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ETH는 증권이 아니다’는 내용이 담긴 ‘힌먼 연설문’을 공개함. 힌먼 전 SEC 기업금융국장은 SEC와 리플 간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과 관련된 핵심 인물임
- 해당 연설문에 따르면 힌먼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탈중앙화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볼 때 현재 ETH와 관련된 거래는 증권이 아니다”며 “이더를 규제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라고 말함
- 이에 리플은 “ETH가 증권이 아니듯 XRP도 증권일 수 없다”고 주장함. 리플 커뮤니티의 존 디튼 변호사는 "미 SEC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공개한 '힌먼 연설' 관련 자료는 SEC가 디지털 자산의 규제기관을 맡을 자질이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한다"라며 맹공함
💡 다만 연설문엔 “SEC는 직원의 사적인 출판물이나 진술에 대해 책임지지 않는다”며 “발언자의 견해만을 표현했으며 SEC의 의견을 반영하지는 않는다”고 명시돼 리플의 입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쓰이기엔 논란이 있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 가상자산 운용사 하루 인베스트가 지난 13일 “파트너사에 문제가 발생했다”며 돌연 입출금 서비스를 중단한 가운데, 유사 업체인 델리오도 출금을 중단했음
- 14일 델리오는 홈페이지를 통해 이날 오후 6시 30분부터 출금을 중단한다고 밝히며, “하루 인베스트에서 발생한 디지털 자산 입출금 중단 여파 등이 해소될 때까지 일시적인 출금 정지 조치를 진행한다”고 공지함
- 하루 인베스트 측은 파트너사인 비앤에스홀딩스(B&S)를 상대로 허위 정보를 제공한 혐의로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밝혔음. 또한 “위탁업체가 허위 정보를 제공했다. 하루 인베스트는 러그풀이 아니다”라며 “추후 관련 내용을 추가적으로 공지하겠다”라고 설명함
💡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를 두고, “작년에 발생한 테라 사태와 FTX 파산의 여파가 이제야 드러난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아직 밝혀지지 않은 문제가 있을 수 있는 만큼, 관련 이슈에 주의해야겠습니다.
-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가 15개월만에 금리를 동결했지만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예고함. 올해 최소 2번 베이비스텝(0.25%p)을 추가로 단행할 뜻을 내비쳤고, ‘매파적 건너뛰기(hawkish skip)’란 표현이 나옴
- 연준 경제전망요약(SEP)은 연준의 40여 년 만의 고강도 긴축이 완전히 멈춘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력하게 시사함. 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예상치를 종합한 점도표는 상당히 매파적이었음
- 파월 의장은 “FOMC 위원들은 어느 정도 추가 금리 인상을 내다보고 있다”라고 말하면서도, “경제전망은 FOMC의 계획이 아니기에 예상대로가 아니라면 정책 경로를 조정할 것”이라고 언급, 반드시 0.5%p 추가 인상이 이루어질 것은 아니라고 강조함
💡 소비자물가지수가 2년여 만에 최소폭의 상승세를 보이면서 연준의 정책에도 숨통이 트이는 모양새입니다. 이대로 인플레가 잡히게 된다면, 보다 완화적인 정책이 나올 수 있겠습니다.
- 유니스왑 랩스는 V4 업그레이드에서 'Hook'을 도입해 유동성 풀을 맞춤화하는 강력하고 새로운 방법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발표함
- 또한 단일 계약을 통해 풀 생성 비용을 99% 줄일 수 있게 됐으며 ‘플래시 어카운팅’ 시스템을 결합해 라우팅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고 전해짐
- 이에 따라 맞춤형 풀 및 싱글톤을 통해 자동화된 마켓메이킹(AMM) 생성 없이 유니스왑의 보안과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탈중앙화 금융 생태계가 더욱 정교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 V4 등장에 따라 향후 유니스왑 DAO의 중요성이 올라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거버넌스 기능만이 존재하는 UNI 토큰에 효용성이 증가하지 않겠느냐는 기대감도 나옵니다.
알고팍스 : GOPAX 공식 채널
[6월 3주차 뉴스레터] ‘힌먼 연설문’ 공개 파장…리플 소송 청신호?
[리서치] 샘 알트먼의 월드코인은 인류를 구원할 수 있을까?
월드코인은 AI가 만들어 낼 디스토피아에 대한 위기감에서 시작한 프로젝트로, 전 세계의 모든 사람에게 소유권을 부여하여 세계 최대의 신원 및 금융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과연 월드코인은 인류를 구원할 수 있을까요? 고팍스 미디엄에서 확인해 보세요.
리서치 바로가기: medium.com/gopax/%EC%83%98-%EC%95%8C%ED%8A%B8%EB%A…
Market Roundup
[ ‘힌먼 연설문’ 공개 파장…리플 소송 청신호? ]
-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ETH는 증권이 아니다’는 내용이 담긴 ‘힌먼 연설문’을 공개함. 힌먼 전 SEC 기업금융국장은 SEC와 리플 간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과 관련된 핵심 인물임
- 해당 연설문에 따르면 힌먼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탈중앙화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볼 때 현재 ETH와 관련된 거래는 증권이 아니다”며 “이더를 규제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라고 말함
- 이에 리플은 “ETH가 증권이 아니듯 XRP도 증권일 수 없다”고 주장함. 리플 커뮤니티의 존 디튼 변호사는 "미 SEC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공개한 '힌먼 연설' 관련 자료는 SEC가 디지털 자산의 규제기관을 맡을 자질이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한다"라며 맹공함
💡 다만 연설문엔 “SEC는 직원의 사적인 출판물이나 진술에 대해 책임지지 않는다”며 “발언자의 견해만을 표현했으며 SEC의 의견을 반영하지는 않는다”고 명시돼 리플의 입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쓰이기엔 논란이 있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관련 기사: 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
[ 하루 인베스트에 이어 델리오도 '출금 중단' ]
- 가상자산 운용사 하루 인베스트가 지난 13일 “파트너사에 문제가 발생했다”며 돌연 입출금 서비스를 중단한 가운데, 유사 업체인 델리오도 출금을 중단했음
- 14일 델리오는 홈페이지를 통해 이날 오후 6시 30분부터 출금을 중단한다고 밝히며, “하루 인베스트에서 발생한 디지털 자산 입출금 중단 여파 등이 해소될 때까지 일시적인 출금 정지 조치를 진행한다”고 공지함
- 하루 인베스트 측은 파트너사인 비앤에스홀딩스(B&S)를 상대로 허위 정보를 제공한 혐의로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밝혔음. 또한 “위탁업체가 허위 정보를 제공했다. 하루 인베스트는 러그풀이 아니다”라며 “추후 관련 내용을 추가적으로 공지하겠다”라고 설명함
💡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를 두고, “작년에 발생한 테라 사태와 FTX 파산의 여파가 이제야 드러난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아직 밝혀지지 않은 문제가 있을 수 있는 만큼, 관련 이슈에 주의해야겠습니다.
관련 기사: www.news1.kr/articles/5077251
[ 美 연준, 15개월만에 금리 동결…“매파적 스킵” ]
-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가 15개월만에 금리를 동결했지만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예고함. 올해 최소 2번 베이비스텝(0.25%p)을 추가로 단행할 뜻을 내비쳤고, ‘매파적 건너뛰기(hawkish skip)’란 표현이 나옴
- 연준 경제전망요약(SEP)은 연준의 40여 년 만의 고강도 긴축이 완전히 멈춘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력하게 시사함. 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예상치를 종합한 점도표는 상당히 매파적이었음
- 파월 의장은 “FOMC 위원들은 어느 정도 추가 금리 인상을 내다보고 있다”라고 말하면서도, “경제전망은 FOMC의 계획이 아니기에 예상대로가 아니라면 정책 경로를 조정할 것”이라고 언급, 반드시 0.5%p 추가 인상이 이루어질 것은 아니라고 강조함
💡 소비자물가지수가 2년여 만에 최소폭의 상승세를 보이면서 연준의 정책에도 숨통이 트이는 모양새입니다. 이대로 인플레가 잡히게 된다면, 보다 완화적인 정책이 나올 수 있겠습니다.
관련 기사: 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30615/1197…
[ 유니스왑 V4 공개…"유동성 풀 맞춤화 기능 도입" ]
- 유니스왑 랩스는 V4 업그레이드에서 'Hook'을 도입해 유동성 풀을 맞춤화하는 강력하고 새로운 방법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발표함
- 또한 단일 계약을 통해 풀 생성 비용을 99% 줄일 수 있게 됐으며 ‘플래시 어카운팅’ 시스템을 결합해 라우팅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고 전해짐
- 이에 따라 맞춤형 풀 및 싱글톤을 통해 자동화된 마켓메이킹(AMM) 생성 없이 유니스왑의 보안과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탈중앙화 금융 생태계가 더욱 정교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 V4 등장에 따라 향후 유니스왑 DAO의 중요성이 올라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거버넌스 기능만이 존재하는 UNI 토큰에 효용성이 증가하지 않겠느냐는 기대감도 나옵니다.
관련 기사: bloomingbit.io/news/7074372891764064320
*고팍스 iOS 앱 다운: apps.apple.com/kr/app/gopax/id1369896843
*고팍스 Android 앱 다운: 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co.gopax
*공식 텔레그램: t.me/gopaxkr_official
*공식 트위터: twitter.com/GOPAX_kr
*공식 미디엄: medium.com/gopax
2 years ago (edited) | [Y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