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대한민국 전기실에서 가장 흔하게 쓰는 변압기 1,2차 결선은 고압△ - 저압Y 구조입니다. 한전의 22,900V 전기를 수전받아 우리가 쓰는 상용전기로 저압 변성을 해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제3부에서는 이 계통에서 만약 변압기 2차측에 1선지락사고가 발생하면, 변압기 1차측에는 과연 어떠한 전류가 흐를까? 따라서 1차의 보호계전은 어떻게 구성할까? 에 대한 흥미진진한 영상입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가 직관적으로 쉽게 배웠던 '대칭좌표법'을 이용해 1차의 전류를 마법같이 구해보겠습니다. 1부, 2부, 3부 영상까지 모두 보신 분들은 실무 현장의 마스터가 되시고 더욱 자신감 있게 현장업무에 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제3부 영상은 편집이 끝나는 삼일절 이후 즘 공개됩니다.
전기혁명
채널 창립 5주년 특집 - 제3부 "델타 와이 결선의 미학" 편 공지입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대한민국 전기실에서 가장 흔하게 쓰는 변압기 1,2차 결선은 고압△ - 저압Y 구조입니다. 한전의 22,900V 전기를 수전받아 우리가 쓰는 상용전기로 저압 변성을 해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제3부에서는 이 계통에서 만약 변압기 2차측에 1선지락사고가 발생하면, 변압기 1차측에는 과연 어떠한 전류가 흐를까? 따라서 1차의 보호계전은 어떻게 구성할까? 에 대한 흥미진진한 영상입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가 직관적으로 쉽게 배웠던 '대칭좌표법'을 이용해 1차의 전류를 마법같이 구해보겠습니다. 1부, 2부, 3부 영상까지 모두 보신 분들은 실무 현장의 마스터가 되시고 더욱 자신감 있게 현장업무에 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제3부 영상은 편집이 끝나는 삼일절 이후 즘 공개됩니다.
고맙습니다. :)
/전기혁명 올림(2025.2.25. 08:55)
2 months ago (edited) | [YT] |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