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박국 아티스트 연구소

🩵 아티스트의 좋은 이웃
🧡 하박국 아티스트 연구소는 정답을 알려 드리지 않습니다. 당신 안의 정답을 찾도록 도움과 영감을 드립니다.

하박국 아티스트 연구소 소장 하박국은
레이블 영기획(YOUNG,GIFTED&WACK Records) 대표로 10년 넘게
주로 신인 아티스트들과 다음과 같은 일을 해왔습니다.

🏆 신해경 '나의 가역반응' 데뷔 음반 보름만에 매진
🏆 신해경 데뷔한 해 지산밸리, GMF에 출연
🏆 Flash Flood Darlings, Room306, F.W.D., 신해경 등 상당수 한대음 수상 후보, 수상
🏆 [3 Little Wacks] 한대음 최초 컴필레이션 음반 수상 후보
🏆 대부분 아티스트 네이버 온스테이지, EBS 스페이스 공감 출연
🏆 김새녘 상상마당 밴드 디스커버리 우승
🏆 사람12사람 프리마베라 사운드 쇼케이스 초청 받음 (아티스트 사정으로 참석하지 못함)

음악평론가이자 기획자로 다음과 같은 일도 했고요.

🖋️ 100개 이상의 매체에 글 기고 (GQ, 한겨레 신문, 네이버 뉴스, 아레나, 아이즈, 빌보드 코리아 등)
🎙️ 100명 이상의 아티스트와 인터뷰 (V Live 캐스퍼 라디오, 음이온 라디오 등)
💬 100명에 가가운 아티스트와 컨설팅 (하박국 아티스트 컨설팅, 서울라이브, 음창소 프로그램)
⚡️ 한국 최초의 일렉트로닉 음악페어 암페어(Amfair) 개최
🇰🇷 티빙 다큐멘터리 '케이팝 제너레이션' 스토리 프로듀서

저는 매일 음악을 듣고 아티스트를 만나고, 이들이 가진 이야기를 듣고 구분하고 세상에 내보내는 일을 했습니다. 제가 가진 노하우와 생각을 공유하고 좋은 음악을 만들고 아티스트로서 생존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분들을 돕겠습니다.

📨 제안/문의: whypeoplelovethings@gmail.com


하박국 아티스트 연구소

안녕하세요. 하박국 아티스트 연구소는 요즘 돌고 있는 '아티스트라면 ㅇㅇㅇ해야 한다.'라는 주장에 대해 꼭 'ㅇㅇㅇ하지 않아도 된다. 아티스트가 살아 남는 방법은 대신 현실적으로 이러이러한 것들은 하면 도움이 될 거다.'는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만들어 졌습니다. 아무래도 러닝타임이 짧고 많은 걸 함축해 말해야 하는 숏폼에서 제가 전하고 싶은 메시지를 제대로 전하기가 쉽진 않은 것 같네요. 롱폼도 기획하고 있지만, 자주 만들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있네요.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앞으로는 게시물 통해서도 종종 찾아 뵙겠습니다. 모두 건강하세요. 고맙습니다. 🙇🏻‍♂️

1 month ago | [YT] | 33

하박국 아티스트 연구소

2025년 한국 대중음악상에서 '올해의 음반'과 '최우수 모던록 음반' 상을 수상한 단편선 순간들의 단편선과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단편선은 그 전에도 단편선과 선원들로 '최우수 록 음반' 상을 수상하고 그가 프로듀스하거나 제작한 음반 중 꽤 많은 음반이 한대음에서 수상을 했습니다. 이 정도면 가히 명반 제조기라 불러도 좋지 않을까요? 그와 1년 전 (아직 올해의 음반이 된 '음악 만세'가 데모로 존재하던 시절) 촬영했다 공개하지 않은 영상을 편집해 업로드 했습니다. 재미있게 봐주세요! 🩵

3 months ago | [YT] | 2

하박국 아티스트 연구소

EBS 라디오 이승열의 세계음악기행에 4주간 출연해 한국, 일본, 프랑스, 영국까지 전 세계의 일렉트로닉 음악을 선곡했습니다. 현재 ‘일렉트로닉 음악’ 장르에 한정된 일을 하고 있지 않지만, 그래도 기회가 될 때마다 사람들에게 일렉트로닉 음악의 매력을 알리고 싶은 마음이 있어요. 매번 선곡한 음악을 미리 듣고 오셔서 감상을 전해주는 이승열 님과 열린 마음의 세계음악기행 청취자 분들 덕분에 따뜻한 말 들으며 감사한 마음으로 노래 틀고 소개하고 왔네요.

(선곡표는 이미지로 첨부했습니다. 이미지를 슬라이드 해보세요.)

4주간 방송을 하며 두 가지 생각이 들었어요.

한국 일렉트로닉 음악 사운드라는 건 존재할까?
일본, 프랑스, 영국 모두 파이오니어의 영향과 이를 통해 형성된 신을 바탕으로 각 국가만의 사운드가 있는 나라죠. 이번에 정리해 들으니 다시 한번 체감이 되더라고요. 그렇다면 한국의 일렉트로닉 음악 사운드라는 건 존재할까요? 나름 이를 의식한 시도는 이어지고 있지만… 그걸 하나의 흐름으로 묶어 이야기할 수 있을까요? 그건 한국 일렉트로닉 음악의 사운드라고 할 만큼 보편적인 사운드일까요? Beep3 전시에서 개인적인 이야기를 제외하고 제가 정리한 한국 일렉트로닉 음악 신의 역사는 200자 원고지 25매 정도입니다. 아직 이 정도 역사를 가진 곳에서 이런 걸 바라는 건 어려운 일일지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작지만 다양한 주체를 통해 꾸준히 재미있는 작업과 이벤트가 생겨나고 있으니 언젠가 한국의 일렉트로닉 음악이란 이런 것이다 말할 수 있는 날이 오겠죠?

국가의 사운드란 무엇일까?
4주간의 방송 마지막 곡으로 Asian Dub Foundation의 ‘Real Great Britain’을 선곡했습니다. ‘세계음악기행’이기에 ‘세계‘라는 개념에서 마지막을 장식하고 싶었어요. ADF의 멤버는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중국 인 등으로 구성되어 있죠. 이들의 이름 중간에 쓰인 ‘Dub’은 자메이카에서 파생된 장르이자 방법론입니다. 자메이카의 사운드 시스템과 덥은 영국 언더그라운드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에 어마어마한 영향을 끼쳤죠. ‘Real Great Britain’이라는 곡은 제목과 달리 진짜 위대한 영국이 아니라 이민자를 향한 차별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언더그라운드 문화는 다양성을 바탕으로 꽃을 피우고 성장합니다. 한국에서 이태원이 언더그라운드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의 메카인 것도 이와 같은 이유일 테고요. 지금 한국에서는 어느 때보다 이민자를 향한 혐오 정서가 강해지고 있습니다. 얼마전 중국계 한국인 래퍼가 한국의 차별과 혐오를 노래한 랩을 들었어요. 과연 그는 한국의 ADF가 될 수 있을까요? ‘Real Great Britain’이 수록된 <Community Music>은 영국 앨범 차트에서 20위에 올랐고, NME의 올해의 앨범과 트랙에 뽑히기도 했는데요. 과연 한국에서도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요? 한국은 어느 곳보다 빠른 나라고 10년, 20년 뒤 한국은 지금과 전혀 다른 나라가 되어 있을 겁니다. 그때 우리는 어떤 목소리를 듣고 말하게 될까요. 부디 한국이 다양한 이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뱉고 이에 귀 기울이는 사람이 많은 나라가 되면 좋겠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 우리부터 그래야겠죠? 🩵

4주간 방송 들어주신 분, 이승열님, 최세희 누나, 방성영 PD 님 모두 고맙습니다. 다음에 또 저나 다른 음악가들 출연해 일렉트로닉 음악 선곡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

3 months ago | [YT] | 24

하박국 아티스트 연구소

안녕하세요. 하박국 아티스트 연구소 소장 하박국입니다. 👁️

채널을 하박국 아티스트 연구소로 개편하고 정기적으로 업로드하던 숏폼 말고 첫 롱폼 콘텐츠를 업로드 했어요. 릭 루빈과 그의 저서 '창조적 행위: 존재의 방식'는 하투리 시절부터 꼭 소개 콘텐츠를 만들고 싶던 소재입니다. 릭 루빈은 음악 역사에 있어 정말 전설적인 프로듀서이기도 하고요. 요즘처럼 기술이 좋아져 음악을 못하는 게 더 어려운 시대, 그가 프로듀싱을 하는 방식은 많은 이에게 큰 영감을 주거든요. 그의 음악과 책은 제 인생을 바꿨다고 해도 좋을 만큼 큰 영향을 줬어요. 콘텐츠 즐겁게 보시고, 기회될 때 책도 꼭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북클럽에서 함께 읽어도 좋고요. 😇 (북클럽 신청 링크는 댓글로 달아 두겠습니다)

3 months ago | [YT] | 11

하박국 아티스트 연구소

안녕하세요.
오늘부로 하박국 아티스트 연구소 소장 1일을 맞은 하박국입니다.

먼저, 채널 개편에 보내주신 따뜻한 반응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이 채널은 오늘부터 ‘하박국 아티스트 연구소’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시작합니다.
이 이름을 결정하기까지, 그리고 방향을 전환하기까지 꽤 많은 생각을 했어요.

제가 하는 일의 중심은 '크리틱'입니다.
이를 이용해 음악평론가로서 발매된 음악을 다루기도 하고,
음반 제작자로서 함께 작업하는 아티스트의 음악을 함께 다듬기도 하죠.
그런데 최근, 첫 번째 역할인 ‘음악평론가로서의 크리틱’이 점점 작동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크리틱을 하는 사람으로서 가장 중요한 태도는 '솔직함'입니다.
그래야 기준이 생기고, 신뢰로 이어지니가요.
하지만 요새 크리틱의 '솔직함'은 신뢰를 주기보다
기준이 다른 분께 불편함으로 더 다가오는 것 같아요.
오래 신뢰를 쌓아도, 기준이 다른 분께는 닿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이제는 제 두 번째 역할, ‘세상에 없는 음악을 더 좋게 만드는 데 집중하는 일’에 집중하려 합니다.
당연히 모든 음반을 제가 제작할 수는 없죠.
제가 그간 쌓은 노하우와 정보를 나누며, 함께할 수 있는 방식도 유연하게 고민해보려고요.
기존 하투리 콘텐츠를 즐겼던 분들께는 새로 올라오는 콘텐츠가 낯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좋은 음악을 만들기 위해서는 음악을 잘 이해하는 일도 중요하니까요.
기존 형식의 콘텐츠도 종종 만들어 보겠습니다.

몇 차례의 격변을 겪었음에도 변함없이 ‘전전-사람들은 왜’, ‘전-하투리’
그리고 이제 ‘하박국 아티스트 연구소’까지 함께해주시는 모든 분들, 모두 사랑합니다. 🩵

앞으로 자주 찾아 뵙겠습니다.

4 months ago | [YT] | 24

하박국 아티스트 연구소

안녕하세요.
하투리 채널 운영하는 하박국입니다.

본 채널을 현재와 같은 포맷으로 계속 운영하는데 한계를 느끼던 와중에
아티스트에게 도움과 영감을 주는 채널을 만들고 싶은 마음이 생겼어요.
아티스트나 관계자 분들 만나면 그 분들도 제 채널을 많이 본다고 하시더라고요.
그렇다면 하투리를 리뉴얼해 그 분들을 위한 콘텐츠를 만들어도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들더군요.
무엇보다 '누구나 아티스트가 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진 이로서
아티스트나 관계자가 아니어도 앞으로 올라올 콘텐츠에서 도움과 영감을 받을 수 있을 거로 생각하고요.

제 채널을 함께 만든 건 구독자 분들이고
계속 하투리가 '여러분의 음악 친구'로 남길 바라는 분들도 있을지 몰라 설문조사를 하려고 합니다.

어떤 결정을 내리든 계속 좋은 콘텐츠로 여러분 찾아 뵙겠습니다.
늘 고맙습니다!

4 months ago | [YT] | 12

하박국 아티스트 연구소

오랜만입니다. '표절'에 대해 많은 콘텐츠를 만들어 왔던 이로서 뉴진스-샤카탁 표절 논란에 대해 간단하게 코멘트를 남겨 봅니다.

과연 '버블검'이 표절인지 궁금하신 분은 제가 전에 만든 영상을 보면 됩니다. 😇

https://youtu.be/KnbA3IRn814?si=nGg5m...

라고만 쓰면 그냥 제 영상 홍보니 간단하게 제 의견을 남겨볼게요.

'버블검'은 처음 뮤직비디오로만 공개되어 크레딧을 확인할 수 없었죠. 그때도 음악 마니아들 사이에서는 샤카탁 샘플링인 것 같다는 이야기가 돌았습니다. 정식 발매 후 크레딧에는 샘플 표기가 없었고 이를 바탕으로 표절 의혹을 제기하는 이에게 팬들은 표기만 없을 뿐 샘플이 맞다고 주장하기도 했고요.

결국 샤카탁 측의 항의로 샘플링이 아니라는 건 명확해 졌습니다. 덕분에 표절 의혹을 제기하는 이들에게 기존 팬의 주장은 역으로 '샘플링이라고 주장할 만큼 팬들도 똑같다 생각한 거 아니냐' 표절에 힘을 실어 주는 근거가 되고 있는 듯하네요.

뉴진스는 계속 이와 같은 공격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겁니다. 민희진 대표가 직접 공식기자회견장에서 아일릿이 뉴진스를 카피했다 주장했을 때부터 일어날 미래였죠. 오리지널이라는 게 거의 없다시피한 케이팝 (더 나아가 21세기의 대중음악) 계에서 이런 주장은 다시 본인에게 날아올 수밖에 없습니다. 멕시코 그룹 진스 표절 시비 같은 게 대표적이고요. 샤카탁 같은 경우는 원작자가 직접 나섰기에 파급효과가 더 클 수밖에 없겠죠.

'너 고소!'라고 했다고 그사람이 유죄가 되는 건 아닙니다. 판결이 나야 알 수 있는 일이죠. 하지만 사람들은 그것만으로 그 사람에게 죄가 있다고 짐작하곤 합니다. 표절 시비도 마찬가지. 원작자가 표절 의혹을 제기했다고 표절이 되는 건 아니지만 위의 (정작 본인이 작곡을 한 것도 아닌) 아이유 건처럼 꼬리표는 계속 따라 붙을 겁니다.

그래서 너는 표절이라 생각냐고? 요게 궁금하시다면...

'버블검'이 샤카탁의 곡을 레퍼런스로 삼았을 가능성은 있다고 봅니다. 샤카탁 측이 제시한 것처럼 멜로디 뿐 아니라 사운드에서도 유사한 부분이 있고요. (장르의 유사성이라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그렇다고 표절은....? 솔직히 저는 표절이라 하기엔 애매하다 봅니다 (제 영상을 봐온 분이라면 알겠지만 저는 표절에 굉장히 관대한 편이긴 합니다.) 하지만 제 생각은 이 사건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겠죠? 😇

현 상황에서 뉴진스에게 이 건은 표절이냐 아니냐 여부와 관계 없이 노이즈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가장 아쉽습니다. 어도어 측의 대응도 그쪽에서는 합리적인 것일 수 있으나, 외부에서는 그렇게 보이지 않을 것 같고요. 모쪼록 큰 노이즈 없이 원만히 잘 해결되길 바랍니다. 제가 영상에서 밝힌 것처럼 21세기에 표절은 '교통사고' 같은 거니까요.

1 year ago (edited) | [YT] | 19

하박국 아티스트 연구소

제 최신 근황입니다. 마음이 무겁네요.

참고로 '민희진' 님은 하투리에 올린 최초 영상의 제목에도 등장하며 (민희진도 보고 놀랄 뉴진스 완벽 가이드 👀 NewJeans, 민희진, 250, 레트로, 브랜드) 가장 먼저 등장하는 인물이기도 합니다. 이 사건과 관련된 영상은 만들지 않을 것 같습니다. (대신 '멀티 레이블'의 개념과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싶은 게 있어 콘텐츠를 만들어볼까 싶긴 합니다) 대신 시작부터 지금까지 관련된 내용을 트위터(현 X)에 올리고 있으니 관심 있는 분은 보러 오세요. 👀 twitter.com/HAVAQQUQ

1 year ago (edited) | [YT] | 67

하박국 아티스트 연구소

안녕하세요. 하투리의 하박국HAVAQQUQ입니다. 👳🏻‍♂️ 오랜만에 영상을 업로드 했습니다.

https://youtu.be/A7jEzLBEink?si=EN1q8...

원래 다른 다른 영상을 기획하고 촬영까지 마쳤는데, 코첼라에서 르세라핌의 라이브 영상을 보고 빠르게 관련 영상을 만들어 봤어요. 그사이 이렇게 이슈가 커질 줄은 몰랐네요.

제 채널을 오래 보신 분이라면 기조를 알고 계실 거예요. 먼저 어떤 사안이든 과몰입하지 않고 담백하게 보려 하고요. (덕분에 조금 밋밋하게 느껴질 지 모르겠습니다. 😇) 퍼포머나 드러나는 사람에 대해서만 이야기하지 않고 그 뒤에서 그들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일하는 사람과 전반적인 시스템을 보려고 합니다. 이번 건 역시 르세라핌을 이야기하기 보다 급하게 준비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코첼라에 르세라핌을 세운 하이브의 문제점을 이야기하고 싶었는데요. 이야기가 너무 장황해질 것 같아 해당 내용은 제했습니다.

이번 코첼라 최악의 공연은 르세라핌이 아닌 그라임즈였습니다. 라이브가 아니라 디제이셋이었는데도 직접 셋을 준비하지 않아 계속 실수했고 이를 제대로 수습하지도 못했죠. 그에 비하면 르세라핌은 최소한 주어진 환경 내에서 열심히는 했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경험도 많지 않고요. 2주간 진행되는 코첼라의 특성상 이번주에도 르세라핌은 공연을 하게 되는데요. 그 사이 얼마나 대처를 잘 할지 지켜보는 것도 재밌을 것 같습니다.

모두 오늘도 음악과 함께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

1 year ago (edited) | [YT] | 48

하박국 아티스트 연구소

안녕하세요. 오랜만입니다. 😇 여러분의 음악친구 하박국입니다. 새로운 영상을 시도해봤다 마음에 안 들어 엎기도 하고, 개인적인 일도 계속 있어 한동안 업로드를 하지 못했습니다. 이미 양치기 소년이 된 것 같지만 다시 부지런히 영상 올려 보겠습니다.

그 사이 자매 채널 음이온 라디오 ‪@anion_radio‬ 에는 이진아, 히치하이커, 김사월 님의 인터뷰가 업로드 됐습니다. 모두 너무 좋은 대화를 담고 있어 길지만 쉬엄쉬엄 보시길 권합니다. 날이 조금씩 더워지고 있네요. 다들 건강 유의하시고요. 곧 새로운 콘텐츠로 찾아 오겠습니다! 🤟🏻

youtube.com/@anion_radio/

1 year ago | [Y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