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중간하게 무승부 많이 나오는 11회게임 할거면 승부치기 하는게 좋은거같고 전통 느낌 조금이라도 내고 싶으면 최소한 12회는 하고..
1 month ago | 8
기록의 스포츠인 야구에서 승부치기하려면 연장 후 기록은 모두 반영하지않아야함. 그런것들 따지면 도입이 쉽지는 않아보이나 흥행이나 재미로만 봤을 땐 꽤 쏠쏠할듯 하네요.
1 month ago | 16
시대가 변해가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그건 야구가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게해서 2루주자가 득점하면 그건 통산 득점 기록에 포함되나요? 실점한 투수의 자책점 여부는?
1 month ago | 19
무승부는 선수들 체력저하 집중력저하 길게 보면 리그 전체에 영향을 미칠수있다고 판단 승부치기를 통해서 개선이 충분히 있다고 봅니다
1 month ago | 2
일반적인 리그는 무승부가 존재하고 포스트시즌에 승부치기를 도입하는게 맞다고봄 무승부도 리그승률에 작게나마 영향을 주기때문임 승부치기 도입이면 사실상 무승부가 없다는건데 그건 또 경기의 일부가 사라지는거라고 생각함
1 month ago | 7
2000년대 했으면 반대였지만. 지금은 시대가 변했으니 나의 야구관도 변함. 단 승부치기에서의 선수 기록을 공식으로 인정하느냐는 다른 문제
1 month ago | 12
한국도 옛 메이저리그 처럼 끝장승부 도입한 적이 있었음.. 결국 폐지.. 현행 무승부제도 승률에 영향을 주기때문에 깔끔하진 않아도 나쁘진 않음.. 도입한다면 연장 10회는 하고 11회부터 승부치기를 하는 게 낫다고 봄.. 승부치기 없이 10회에 끝날수도 있으니.. 무승부를 없앤다지만 작위적인 느낌과 선수들의 기록도 영향주니 딱 승부치기 좋다고 하긴 어려움.
1 month ago (edited) | 0
야구부장
프로야구 연장 승부치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올해부터 연장은 12회에서 11회 축소. 무승부가 꽤 나옵니다. 메이저리그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적용했던 연장 승부치기(10회, 무사 2루시작)를 계속 합니다. 국제대회도 승부치기(10회 무사 1,2루시작) 있죠. 시간과 선수자원 고민에서 출발했는데 경기력 제고와 야구본질 논란 등으로 찬반이 나뉩니다.
1 month ago | [YT] |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