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상의 수많은 보컬 강의 영상들에서 성문하압(subglottal pressure)을 많이들 언급합니다.
"성문하압을 이용하여 노래를 부른다." 또는 "성문하압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준다." 이 말들이 과연 올바른 이야기일까요?
우리가 일상에서 말을 하거나 노래를 부르려 할 때 흡기, 즉 숨을 마시는 행위를 우선 적으로 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마신 숨을 호기(날숨)하며 말을 하거나, 노래를 부르게 되는 것이죠.
이때, 들이마신 공기가 방출되며 우리의 성대를 내전(접지), 외전(벌어짐)시키게 되는데(베르누이 원리), 이러한 내전된 성대와 외전된 성대로 인해 발생되는 탄성회복작용에 의해서 방출되던 공기에 생기는 압력이 바로 성문하압 입니다.
즉 성문하압은 음성을 발생시킬 때 자연스레 생기는 것이므로, 이것을 느끼는 작위적인 방법(흉부에 압력을 느낀다, 또는 성대 아래에 압력을 만든다, 숨을 가득 머금고 참는다)은 실질적인 효과를 보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여러분들께서는, "성문 하압은 호흡이 자연스레 방출될 때 생기는 압력이므로 내 스스로 그 압력을 잡기 위해 조작하거나 흉부에 가두어 실행할 수 없다"는 것을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성대의 진동원리로서 폐에서 나온 공기가 성문을 지날 때 공기의 흐름과 성대의 내전(접지)현상이 공기를 단절하게 되는데 이때 압력이 형성되며 성대가 열리게 되면 압력이 감소하며 연속적인 성대의 개폐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의 개폐운동이 성대의 진동음을 생산하게 된다. 호흡과 발성[군자출판사) p.98 - 99'
빠둠뮤직 보컬트레이닝 센터
<발성학개론(잘못된 상식타파) - 성문하압>
여러분 안녕하세요 보컬트레이너 조경환입니다.
유튜브 상의 수많은 보컬 강의 영상들에서 성문하압(subglottal pressure)을 많이들 언급합니다.
"성문하압을 이용하여 노래를 부른다." 또는 "성문하압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준다." 이 말들이 과연 올바른 이야기일까요?
우리가 일상에서 말을 하거나 노래를 부르려 할 때 흡기, 즉 숨을 마시는 행위를 우선 적으로 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마신 숨을 호기(날숨)하며 말을 하거나, 노래를 부르게 되는 것이죠.
이때, 들이마신 공기가 방출되며 우리의 성대를 내전(접지), 외전(벌어짐)시키게 되는데(베르누이 원리), 이러한 내전된 성대와 외전된 성대로 인해 발생되는 탄성회복작용에 의해서 방출되던 공기에 생기는 압력이 바로 성문하압 입니다.
즉 성문하압은 음성을 발생시킬 때 자연스레 생기는 것이므로, 이것을 느끼는 작위적인 방법(흉부에 압력을 느낀다, 또는 성대 아래에 압력을 만든다, 숨을 가득 머금고 참는다)은 실질적인 효과를 보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여러분들께서는, "성문 하압은 호흡이 자연스레 방출될 때 생기는 압력이므로 내 스스로 그 압력을 잡기 위해 조작하거나 흉부에 가두어 실행할 수 없다"는 것을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성대의 진동원리로서 폐에서 나온 공기가 성문을 지날 때 공기의 흐름과 성대의 내전(접지)현상이 공기를 단절하게 되는데 이때 압력이 형성되며 성대가 열리게 되면 압력이 감소하며 연속적인 성대의 개폐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의 개폐운동이 성대의 진동음을 생산하게 된다. 호흡과 발성[군자출판사) p.98 - 99'
2 years ago | [Y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