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업 개발자 코딩아재입니다.
코딩, 수학, 전자회로에 관심을 가지고 살아가는 40대 개발자이며,
이 채널은 제가 가진 다양한 관심사와 생각을 나누기 위해 개설했습니다.
📌 댓글 관련 안내드립니다
아래와 같은 경우 작성자 통보 없이 댓글이 삭제될 수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추후 자동으로 필터링 및 삭제하는 로봇을 제작할 예정입니다)
ㄴ 개인적인 연락 요청
ㄴ 콘텐츠와 무관하거나 비방성 내용
ㄴ 이메일 또는 연락처가 포함된 댓글
감사합니다!
#웹개발 #백엔드 #전자회로 #소프트웨어공학 #알고리즘 #코딩아재 #Codingajae
코딩아재
안녕하세요, 코딩아재입니다.
오늘 업로드된 "운영편 6화 - 로그분석(2): 강력한 로그검검색 grep"은 실무에서 꼭 필요한 로그 필터링과 추출 기술을 다뤘습니다. 시청해주시고 응원해주시는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 다음 영상은 운영편 7화로, ‘성능 분석’ 시리즈의 첫 번째 주제인 uptime, dmesg, vmstat 명령어를 중심으로 시스템 상태 확인 방법을 다룰 예정입니다.
📌 다만 차주는 본업 일정으로 인해 영상 제작을 잠시 쉬어가려 합니다.
대신 7화와 8화, 더 나아가 9화와 10화까지의 콘티 기획을 미리 준비하여, 다음 회차부터는 더 정리된 흐름으로 콘텐츠를 전달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늘 변함없이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운영편 시리즈는 앞으로도 꾸준히 이어집니다! 😊
#서버운영 #리눅스명령어 #로그분석 #grep #시스템성능 #uptime #dmesg #vmstat #코딩아재 #본업우선 #콘티기획중
2 weeks ago (edited) | [YT] | 27
View 2 replies
코딩아재
안녕하세요, 코딩아재입니다 😊
현재 백엔드 입문(운영편) 시리즈를 연재 중입니다.
최근에는 리눅스 명령 실행 과정을 직접 보여주고,
AI 보이스를 활용하는 등 다양한 실험을 통해 영상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경험과 상상력을 담아 만든 콘텐츠지만,
막상 업로드하고 나니 아쉬움도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따뜻하게 호응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정기적으로 매주 목요일 영상을 업로드해왔지만,
다음 목요일은 한 주 쉬고, 그 다음 주부터 연재를 재개할 예정입니다.
현재 5화부터 8화까지의 분량을 한꺼번에 제작 중이며,
회사 업무도 겹쳐 잠시 숨 고르기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앞으로도 더욱 알찬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코딩아재 #백엔드입문 #운영편 #AI보이스 #리눅스명령어 #유튜브공지 #개발유튜버
1 month ago (edited) | [YT] | 20
View 0 replies
코딩아재
안녕하세요 코딩아재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글을 올립니다. 그 동안 시리즈 영상작업을 진행하고 있었는데요
차주 목요일 부터, 백엔드 입문(운영편을) 시작할까 합니다.
이번 시리즈도 구독자님들께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2 months ago (edited) | [YT] | 28
View 2 replies
코딩아재
안녕하세요. 코딩아재입니다.
오늘 새 재생목록을 공개하였습니다.
"수면영상"과 "삶의철학"이란 재생목록인데요.
제가 평소에 자주 보고 듣는 영상들입니다.
"수면영상"은 제가 평소 잠들기 전에 틀어놓는 재생목록이고,
"삶의철학"은 제목이 거창하긴 한데, 처음 "코딩아재"채널을 만들 당시 많은 영감을 얻은 영상들입니다.
오늘 문득 이런 재생목록들을 굳이 비공개로 할 필요가 있나 하는 생각이 들어,
재생목록을 구성하고 공개하였습니다.
2 months ago (edited) | [YT] | 10
View 2 replies
코딩아재
안녕하세요. 코딩아재입니다.
구독자 여러분께 "백엔드입문(운영편)"에 대한 진행사항을 알려드리고자 글을 남깁니다
입문 시리즈는 "기획-대본작성-녹음(TTS 더빙)-자망영상제작-콘티-PPT영상-영상병합" 순으로 진행되는데요
현재 10화 까지 TTS더빙과 자막영상제작이 마무리된 상황입니다.
이제 1화부터 콘티를 작성하여 영상을 제작하고 있는데,
갑작스런 회사 프로젝트 추진으로 제작일정이 미뤄지고 있습니다.
아마 3월 초 부터 시리즈 반영이 시작될 듯합니다.
유튜브 채널관리도 중요하지만, 제 본업이 우선인지라
제작일정에 차질이 생긴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2 months ago (edited) | [YT] | 12
View 2 replies
코딩아재
안녕하세요. 코딩아재입니다.
구독자여러분 설 연휴 어떻게 보내고 계시나요?
저는 지금 더빙작업을 한참 진행중입니다.
인공지능 TTS서비스를 이용하여 작업하고 있는데,
확실히 제가 직접 녹음한거 보다 더 많은 작업을 할 수 있음에 놀라고 있습니다.
제가 앞서 백엔드입문(운영편)에 대한 회차 계획을 언급한바 있는데요,
아무래도 제작단계를 2단계로 구분해야 할 듯합니다
## 1차 제작
ㄴ (01화) 개요 - CLI와 GUI
ㄴ (02화) 리눅스1 - 파일시스템
ㄴ (03화) 리눅스2 - 프로세스와 네트워크
ㄴ (04화) 리눅스3 - 배쉬쉘 빌트인 명령
ㄴ (05화) 로그분석1 - 로그확인 및 출력
ㄴ (06화) 로그분석2 - 강력한 로그검색 GREP
ㄴ (07화) 성능분석1 - 시스템 상태 확인 명령어
ㄴ (08화) 성능분석2 - 자원 활용 분석 명령어
ㄴ (09화) 서버테스트1 - 네트워크 통신 테스트
ㄴ (10화) 서버테스트2 - 네트워크 상태 모니터링
## 2차 제작
ㄴ (11화) 개발환경1 - SSH와 SCP
ㄴ (12화) 개발환경2 - 텍스트에디터
ㄴ (13화) 개발환경3 - Docker와 가상머신
ㄴ (14화) 마무리 - 개발과 운영사이
11~14화 같은 경우, 실무에서 사용하는 툴에대한 이야기로
제가 백엔드 업무를 수행할때, 자주 사용하는 도구와 나름데로의 개발과정들을 소개할 예정인데요.
1차 작성을 하다보니 내용이 부실한 부분이 있어,
1차 반영후에 2차 제작을 진행할까 합니다.
2 months ago (edited) | [YT] | 19
View 8 replies
코딩아재
안녕하세요. 코딩아재입니다.
구독자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어떤 일이건 간에 모두 잘 되시길 바랍니다.
저는 지금 "백엔드입문 운영편"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대본-더빙(녹음)을 병행하며 작업하고 있는 단계이구요.
1화 부터 14화 까지의 대본 초안을 작성한 상태에서 계속 수정하고 있습니다.
더빙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더빙시의 기호들은 어떻게 발음해야 하는지등을 고민하면서 작성하고 있구요
설이 끝나기 전에 14화 까지 녹음 마무리를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2 months ago | [YT] | 25
View 4 replies
코딩아재
안녕하세요 코딩아재입니다.
최근에 "개발자의 본질"이란 개발묵상 영상을 올렸는데요
생각보다 시간이 꾀 오래걸려 시간이 지체되었습니다 ^^;;
"개발자의 팩트"라는 주제도 다뤄야 하는데,
백엔드 운영편 제작준비도 중요한지라 잠시 중단하도록 하겠습니다
개발묵상 시리즈는 백엔드 운영편 시리즈가 정리되는데로
재개토록 하겠습니다
2 months ago (edited) | [YT] | 14
View 0 replies
코딩아재
안녕하세요 코딩아재입니다
다음 개발묵상인 "개발자의 본질"에 대한 기획을 공유합니다
생각보다 분량이 크네요 ㅜㅜ
## 개발자의 본질
** 이전 영상에서의 개발자
ㄴ 개발자의 본래 가치는 문제를 해결하고 그에 수반되는 설계능력과 책임감을 갖춰야 한다
ㄴ 개발자가 되기 위해 코딩 학습은 필수지만, 실제 업무는 코딩에 국한되지 않는다.
** 인공지능과 코딩
ㄴ (동기들의 의견) 개발자 지위는 높아질 것이나 코딩에 집착한 개발자는 아니다
ㄴ (주변의 의견) Python이 대세이고, Java는 망할 것이다
ㄴ (혼란의 이유) 인공지능으로 인해 개발자의 가치가 코딩에 얼마나 의존해야 하는지에 대한 혼란이 생김.
** 개발자가 되고 싶었던 나의 이야기
ㄴ 코딩이 하고 싶어서 개발자가 된 것은 아니였다. 컴퓨터를 통해 무엇인가를 만들기 원해서다
ㄴ 개발자로 종사하면서 코딩스킬에 대한 평가가 코딩에대한 집착으로 이어졌다.
ㄴ 인공지능 발전으로 인한 나의 혼란은 코딩에 집착했던 마음이였다
ㄴ 결국, 개발자는 단순히 코드 작성자가 아니라 문제 해결자다.
** 개발자는 코딩과 통찰력으로 증명한다
ㄴ 개발자는 코딩으로 실력을 증명하는 직업이다.
ㄴ 하지만, "코딩으로 증명한다"는 것이 반드시 직접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ㄴ 코딩을 하지 않아도 개발 실력이 드러나는 이유는 코딩 지식과 기술로 사고하고 설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ㄴ 코딩은 단순한 작업이 아니라 개발자의 사고를 표현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다.
ㄴ 상상력, 통찰력, 창의력은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최적의 해결책을 설계하는 개발자의 핵심 능력이다.
ㄴ 개발자는 코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창의적 사고를 실현하며, 그 가치를 증명한다.
## 인공지능 시대의 코딩학습
ㄴ 통찰력 있는 코딩학습이 핵심이다. 학원을 통한 학습도 중요하지만 ChatGPT를 통한 코딩학습을 추천
ㄴ 코딩에 지식이 없는 상황에서 막연함을 확신으로 바꾸는 질문을 통해 코딩학습을 하라
ㄴ 추천코스 1: (단순 PHP게시판 작성) -> (Python을 이용한 frontent/backend), 예제를 통한 디버깅
ㄴ 추천코스 2: python 언어(입출력,제어,반복문) -> java (메소드,객체지향) -> C언어(메모리제어)
ㄴ 추천코스 3: 특정언어를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기반 미니프로젝트 진행
ㄴ 핵심은 통찰력 있는 질문을 계속 생성하여 언어공부를 해야한다
4 months ago | [YT] | 13
View 0 replies
코딩아재
안녕하세요 코딩아재 입니다
요즘 "개발묵상"을 통해 제 생각을 올리고 있습니다.
"개발입문"시리즈 제작하기 전까지 영상을 두 편 더 올릴거 같은데요
죄송합니다만 두 편 모두 좋은 내용들은 아닌듯합니다.
ㄴ 개발자의 본질 - 코딩에 대한 저의 경험담과 앞으로의 코딩공부를 나눌까합니다
ㄴ 팩트체크 - 검색엔진이 엉망이란 유튜버들의 영상을 보며 느낀점을 나눌까합니다.
앞으로의 개발자는 더 많은 고민을 해 가며 일을 해야하는 시대입니다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전화번호를 외우지 않던 것 처럼
인공지능 등장으로 개발자는 더 높은 기준을 바라보며 개발해야합니다
저는 그런 기준으로 나머지 두편을 제작하고자 합니다
개발묵상 "콘텐츠 소개"편에서 제가 발음과 진행능력이 부족하여 많은 고민을 하였지만
작금의 시대변화가 그런 여유를 주지 못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좋은 목소리로 영상을 제작하고 싶은 마음은 간절하지만 그걸 따질 시기는 아니라 판단합니다.
저는 시작하는 개발자분들이 제 영상을 통해 부족하게나마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앞으로의 시대는 여러분들께서 주도하여 잘 이끄실 것이라 저는 믿습니다
4 months ago | [YT] | 10
View 6 replies
Lo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