 있는가" 등 동시대 예술과 기술이 직면한 핵심 질문들을 함께 탐구합니다.

컨퍼런스에서는 AT랩이 제작한 쇼케이스 작품들의 실제 제작 과정이 공유되며, 이를 바탕으로 한예종 창작·연구진의 생생한 현장 경험과 인사이트가 소개될 예정입니다. 💡

관람은 사전 예약제(무료)로 운영되며, 자세한 내용은 AT랩 공식 홈페이지 kartsat.com/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한편, 한국예술종합학교 AT랩은 과학 기술과 문화 예술, 산업과 교육의 융합을 목표로 하는 창·제작 연구소입니다.
<허수아비>, <레인 프루츠> 등의 작품으로 선댄스, 칸, 트라이베카 등 세계 주요 영화제에 초청되어 다수의 상을 수상했으며, 올해에도 <Fly To You>(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 초청), <허수아비: 리킨들>(레인댄스 영화제 수상), <저녁 8시와 고양이>(베니스 국제영화제 이머시브 경쟁 부문 초청) 등 성과를 이어가며 융합예술교육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창작 역량을 입증했습니다. 🏆

또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지원하는 ‘글로벌 문화기술(CT) 전문인력 양성 사업’, 스튜디오 드래곤과의 ‘AI 드라마 제작 사업’ 등을 통해 인공지능 스토리텔링의 R&D와 글로벌 산업화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

2 weeks ago (edited) | [YT] | 32

한국예술종합학교 K-Arts TV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졸업작품 <충충충>(한창록 감독)이 🎉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부산어워드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습니다.
한창록 감독(영상원 영화과 예술전문사 졸업)의 첫 장편 연출작 <충충충>은 👀 10대들의 눈으로 바라본 세계를 차갑지만 생생하게 담아내며, 우리 사회에 묵직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으로 주목받았습니다.
심사위원 특별상은 🏆 작품의 탁월한 예술적 성취에 주목해 수여하는 상으로, 올해 새롭게 도입된 경쟁부문에서 첫 수상작으로 선정되어 더욱 뜻깊습니다.
또한 영상원 졸업생들의 성과가 이어졌습니다. ✨임정환 감독(영화과 예술사 졸업)의 <관찰자의 일지>가 크리틱b상을 수상했고, 영화과 예술전문사 시나리오 전공 재학 중인 ✨이가홍(이경민)이 각본에 참여한 <흐르는 여정>은 한국영화감독조합 플러스엠상과 KBS독립영화상을 함께 수상했습니다.

1 month ago | [YT] | 73

한국예술종합학교 K-Arts TV

한국예술종합학교 문화예술교육센터가 가을을 맞아 <2025 예술이 머무는 시간>을 개최하고 일상 속에서 예술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입니다 🍂🎨

<예술이 머무는 시간>은 한예종 문화예술교육센터 「예술교육 창작연구」의 일환으로, 한예종 졸업생 및 재학생으로 구성된 예술가이자 예술교육가들이 직접 연구·개발한 프로그램입니다. 매년 많은 관심을 받아온 이 프로그램은 참여자 중심의 예술 경험을 통해 예술의 다양성과 깊이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

올해는 아동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총 7개의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ㅇ드로잉 Lab 🖍️ : 드로잉을 통해 감각을 확장하는 실험적 창작 워크숍
ㅇ소리땐스 음쌉쌉 🎶 : 몸과 소리로 자유롭게 표현하는 즉흥 퍼포먼스
ㅇ뮤지컬 탐험대 🎭 : 무대 위에서 노래와 춤을 직접 경험하는 뮤지컬 워크숍
ㅇ예술가면 놀이터 🎪 : 연극과 무용을 통해 몸짓으로 소통하는 창의 놀이터
ㅇ연극놀이: 우리를 잇다 🤝 : 예술가, 어린이, 보호자가 함께하는 연극 놀이
ㅇ틈틈이 탈춤 🕺 : 다양한 탈춤의 매력을 직접 느끼고 즐기는 신나는 시간
ㅇ오늘의 도구, 오늘의 만들기 🧰 : 도구와 창작으로 나만의 세계를 그리는 만들기 체험

각 프로그램은 연령별로 맞춤 설계되어 있으며, 참가비는 전액 무료입니다. 신청은 9월 24일(수)부터 온라인으로 가능하며, 정원이 마감되면 조기 종료됩니다 ⏳

자세한 사항은 한예종 홈페이지 👉 www.karts.ac.kr > 공연/전시/교육 > 문화예술교육센터
또는 전화 02-746-9765, 이메일 munhwa@karts.ac.kr 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가을, 예술이 머무는 시간 속에서 감각을 깨우고 일상에 작은 예술의 숨결을 더해보시기 바랍니다 🍁

1 month ago | [YT] | 30

한국예술종합학교 K-Arts TV

한국예술종합학교 융합예술센터 아트앤테크놀로지랩(이하 AT랩)은 오는 9월 30일(화)부터 10월 2일(목)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제1회 서울 국제 AI 필름 페스타(SGAFF)에 참가해 특별 제작 상영작 ⟪PULSE⟫를 공개하고 ‘AI 배우’를 주제로 컨퍼런스를 진행합니다 🎥

서울 국제 AI 필름 페스타(SGAFF)는 국내외 최대 규모의 작품 공모전과 함께 진행되는 AI 영화제로, MBC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특별시가 공동 주최합니다. 이번 영화제는 생성형 AI 기술과 문화·예술이 결합한 새로운 창작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기획되었으며, 올해의 슬로건은 ‘AI와 인간의 하모니, 춤추는 미디어(Dances with A.I)’입니다. 다양한 AI 기반 작품 상영과 시상, 컨퍼런스, 업계 간담회 등 부대 프로그램이 마련됩니다 🤖

AT랩은 2일 차에 마련된 프로그램을 통해 AI를 활용한 특별 제작 상영작 ⟪PULSE⟫를 공개한 후, 제작기와 함께 컨퍼런스를 진행합니다. 이승무 소장(영상원 영화과 교수)은 ‘가상 휴먼 배우에서 인공지능 배우까지: 한예종 AT랩 AI·XR 로드맵 중심’을 주제로 발표하며, 영상원 졸업생 전누리와 재학생 임민재는 각각 ‘AI배우의 가능성과 한계’, ‘AI배우와 관객의 감성적 인터랙션’을 주제로 발표합니다. 또한 연극원 연기과 졸업 후 영상원 멀티미디어영상과 재학 중인 이도하는 ‘AI 배우가 할 수 없는 것’을 주제로 관객과 함께 질문을 나눕니다.

👉 행사 일정: seoul-aifesta.com/timetable

AT랩은 과학 기술과 문화 예술, 산업과 교육의 융합을 목표로 설립된 창·제작 연구소입니다. ⟪허수아비⟫, ⟪레인 프루츠⟫ 등으로 선댄스, 칸, 트라이베카 등 세계 유수 영화제에서 초청 및 수상을 이루었으며, 2025년에도 ⟪Fly To You⟫(SXSW 초청), ⟪허수아비: 리킨들⟫(레인댄스 영화제 수상), ⟪저녁 8시와 고양이⟫(베니스 영화제 이머시브 경쟁 부문 초청) 등으로 글로벌 성과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 또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지원하는 ‘글로벌 문화기술(CT) 전문인력 양성 사업’, 스튜디오 드래곤과의 ‘AI 드라마 제작 사업’ 등을 통해 AI 스토리텔링 R&D와 산업화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1 month ago | [YT] | 25

한국예술종합학교 K-Arts TV

📽️ 한예종 영상원 개원 30주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특별전 개최!
한국예술종합학교는 영상원 개원 30주년을 맞아,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커뮤니티비프와 함께 대규모 기념행사를 진행합니다.

🎞️ 9월 19일부터 21일까지 열리는 ‘영상원 30주년 특별전’에서는 한예종 출신 감독들이 재학 시절 연출한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멀티미디어 영상, 극영화 등 다양한 장르의 단편·장편 총 20여 편이 상영됩니다.

👀주요 작품 :
윤은경·김은희 작가의 단편 <호모 파베르> (📺 약 20년 만에 스크린 상영)
이제훈 배우의 초기 출연작 <아, 맨>
<파묘>의 장재현 감독 연출 <12번째 보조사제>
이경미, 김성수, 남아름 감독의 장편 등

✨ 특별히, CJ ENM과 한예종이 공동제작한 옴니버스 영화 <프로젝트 30>이 세계 최초 공개됩니다.
한예종 교수·동문·재학생 총 30인이 참여해 만든 이 작품은 한국영화의 미래에 대한 실험과 비전을 담아냈습니다.

🎤 9월 19일 저녁, 커뮤니티비프 광장 야외무대에서는 한·중·일 AMA+ 장학프로그램 출신 감독들과 함께하는 상영 및 토크 행사도 열려, 국제 공동 제작 프로그램의 성과를 공유합니다.

🧭 9월 20일에는 30주년 기념 포럼도 개최
‘아시아 영상교육의 미래’를 주제로, 영상원이 지난 30년간 축적한 교육적 성과와 아시아 영화 교육 네트워크의 지속 가능성을 모색하는 자리가 열립니다.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각국 교육자·영화인들이 함께 참여해 공동 제작 및 교류 사례를 공유합니다.
👀발표자: 김소영, 편장완, 이정민 교수, 캄보디아 감독 힘 소티샤, 일본영화대학 학장, 베이징필름아카데미 교수 등

📚 정서경 작가 북토크 & 미미시스터즈 토크 콘서트도 함께
<헤어질 결심>, <아가씨>의 정서경 작가가 영상원 시절과 첫 시나리오, 작가로서의 삶을 이야기하는 북토크가 9월 19일 BNK아트시네마에서 열립니다.

🎶 또한 남포동 비프광장 야외무대에서는 미미시스터즈의 라이브와 함께
<겨울연가> 윤은경·김은희 작가, <리틀 포레스트> 민예지 작가, <썸바디> 한지완 작가 등 네 명의 영상원 동문 작가들이 영상원 시절을 돌아보는 토크를 진행합니다.

🎟️ 모든 상영은 커뮤니티비프 공식 홈페이지에서 예매 가능하며 👉 community.biff.kr/kor/ 행사는 9월 19일(금)~21일(일), 부산 남포동 일대에서 3일간 진행됩니다.

영상원 30주년을 기념하는 이번 행사는 예술적 성과를 공유하고, 아시아 영상 교육의 미래를 함께 고민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입니다. 🎉

2 months ago (edited) | [YT] | 24

한국예술종합학교 K-Arts TV

한국예술종합학교🎓는 영상원 개원 30주년을 기념해 제17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와 함께 포럼 및 상영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9월 13일(토) 킨텍스 세미나실에서는 전규찬 교수의 사회로 ‘아시아청년다큐멘터리 공동제작’ 10년의 여정을 돌아보고, 지속 가능성과 향후 비전을 모색하는 포럼이 열립니다🌏. 일본, 중국 등 아시아 각국의 대학 관계자들이 함께합니다.

또한 4~6월 진행된 영상 비평-제작 워크숍 ‘오디오비주얼 필름 크리틱’을 통해 완성된 단편 옴니버스 영화 <또 다른 영화🎬>가 에세이 부문에 공식 초청되어 월드 프리미어로 상영됩니다.

총 11편의 단편은 영화, 사진, 게임, 광고 등 일상의 이미지를 사유적‧풍자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시선이 하나의 흐름 안에서 교차합니다💡.

상영은 9월 13일(토) 오전 11시 메가박스 킨텍스 6관, 9월 17일(수) 오후 1시 30분 5관에서 진행되며, 자세한 정보는 DMZ영화제 홈페이지 www.dmzdocs.com/kor/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months ago | [YT] | 22

한국예술종합학교 K-Arts TV

📽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의 개원 30주년 기념 워크숍 결과물인 단편 옴니버스 영화 ⟪또 다른 영화⟫(영문 제목: Fragments Across the Screen)가 제17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에세이 부문에 공식 초청되었습니다.

⟪또 다른 영화⟫는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진행된 영상 비평-제작 워크숍 ‘오디오비주얼 필름 크리틱’의 결과물로, 영상원 구성원 11명이 감독으로 참여해 완성한 단편 옴니버스 작품입니다.

이 워크숍은 디지털 시대의 영상 문해력 약화를 주목하며, 유튜브 세대의 창의적인 영상 독해와 제작 능력 향상을 목표로 기획되었습니다.영상원 교·강사부터 졸업생, 재학생까지 다양한 구성원이 참여했으며, 유운성 평론가의 지도 아래 각자의 시선과 해석으로 작품을 완성해냈습니다.

DMZ영화제 측은 “고전과 동시대, 한국과 해외의 다양한 영화들에 대한 비평적 사유와 파운드 푸티지,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이 담긴 작품”이라며 “열한 명의 감독이 각자의 시선과 목소리로 새로운 창작의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평가했습니다.

🎞 월드 프리미어 상영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9월 13일(토) 오전 11:00 | 메가박스 킨텍스 6관
* 9월 17일(수) 오후 13:30 | 메가박스 킨텍스 5관

상세 정보는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공식 홈페이지 프로그램 > 에세이 섹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www.dmzdocs.com/kor/

영상원 30주년의 의미와 함께, 미래 영상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이번 작품에 많은 관심과 관람 부탁드립니다. 🎬

2 months ago (edited) | [Y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