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담으로 제가 올린 영상 보면 나오는 결과의 경우에도 8 엘리트 대비 동일 성능 낼때 전성비 떨어짐, (전력 소모가 높음) 게임 돌릴때 2400처럼 심각한 버그는 없음 / 그래서 고성능 뽑아쓰기 어려운 구조를 가진 플립에 넣은거같음 입니다.
2 weeks ago | 14
네모난꿈님보다 관련지식도 한참 없는분들이 이래라 저래라 하는게 참 안타깝습니다… 객관적으로 가감없이 리뷰해주시는것도 모르고 무조건 까대기만 하는 인간들이 문제네요… 무지한 사람들에 휘둘리지 마시고 그런 말들에 상쳐받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2 weeks ago
| 13
아이폰16프로와 갤럭시 25울트라 폴드7 3개 쓰고있는데 명붕원젠 4개 하고 있습니다 일단 명조랑 붕스는 아이폰 메탈 FX 킨것과 그래픽이 육안으로 보기에 별 차이를 못느끼고 있습니다 하지만 원신과 젠존제는 확실히 메탈 FX로 플레이 하다가 갤럭시로 하면 그래픽이 역체감이 심해서 갤럭시 쓰기가 꺼려집니다 물론 25울트라나 폴드7이 쿨러 안달아도 성능은 우수한데 그래픽 때문에 쿨러 달고 16프로 메탈 Fx 로 플레이 하고 있습니다 쿨러 달고 하는게 딱히 불편한건 없구요 자석 위치도 중앙이라 딱 좋은데 갤럭시는 왜 위치를 그지같이 해놓아서 쿨러도 못달게 하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테두리 뜨거움을 견디며 쓰기에는 짜증이 나네요 ㅠ 안드로이드 그래픽이 메탈 Fx급으로 좋아지진 안겠죠?
2 weeks ago
| 1
Hello, could you check the new API option of the game Wuthering waves?
11 hours ago | 0
플립 자체가 워낙 발열이 심하고 성능이 나오기 어려운 폼펙터라 칩셋 성능을 제대로 못 끌어내니 쿨링을 통해 바형에 넣었을 때에 근접한 환경을 만들어 칩셋의 원 성능을 끌어내보겠다 라는 건데 무작정 욕하는 댓글이 달리는 게 어이없었습니다. 영상을 보긴 한 건지 문해력이 떨어지는건지 의심스러웠습니다. 여튼 플립에 엑시노스를 넣은 건 꽤나 합리적인 의사결정이긴 합니다. 삼성도 엑시노스 칩셋을 소비하고 싶은데 가장 플래그십에 가까우면서 넣을 만한게 플립 밖에 없는 것 같네요. 성능이 원래 잘 안 나오는 폼펙터고 8엘리트도 고성능 작업에서는 발열이 꽤 있는지라 스냅 넣는다고 드라마틱한 성능 개선은 없을 것 같습니다. 경량형 노트북에 5090을 달아놓은 그런 느낌이 될 것 같네요
2 weeks ago (edited)
| 3
그니까 이게 맞말인데 그저 삼까들은 스냅달면 전성비 발열 잡힌다 개소리 하고있음ㅋㅋㅋㅋㅋ 스냅 달면 무슨 발열이 바 형만큼 나오는줄 ㅋㅋㅋㅋ 폼팩터 한계로 뭘 달아도 발열이 날수밖에 없는데 뭔
2 weeks ago (edited)
| 2
네모난꿈
엑시노스 2500 해외리뷰가 올라왔는데,
일반 스마트폰 대비 방열 면적 손해가 극심한 플립 폼팩터의 특성 때문에
해외에서도 엑시노스 2500 고부하 구간 전성비 측정을 진행할 땐
최대한 강력한 쿨링 기법을 사용합니다.
www.bilibili.com/video/BV1QXYCzrE3t/?spm_id_from=3…
저도 엑시노스 2500 리뷰 당시 고부하 구간 테스트를 위해
영상 내에서 명확하게 쿨링 기법 사용한 부분을 고지한 뒤 아이스팩 대고 테스트했습니다.
여담으로 앞으로 번거로워서 플립 리뷰는 안 하겠습니다.
내년에도 만약 엑시노스 2600이 플립에만 들어가면 리뷰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원래부터 플립 계통 제품들이 폼팩터 특성상 어떤 칩을 넣어도
발열이 빨리 올라오고 성능이 낮아지다 보니
바형폰 대비 칩의 성능을 제대로 끝까지 뽑아서 쓸 수가 없어서
고부하 테스트가 구조적으로 힘들어 플립은 리뷰를 안했는데,
엑시노스 2500 테스트하려면 이번에 플립밖에 없어서 한번 해봤지만
역시 플립 계통 스마트폰들은
이 채널에서 리뷰하기 너무 까다로운 구조의 기기인 것 같습니다.
웬만하면 동일 조건 맞추고 테스트하기 편한 바형폰 위주로 보겠습니다.
2 weeks ago (edited) | [Y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