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골DIY&정원 : muku・chi蔵
응애, 진드기 예방 - 목초액 사용법 저는 해충약을 사용하지 않고 마당을 가꾸고 있는데요 진드기 생기는 걸론 대표가 무궁화잖아요 우리나라 국화인데도 벌레가 싫어 안 키운다는 분도 계시더라고요 ㅠㅠ 저희 집엔 무궁화가 5그루 있어요 가끔 진드기가 생기는데 잘 보면 익충들도 모여있어요 익충이들이 안 보이면 자주 가서 익충이들 오나 살펴봐요 기다려보면 바글바글 모이던데 그다음 날 보면 진드기들 다 사라지고 없어요 제 텃밭은 자연농법으로 무경작 무비료 무농약으로 해서 그쪽을 가장 많이 공부했는데요 특별한 이유는 없고 몸 편하려고 하는 방식이고요 꽃도 편하려고 하는 방식이라 천연비료가 메인이긴 해도 꽃에 한해선 화학 비료를 보조용으로 써요 자연농법을 공부해 보면 원래 벌레란 게 양분이 과하게 많은 곳에 생기는 것이거든요 해충약은 즉각적인 효과를 주지만 유효균과 익충까지 죽이고 효력이 떨어지면 다시 발생하고 약에 점점 강해지는 결과 효과가 없어지는 상태가 되기도 합니다 걔네들이 응애도 먹고 진드기도 먹고 하는데 익충인데도 생긴 것이 징그럽거나 해로울 것 같이 보이기도 해요 어떤 벌레가 익충인지 알아두는 것도 좋은 것 같아요 그리고 많은 가드너들이 벌레 예방을 목적으로 목초액을 사용합니다 목초액의 효과는 식물의 큐티클 강화 진드기 응애 예방 면역력 증진 토질 개선 유효균 배양 목초액은 자체는 10%의 알코올과 다양한 유기질이 포함된 산 식초입니다 건강한 식물은 잎과 줄기에 큐티클층이 발달해 윤기가 나고 외부의 병충해에 강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목초액이 이 큐티클층을 더 단단하고 강하게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어 벌레들로부터 강한 개체가 됩니다 사용 방법은 농도에 따른 사용법이 2가지 있습니다 묽게 자주 뿌리는 방법 200-1000배 물 10L에 목초액 10-50미리 물뿌리개나 분무기에 담아 식물 잎과 줄기에 뿌려줍니다 분무기의 경우 흙 위로 뚝뚝 떨어질 정도가 좋습니다 주 1회 힘드시면 2주에 1회 비가 오면 쓸려내려 가니까 비온 뒤 날이 좋을 예정일 때 뿌립니다 목초액은 유효균과 미생물의 먹이가 되어 수를 늘려주고 유효균은 나쁜 균의 증식을 막고 몰아냅니다 식물의 뿌리에 붙어 공존하는 유효균은 식물 뿌리에서 나오는 당분을 얻는 대신 식물에게 여러 영양소를 분해 가공해 공급해 줍니다 결과 나쁜 병균에서 막아주기도 하고 영양공급도 해줍니다 면역력 증진 효과 식물도 인간처럼 건강하면 병균에 노출되어도 병에 잘 걸리지 않습니다 화학비료는 유효균 증식을 방해하고 식물에 부담을 주거나 약해지게 하고 산화됩니다 병균은 산화된 물질을 좋아하고 알칼리성을 싫어해요 목초액은 산이지만 공기와 접촉하며 알칼리성으로 변합니다 화학비료는 쉽게 영양을 공급하지만 흡수된 영양이 과해 산화되어 식물체내에 머무르고 그 결과 식물은 산화된 물질로 소화불량 상태가 되어 약해집니다 목초액에 물 200-300배 섞어 뿌려주면 식물체내에 쌓인 산화된 양분을 분해해 단백질과 아미노산으로 바꿔줍니다 간단히 예를 들면 소화불량에서 비타민 활력 증진 상태로 바꿔놓는 결과가 됩니다 진하게 사용 흙을 리셋하는 법 20-30배 물 10L에 300-500미리 진한 목초액을 흙에 뿌리면 흙 속에선 대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 잡초의 씨앗과 균이 사멸합니다 유효균까지 전부 사멸하기 때문에 그 흙은 멸균됩니다 그 후 3-4일 후 산도가 낮아지고 이산화탄소가 점점 빠져나간 뒤 가장 먼저 유효균이 증식, 유효균이 먼저 점령한 흙에는 나쁜 균의 증식이 어렵습니다 방법 식물 심기 1개월 이상 전에 시행합니다 리셋 하고 싶은 땅에 잡초 제거 후 20-30배로 희석한 목초액을 뿌립니다 1제곱미터에 4-5리터 뿌리고 비닐로 덮고 흙으로 눌러 이산화탄소와 증기, 열이 빠져나가지 않게 가둡니다 그 후 쌀겨를 뿌려준다거나 해도 좋습니다 쌀겨 사용법도 포스팅해두었으니 참고해 주세요 목초액은 제품마다 정제율이 다른데 비싼 것이 더 정제가 잘 된 것이고 색이 옅고 투명한 것일수록 잘 정제된 것이에요 색이 진하고 침전물이 있을수록 정제가 덜 된 것 너무 비싼 걸 쓸 필요까진 없고 너무 싼 건 좋지 않고 중간선 정도의 제품을 자주 써주는 쪽이 효과적입니다 오해하실까 싶은데 목초액 자체가 해충을 퇴치하는 것이 아닙니다 목초액으로 인해 만들어진 환경과 개체 자체의 면역력이 해충을 방어할 능력치가 높아지는 것이에요 이미 창궐한 해충을 퇴치할 능력은 없으니 평소 자주 뿌려 예방해 주세요🥰
1 year ago | [YT] | 54
일본산골DIY&정원 : muku・chi蔵
응애, 진드기 예방 - 목초액 사용법
저는 해충약을 사용하지 않고 마당을 가꾸고 있는데요
진드기 생기는 걸론 대표가 무궁화잖아요
우리나라 국화인데도 벌레가 싫어 안 키운다는 분도 계시더라고요 ㅠㅠ
저희 집엔 무궁화가 5그루 있어요
가끔 진드기가 생기는데 잘 보면 익충들도 모여있어요
익충이들이 안 보이면 자주 가서 익충이들 오나 살펴봐요
기다려보면 바글바글 모이던데 그다음 날 보면 진드기들 다 사라지고 없어요
제 텃밭은 자연농법으로 무경작 무비료 무농약으로 해서 그쪽을 가장 많이 공부했는데요
특별한 이유는 없고 몸 편하려고 하는 방식이고요
꽃도 편하려고 하는 방식이라 천연비료가 메인이긴 해도 꽃에 한해선 화학 비료를 보조용으로 써요
자연농법을 공부해 보면 원래 벌레란 게 양분이 과하게 많은 곳에 생기는 것이거든요
해충약은 즉각적인 효과를 주지만 유효균과 익충까지 죽이고
효력이 떨어지면 다시 발생하고 약에 점점 강해지는 결과 효과가 없어지는 상태가 되기도 합니다
걔네들이 응애도 먹고 진드기도 먹고 하는데
익충인데도 생긴 것이 징그럽거나 해로울 것 같이 보이기도 해요
어떤 벌레가 익충인지 알아두는 것도 좋은 것 같아요
그리고 많은 가드너들이 벌레 예방을 목적으로 목초액을 사용합니다
목초액의 효과는
식물의 큐티클 강화
진드기 응애 예방
면역력 증진
토질 개선
유효균 배양
목초액은 자체는 10%의 알코올과 다양한 유기질이 포함된 산 식초입니다
건강한 식물은 잎과 줄기에 큐티클층이 발달해 윤기가 나고 외부의 병충해에 강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목초액이 이 큐티클층을 더 단단하고 강하게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어 벌레들로부터 강한 개체가 됩니다
사용 방법은 농도에 따른 사용법이 2가지 있습니다
묽게 자주 뿌리는 방법
200-1000배 물 10L에 목초액 10-50미리
물뿌리개나 분무기에 담아 식물 잎과 줄기에 뿌려줍니다
분무기의 경우 흙 위로 뚝뚝 떨어질 정도가 좋습니다
주 1회 힘드시면 2주에 1회
비가 오면 쓸려내려 가니까 비온 뒤 날이 좋을 예정일 때 뿌립니다
목초액은 유효균과 미생물의 먹이가 되어 수를 늘려주고 유효균은 나쁜 균의 증식을 막고 몰아냅니다
식물의 뿌리에 붙어 공존하는 유효균은 식물 뿌리에서 나오는 당분을 얻는 대신 식물에게 여러 영양소를 분해 가공해 공급해 줍니다
결과 나쁜 병균에서 막아주기도 하고 영양공급도 해줍니다
면역력 증진 효과
식물도 인간처럼 건강하면 병균에 노출되어도 병에 잘 걸리지 않습니다
화학비료는 유효균 증식을 방해하고 식물에 부담을 주거나 약해지게 하고 산화됩니다
병균은 산화된 물질을 좋아하고 알칼리성을 싫어해요
목초액은 산이지만 공기와 접촉하며 알칼리성으로 변합니다
화학비료는 쉽게 영양을 공급하지만 흡수된 영양이 과해 산화되어 식물체내에 머무르고 그 결과 식물은 산화된 물질로 소화불량 상태가 되어 약해집니다
목초액에 물 200-300배 섞어 뿌려주면 식물체내에 쌓인 산화된 양분을 분해해 단백질과 아미노산으로 바꿔줍니다
간단히 예를 들면 소화불량에서 비타민 활력 증진 상태로 바꿔놓는 결과가 됩니다
진하게 사용 흙을 리셋하는 법
20-30배 물 10L에 300-500미리
진한 목초액을 흙에 뿌리면 흙 속에선 대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
잡초의 씨앗과 균이 사멸합니다
유효균까지 전부 사멸하기 때문에 그 흙은 멸균됩니다
그 후 3-4일 후 산도가 낮아지고 이산화탄소가 점점 빠져나간 뒤 가장 먼저 유효균이 증식, 유효균이 먼저 점령한 흙에는 나쁜 균의 증식이 어렵습니다
방법
식물 심기 1개월 이상 전에 시행합니다
리셋 하고 싶은 땅에 잡초 제거 후 20-30배로 희석한 목초액을 뿌립니다
1제곱미터에 4-5리터 뿌리고 비닐로 덮고 흙으로 눌러 이산화탄소와 증기, 열이 빠져나가지 않게 가둡니다
그 후 쌀겨를 뿌려준다거나 해도 좋습니다
쌀겨 사용법도 포스팅해두었으니 참고해 주세요
목초액은 제품마다 정제율이 다른데 비싼 것이 더 정제가 잘 된 것이고
색이 옅고 투명한 것일수록 잘 정제된 것이에요
색이 진하고 침전물이 있을수록 정제가 덜 된 것
너무 비싼 걸 쓸 필요까진 없고 너무 싼 건 좋지 않고 중간선 정도의 제품을 자주 써주는 쪽이 효과적입니다
오해하실까 싶은데
목초액 자체가 해충을 퇴치하는 것이 아닙니다
목초액으로 인해 만들어진 환경과 개체 자체의 면역력이 해충을 방어할 능력치가 높아지는 것이에요
이미 창궐한 해충을 퇴치할 능력은 없으니 평소 자주 뿌려 예방해 주세요🥰
1 year ago | [YT] |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