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이란 머리로 아는 것이 아니라 몸과 마음으로 새기는 변화의 과정"
<---------------------------------------->
< 수행의 기본 이치 >
1. 모든 행위는 ‘느낌’ 이후에 일어난다.
2. 대부분의 사람은 그 느낌을 인지하지 못한 채 조건반사적 반응을 한다.
3. 수행의 핵심은 그 ‘느낌’을 즉시 자각하는 습관, 즉 알아차림이다.
4. 느낌 다음에 이어지는 감정, 욕망, 집착을 차단하면 윤회의 고리를 끊을 수 있다.
<------------------------------------------>
《 불도회 》 ◇ '불교는 본래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는 실천철학' ◇ 부처님의 불법을 수행하는 도반들의 모임 ( 견도•수도•무학도 ) ◇ 악업을 짓지 말라! ◇ 선업을 쌓아라! ◇ 항상 마음을 청정히 하라! (수행) ◇ 연기법 / 중도 / 사성제 / 팔정도(수행) / 명상(수식관) / 알아차림(사념처) / 위빠사나(통찰) 명상 / 인과응보 / 일체개고 / 제행무상 / 제법무아 / 열반적정 ◇ 《 인지 심리학 》 ◇ 《 대동세상구현:수행》
----------------------------------------------
1. 진실 & 믿음 & 희망의 힘은 강하고 세다!
2. 불의에 맞서 행동하지 않는 양심은 악의 편이다!
3. 민주주의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있어 직접 행동하는 시민들의 조직된 힘이다!
4. 정치는 정치인들이 하는 것 같지만 알고 보면 국민이 하는 것이다!
----------------------------------------------
[ “어둠을 탓하기 보다는 한 자루의 촛불을 켜는 것이 낫다”
피터 베넨슨(Peter Benenson), 앰네스티 창립자 ]
불도회 회주(도준 법사)
[ ✨️ 언론은 소수의 소유물이 아니라 다수의 약자들을 대변하고 그들의 작은 목소리들과 인권을 위하여 정론직필 즉, 정의와 진실을 추구할 때에 더 나은 세상이 다가 오는 것입니다. ]
https://youtu.be/2vksL8CVQE4?si=bW3ZT...
13 hours ago | [YT] | 1
View 6 replies
불도회 회주(도준 법사)
[ 🧘 한민족은 위로는 중국과 러시아에 아래로는 일본에 그리고 지구 반대 편에는 미국이 호시탐탐 노렸던 역사를 가지고 있다. 한국에는 군사/경제/전략산업/안보와 동맹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래서 애국심을 잃어버리면 한국은 역사 속에서 사리질 것이다. ]
[ ✨️ 대한민국에는 남한의 약 5천만 + 북한의 약 2천만의 각 사람들마다 성격들도 기억들도 의식들도 무의식들도 습관들도 생각들도 감정들도 웃음 느낌 타이밍들도 슬픔 느낌 타이밍들도 분노 느낌 타이밍들도 혐오 느낌 타이밍들도 증오 느낌 타이밍들도 사랑 느낌 타이밍들도 행복 느낌 타이밍들도 불행 느낌 타이밍들도 태어남 타이밍들도 죽음 타이밍들도 옳음 타이밍들도 그름 타이밍들도 좋음 타이밍들도 나쁨 타이밍들도 등등 모두 각각 다 다를뿐이다! ]
23 hours ago | [YT] | 1
View 6 replies
불도회 회주(도준 법사)
[ 불안한 감정을 정화하는 하나의 다른 법 ]
https://youtu.be/oyroAUHfv2Y?si=69Jxc...
1 day ago | [YT] | 1
View 1 reply
불도회 회주(도준 법사)
[ ✨️인재교육tv -물욕보다는 지식과 지혜라는 훌륭한 도구로 홍익인간 정신을 이어받아 한번 인간으로 태어났으면 이 이웃 & 사회 & 국가 & 세계 & 지구의 어딘가에는 꼭 쓸모가 있고 처한 시대에 맞추어 꼭 필요한 사람이 되어라! ]
youtube.com/live/WwSdN-1Hs7o?si=xNq2eSOWSliSlEsz
4 days ago | [YT] | 2
View 6 replies
불도회 회주(도준 법사)
[ 🧘왜 인간은 위선적인 ‘척’을 하는가?
1. 위선적 ‘척’은 두려움과 결핍에서 나온다.
2. 불교적으로는 무명(無明, 어리석음)과 탐욕에서 비롯된다.
3. 습관이 되면 뇌 신경 회로와 사회적 보상 구조가 강화시킨다.
4. 대응은 자비심+거리 두기+행동 관찰+자기 성찰로 한다.
5. 때론 척이 방어·동기 기능을 하지만, 진실을 가리면 결국 신뢰를 잃는다. ]
m.blog.naver.com/now_here_happiness/223978229137
1 week ago | [YT] | 1
View 0 replies
불도회 회주(도준 법사)
[ 🧘세상 & 타인과의 인연과 이를 바르게 바라보는 지혜와 마음가짐에 대한 개인적인 분석 요약
1. 판단 보류 — 처음엔 좋다/싫다로 결론내지 말기.
2. 원인 추적 — ‘이 만남·사건의 원인은 무엇일까?’를 생각.
3. 거울 삼기 — 상대를 나의 내면을 비추는 거울로 삼기.
4. 교훈 찾기 — 사건·사람이 주는 직접·간접 가르침을 기록.
5. 감사하기 — 인연 그 자체에 감사. ]
m.blog.naver.com/now_here_happiness/223971093723
2 weeks ago | [YT] | 1
View 1 reply
불도회 회주(도준 법사)
[ 🧘주변 사람들에게 물들어가는 중생/물들지 않는 수행자/물들이는 수행자에 대한 개인적인 분석 요약
1. 물드는 사람 – 수행 초급, 외부 업풍에 쉽게 휩쓸림.
2. 안 물드는 사람 – 수행 중급, 내적 안정은 있으나 영향력은 제한적.
3. 물들이는 사람 – 수행 고급, 자비·지혜로 주변을 변화시킴.
4. 삼계·육도 – 외부 세계가 아니라 ‘마음의 상태’를 묘사한 것이며, 수행을 통해 삼계를 초월하고 육도의 윤회(굴레, 반복)를 벗어나는 것이 목표. ]
m.blog.naver.com/now_here_happiness/223970857055
2 weeks ago | [YT] | 1
View 1 reply
불도회 회주(도준 법사)
[ 🧘인간 행위(행동, 말, 마음(의도))의 근본 원인과 그 행위로 인한 과보에 대한 개인적인 분석 요약
1. 원인: 인간 대부분의 행위의 근원은 죽음·고통 회피 욕구.
2. 과정: 괴로움 → 반작용(투사·집착) → 반복 습관화.
3. 과보: 단기 - 쾌락·안정 → 장기적 - 고통·악업 성숙.
4. 출구: 괴로움과 직면·관찰·절제, 그리고 자비심 확장.
5. 불교 핵심 구절: “마음을 잘 다스린 이는, 고통이 닿지 않는다.” (법구경 42게송) ]
m.blog.naver.com/now_here_happiness/223970585056
2 weeks ago | [YT] | 1
View 1 reply
불도회 회주(도준 법사)
[ 🧘중생들의 갈애(욕망)로 불타는 어리석은 삶과 이러한 삶을 지켜보시고 부처님께서 일으키신 마음과 이를 통해 본 깨달음에 대한 분석 요약
1. 중생의 삶은 갈애와 무명으로 불타는 집과 같음.
2. 심리·과학은 이런 삶이 뇌와 마음의 자동화된 회로와 착각에서 비롯된다고 설명.
3. 부처님의 마음은 그 불 속에서 중생을 꺼내려는 대자대비.
4. 깨달음은 연기법과 사성제를 통한 괴로움의 원인과 소멸의 길의 확정. ]
m.blog.naver.com/now_here_happiness/223970485472
2 weeks ago | [YT] | 1
View 1 reply
불도회 회주(도준 법사)
[ 🧘《법구경》 제1장 쌍구품(雙品, Yamakavagga) 해석 요약
1. 마음이 먼저다: 의도가 말·행동을 낳고 결과(업)를 부른다. (1–2).
2. 증오는 자비로만 멈춘다: 붙잡지 말고 놓아라. (3–5).
3. 무상·죽음의 기억이 시비를 누그러뜨린다. (6).
4. 절제·정진·생활규범이 심리적 내구성을 만든다. (7–8, 13–14).
5. 형식보다 실질—계행과 바른 앎으로 번뇌를 끊고, 알아 산다. (9–12, 19–20). ]
m.blog.naver.com/now_here_happiness/223969915923
2 weeks ago | [YT] | 1
View 1 reply
Lo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