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문 완벽한 오류. 22/3이 정답이고, 교육청의도대로 가려면 그나마 180629(가) 비슷하게 써야함. ‘함수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실수 c의 개수는 1이고 이때 g(1)의 최댓값은 M이다. M의 값은?’
3 years ago | 32
전 집에서 풀어봤었는데 f의 근 하나가 정확히 결정이 안되고 플마가 나와서 두개 다 넣어본 결과 보기에 있는답이 14/3 이라 그냥 넘겼어요
3 years ago | 28
전 g(x)의 3차항 계수를 k라 하고 풀면 k가 +4/3도 가능하고 -4/3도 가능하다고 나오는데, 이게 맞다면 g(1)의 값이 14/3, 22/3가 둘 다 가능한 것 같네요 ㅇㅅㅇ.. 최댓값을 찾으라는 문제였으니 22/3이 맞는 답일 것 같네요..
3 years ago | 26
22/3: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실수 c가 오직 하나 존재하지만(c=±1), g(x)가 실제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일 필요가 없으므로 c를 아무렇게나 잡아도 된다. 14/3: c의 값이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c"일 때의 g(1)을 구해야 한다. 이거군요?
3 years ago (edited) | 14
g(x)가 연속이라는 얘기는 없었으니 22/3이 맞다고 봅니다 문제 잘 만드시는 분들은 다 수능 출제하러 가신건지... 이번 10모 퀄리티는 좀 맘에 안 드네요
3 years ago (edited) | 5
전 삼차함수f는 실수전체집합에서 연속이고 이걸 적분하여도 4차차함수인 여전히 연속인 함수가 생기는 데 이 연속인 두 함수로 정의된 g(x)가 불연속의심점은 c뿐입니다. 근데 이 c가 오직 1개라는 것은 결국 두 함수의 교점이 오직 하나라는 뜻이므로 두 함수가 c에서 접한다고 상황을 설정해 14/3이 나왔네요
3 years ago | 8
처음에는 아무 생각없이 14/3 인줄 알았는데 만약에 선지에 22/3이 있었고, 실제로 답이 22/3이었다고 하면 아 내가 잘못생각했네 하고 넘길 수 있을정도 같음 ㅋㅋㅋ
3 years ago | 0
그러니까 문제가 요구하는 답은 'g(x)가 연속일 때의 c가 존재할 때 그 c의 개수가 1일 때', 즉 c를 중심으로 분리된 각 부분을 실수 전체로 확장했을 때 생기는 교점이 하나일 때였는데 22/3이 답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g(x)가 연속일 때 c가 존재하는 경우의 수가 1일 때', 즉 연속이고 그 때의 c가 1개밖에 없어도 c가 여러 값이 가능한 경우(±k같은 경우)를 배제했을 때라는 거죠?
3 years ago (edited) | 0
출제 실수가 아니라 g(x)가 실수 전체에서 연속이 되게 하는 c 값은 하나라고 했으므로 c 값이 정해진 순간부터 g(x)는 실수 전체 연속이어야만 하는겁니다. g(x)가 연속이 아닐 수 있다는 말은 c 좌우로 그래프가 바뀌면서 불연속 지점을 없애고 나서 다른 지점에서 불연속이 생기는 모양이 되는데 이러면 g(x)를 실수 전체에서 연속한다고 볼 수 없죠 라고 생각했었으나, 착각했네요. 22/3 같습니다
3 years ago (edited) | 9
Ray 수학
고3 10월 모의고사 15번, 여러분이 생각하시는 답은?
문제 - rayc20.tistory.com/111
작년 나형 15번도 실제로 존재할 수 없는 확률분포 문제가 나와 모두 정답처리 되었는데..
3 years ago | [YT] |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