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터 밍데이

콘텐츠가 돈이 되도록, 마케팅부터 브랜딩까지.

전) 글로벌 브랜드, 대기업 위주 브랜딩 광고 전담 (9년)
- 메타, 유튜브, 구글, 네이버, 카카오, 리타겟팅 매체 등 운영
- 메리어트, 발렌시아가, LG유플러스, 롯데월드, 서울스카이, 토스 뱅크 등

현) 1인 사업가를 위한 비즈니스 구조 컨설턴트
- 브랜드 온오프라인 마케팅
- 1인 사업가 브랜딩, 마케팅 컨설팅
- 플레이스 광고 대행
- 스몰 브랜드 온라인 광고 대행

* 비즈니스 및 협업 문의 : minggdailyy@gmail.com


마케터 밍데이

스레드는 25년 마지막 부의 사다리일 것 같다.

내가 올해 스레드로 얻은 것(= 돈이 됨)

- 광고 대행업 시작
- 콘텐츠 협업
- 광고 진행
- 브랜드 마케팅 진행
- 네트워킹 행사 등 각종 협업
- 퀄리티 있는 인맥들 만듦
- 투자 공부(월급 이상 버는 중)

25년 마지막 부의 사다리 함께 하실 분,
챌린지에서 만나요!

bit.ly/3Xf1Gsl

3 days ago (edited) | [YT] | 2

마케터 밍데이

<스레드 우상향 챌린지> 모집합니다!

꼼꼼히 확인해 보시고
남은 25년 함께 달릴 챌린지원분들 신청해 주세요!
bit.ly/3Xf1Gsl

1 week ago (edited) | [YT] | 4

마케터 밍데이

마케팅 감각 높이는 방법

저는 영감을 얻으로 종종 이곳에 갑니다.

소비가 몰리는 곳은
트렌드가 빠르게 반영되는 곳이기도 하거든요.
마케터라면 현장에 나가
소비의 감각을 익히면 좋습니다.

사람들의 시선이 머무는 곳, 관심이 집중되는 곳.
그곳에 돈이 몰리니까요.

1. 잠실 롯데몰
2. 성수 팝업
3. 한남동 구석구석

팁을 드리자면 낮과 밤의 모습은 또 다르니 두 번 가세용.

3 weeks ago | [YT] | 4

마케터 밍데이

오늘은 브랜드 공부하러
국립 중앙 박물관에 다녀왔어요.

여기서 만드는 굿즈, 협업하는 브랜드,
외국인의 발길이 머무는 곳을 보니 흥미롭더라구요.

감도 높은 것들을 많이, 자주 보다 보면
내 시야도 조금은 변하게 됩니다.

브랜딩, 마케팅은 삶 속에서 공부할 수 있어요.

4 weeks ago | [YT] | 3

마케터 밍데이

제가 스레드 하라고 강조하는 진짜 이유는
스레드가 모든 플랫폼 중 제일 쉽기 때문이에요.

진입도, 시작도, 유지도 제일 쉬워요.

블로그, 릴스, 스레드 강의/챌린지 다 운영해 봤는데
수강생 중 제일 빠르게 성과 난 것도,
지금까지 유지하는 비율 높은 플랫폼도 '스레드'예요.

스레드 하나 잘 키워서
다른 플랫폼으로 확장 or 구매 전환 시키면 됩니다.

꾸준함, 유지는 다른 플랫폼이 더 어려워요.

스레드에서 시작하고, 익히고, 늘려 나가면 됩니다.
어렵게 시작하면 유지가 어려워요.

4 weeks ago | [YT] | 5

마케터 밍데이

저는 언젠가(곧)
스레드가 제 인생을 바꾸는 길에 있었다고 말할 것 같아요.

그 시작은 독서와 글쓰기였고
그렇게 다시 시작하게 된 블로그,
인스타그램, 유튜브 지금의 스레드까지.
내 삶을 많이 변화시키고 있어요.

제가 마케팅 회사를 시작하게 된 것도
스레드 통해서 만난 여러 인연들 덕분이거든요.
(제안도, 시작도, 확장도 다 스레드 덕분)

제 속도에 맞춰
천천히, 길게, 꾸준히 가는 게 목표예요.

스레드에서 만나요!

1 month ago | [YT] | 5

마케터 밍데이

스레드 팔로워 1만 명 달성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내용, 좋은 영향을 주는
크리에이터이자 마케터가 되겠습니다 ☺️

유튜브 구독해 주시는 분들도 항상 감사합니다!

2 months ago | [YT] | 4

마케터 밍데이

진짜 마케팅은

내 고객을 제대로 아는 것.
내 브랜드의 가치를 정리하는 것.
그 후에 채널과 광고를 활용하는 것.

이 순서입니다.

마케팅은 팔로워 숫자가 아니라
'본질'이 먼저입니다.

2 months ago | [YT] | 3

마케터 밍데이

마케팅 할 때 시장 조사 '쉽게'하는 방법

1. 업계
2. 경쟁사
3. 자사
4. 타겟

이렇게 나눠서 조사하면 쉬워요.
예를 들어보면요.

뷰티 업계, 게임 업종, 광고 업종 등
내가 속한 업종만 분석해 보는 거구요.

경쟁사는, 내가 삼성전자라면
경쟁사인 애플에 대해 조사해 보는 겁니다.
경쟁사의 강점과 약점, 프로모션 등을 파악해 보세요.

그리고 이어서,
내 회사, 내 브랜드, 내 제품에 대해서 살펴보는 거죠.
우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요.

그다음은 내 브랜드/제품을 사는 타겟의
연령/취향/관심사/자주 사용하는 플랫폼 등을 확인해 봅니다.


참 쉽죠? 😌

2 months ago | [YT] | 5

마케터 밍데이

학교 다닐 때 마케팅 수업 시간에는
시장 조사가 중요하다고 배웠어요.

현업에 있을 때도
시장 조사가 중요하다고 배웠구요.

내 제품, 내 브랜드가 있다면
시장 조사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기본기가 없는 마케팅은
오래 가지 못하거든요.

2 months ago | [Y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