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른쪽에 각 상선이 잘린 그림이 아니라 선이 딱 거기까지 포설되어(전원에서 1M정도)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부하는 상전압에도 선간전압에도 없는 상황) 2. 선로의 정전용량 같은 거는 무시합니다 3. 전압계는 교류용 전압계입니다 4. 대지의 전기적 위치에너지는 완벽하게 0으로 간주합니다 5. 함정질문 아닙니다.
4 months ago | 1
선과 대지사이의 정전용량도 무시한다면 2번도 결국 L3로 돌아올 방법이 없으니 측정이 불가하다가 답일거 같네요. 중성점이 접지가 되어있지않으니깐요. 1번의 그림과 2번의 그림이 합쳐질 때 비로서 전압이 측정될 것 같습니다.
4 months ago
| 1
Floating 상태여서 문제의 정보만으로는 답을 찾을수 없을거 같습니다. 다만 현실에서는 '정의할수 없음'이 없기 때문에 특정 전압이 측정 될수 밖에 없을거 같은데요. 중성점 접지가 되어있지 않은 Y결선 변압기의 floating 전위를 실제로 측정하면 대체적으로 어떤 값이 나오고, 어떠한 경우에 그러한 값이 축정 되는지 궁금하네요!
4 months ago (edited) | 0
저 회로에 3상 변압기로 연결된 발전기는 중선선 접지가 되어있을텐데 그점도 결과에 영향을 미칠지 궁금합니다.
4 months ago (edited) | 0
오호 1번 답이 '0v'가 아니였군요.. 그렇다면 2번 답도 '폐회로 안돼서 정의x' 일것 같네요. 중성점에 접지가 돼있으면 220v 떴을것 같습니다.
4 months ago | 1
문제1번의 답 중 알수없다가 있었음 좋았을거같아요ㅎㅎ 2번의 경우는 완전 지락고장이여서 0V인것 같네요~
4 months ago
| 1
전기 전공은 아니지만...제가 알고있는 한도내에서 질문 드립니다 1) V로 표현되는 전위는 상대적인 값이기 때문에 그 값이 220V을 만지건 22000V을 만지건 만지는 행위에 의해 형성되는 전위차가 0이면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 것이라 이해하고 있습니다. 2) 첫번째 질문같은 그림에서 220V라 표현함은 일반적으로 그라운드와의 전위차를 표현하는것이라 알고 있습니다 3) 앞의 제가 설명한 내용이 맞는지요 4) 기존질문은 조금 다르게 생각해보자, 환기시키는 의미에서 하신 질문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4 months ago | 1
전기혁명
구독자 여러분, 정답을 말씀드립니다.
정답은 '측정되지 않는다 = 정의될 수 없다 = 모른다 ' 입니다.
전위는 상대적인 개념입니다. 전위차인 전압을 정의할 절대적인 기준점이 없기 때문에 질문 자체가 성립할 수 없습니다. 이번에는 조금 더 앞으로 전진해보겠습니다.
질문을 푸는 핵심은 그림의 전압계가 '아날로그' 제품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즉, 전압계가 반드시 폐회로가 되어야만 전압계 코일에 전류가 흘러 전압계의 바늘이 움직여 전압의 눈금을 가리킬 것입니다. 즉, 두 전하가 서로 '같은 전기장' 아래에 놓일 때여야만 비로소 두 전위의 차를 논할 수 있는 것입니다. 임의의 나무막대기 하나는 저 혼자서 길거나 짧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길고 짧은건 비교할 대상을 들고 와서 '같은 선상'에 대봐야 아는 것입니다.
즉, 문제 2번과 같이 L3와 대지(땅) 사이에 전압계를 연결하였을 때 전압은 몇 V인가요?
/전기혁명 올림
4 months ago (edited) | [YT]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