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The) 부자아빠
1.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 선언하며 전 세계 수입품에 대규모 관세 정책을 도입, 미국 증시 대폭락. 나스닥, 소형주, 월스트리트까지 충격. 약 2~5조 달러가 증발했다는 추정.2. 미국은 모든 수입품에 10% 관세 부과, 중국 34%, 베트남 46%, EU 20% 등 공격적인 관세를 전 세계에 적용. 목표는 공급망 확보, 국내 생산 유도, 미국 우위 확보.3. 단기적으로는 물가 상승, 무역 전쟁,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하지만 일부 전문가는 이 관세가 디플레이션 유발 → 금리 인하 → 부채 재조정 기회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4. 발표 직후 주식시장은 10% 하락(조정장)에 진입. 시장은 소프트랜딩을 기대했지만 현재는 불확실성과 공포로 인해 변동성이 커짐. 기업은 해고를 시작했고, 기업 단체는 정책 철회를 요구 중.5. 미국 정부는 관세가 ‘상호적’이라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다른 나라들이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보다 훨씬 높음. 예: 중국은 미국 제품에 평균 6~10% 관세를 부과하는데, 미국은 중국 제품에 34% 부과.6. 관세율 산정 공식은 매우 단순한 무역적자 기반 수치로 계산된 것으로 추정됨. 예를들어 미국-중국 무역적자를 수출로 나눠서 나온 수치를 반으로 줄여 관세율로 적용함.7. 서비스 산업(관광, 교육, 금융 등)은 제외됨. 미국은 서비스 부문에서 흑자를 보고 있음에도 이 계산에는 포함되지 않아 논란.8.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이론: 관세는 미국 경제를 의도적으로 둔화시켜 연준(Fed)이 금리를 인하하게 만들기 위한 전략일 수 있음. 이는 정부의 이자 부담을 줄이고 부채를 재조정하기에 유리한 환경을 만듦.========================================================================어떠한 일이 발생하더라도 그냥 하던 대로 현생에 충실하며 흔들리지 않고 매달 꾸준히 투자했던 사람은 이번에도 보상을 받을 것으로 예상.
1 month ago | [YT] | 115
@고고-c3p
트럼프가 미쳤다고 욕만 해서는 제대로 대응이 어렵죠. 극단적이긴 하지만 어쨌든 협상 카드로 쓰려는 걸테니, 트넘프가 원하는 정치경제적 목적을 고려해서 투자에 대응해야 합니다.
4 weeks ago | 3
@하쿠나마타타-t1y
작년초에 투자 첨 시작하고 첨 맞아보는 공포인지라 그간 공부한대로 조금씩 더 분할 매수중인데 보상의 꿀맛을 봐본적이 없어서 좋은 기회인거 같으면서도 무섭긴하네요 ㅎㅎ
1 month ago | 4
@user-nh8qn7mi5i
이제야 대상승 나오겠구나.. 작년 8월 5일 보는것 같네 ㅋㅋㅋ
1 month ago | 3
@jongwuk
공포에 사라고 ㅋㅋㅋㅋㅋㅋ
1 month ago | 2
@jonghyunpark8719
현금 30프로 이상 미리 빼놨는데도 마이너스 12프로네....ㅜ
1 month ago | 0
@poiuy3017
어제 추가로 메수할려다가 더 떨어질거 같아 미뤘는데 ㅋ
@동물의왕국k
난 아직 플러스인데 ㅋㅋ
4 weeks ago | 0
더(The) 부자아빠
1.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 선언하며 전 세계 수입품에 대규모 관세 정책을 도입, 미국 증시 대폭락. 나스닥, 소형주, 월스트리트까지 충격. 약 2~5조 달러가 증발했다는 추정.
2. 미국은 모든 수입품에 10% 관세 부과, 중국 34%, 베트남 46%, EU 20% 등 공격적인 관세를 전 세계에 적용. 목표는 공급망 확보, 국내 생산 유도, 미국 우위 확보.
3. 단기적으로는 물가 상승, 무역 전쟁,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하지만 일부 전문가는 이 관세가 디플레이션 유발 → 금리 인하 → 부채 재조정 기회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
4. 발표 직후 주식시장은 10% 하락(조정장)에 진입. 시장은 소프트랜딩을 기대했지만 현재는 불확실성과 공포로 인해 변동성이 커짐. 기업은 해고를 시작했고, 기업 단체는 정책 철회를 요구 중.
5. 미국 정부는 관세가 ‘상호적’이라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다른 나라들이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보다 훨씬 높음. 예: 중국은 미국 제품에 평균 6~10% 관세를 부과하는데, 미국은 중국 제품에 34% 부과.
6. 관세율 산정 공식은 매우 단순한 무역적자 기반 수치로 계산된 것으로 추정됨. 예를들어 미국-중국 무역적자를 수출로 나눠서 나온 수치를 반으로 줄여 관세율로 적용함.
7. 서비스 산업(관광, 교육, 금융 등)은 제외됨. 미국은 서비스 부문에서 흑자를 보고 있음에도 이 계산에는 포함되지 않아 논란.
8.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이론: 관세는 미국 경제를 의도적으로 둔화시켜 연준(Fed)이 금리를 인하하게 만들기 위한 전략일 수 있음. 이는 정부의 이자 부담을 줄이고 부채를 재조정하기에 유리한 환경을 만듦.
========================================================================
어떠한 일이 발생하더라도 그냥 하던 대로 현생에 충실하며 흔들리지 않고 매달 꾸준히 투자했던 사람은 이번에도 보상을 받을 것으로 예상.
1 month ago | [YT] |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