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선생의 역사공장

우리나라 청년층(2030세대) 일부는 왜 보수화됐을까요?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는 것 하나만 선택해주세요.

1 month ago | [YT] | 47



@sensate4657

91년생입니다. 날 선 경쟁구도 속에서 20대를 보내고나니 인간성은 점점 찾기 힘들어지는 피폐한 사회에서 살아남으려고 안간힘 써보니.. 내 속은 내가 챙겨야한다, 현실적이어야한다 라는 관념이 크게 학습된 것이 주요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진보적 사고의 이상주의는 말그대로 이상적이긴 하나 전체가 조금씩 희생해야 한다는 한 가지 단점이 학습된 관념에 부합하지 못하여 진보적 사상에 의문을 품게 되고, 쌀 10줌을 받다가 9줌 받게 되고.. 점점 줄어드는걸 현실에서 피부로 느껴보니 '나도 힘든데 왜 힘든 나까지도 손해를 봐야되지?' 라는 생각이 진보사상에 큰 반감을 갖게 되는 결과로 나타나지 않았나 생각해봅니다. 방장님의 질문의 의도를 파악하여 댓글을 작성하긴 했으나 이들이 진짜 보수마인드를 갖고 있는지 진보에 대한 반감으로 그저 진보에서 발을 빼니 발디딘 곳이 보수라고 써있는 곳인지는... 굳이 그렇게까지 따지고 싶진 않네요.

1 month ago | 8  

@infovore-p3j

40,50세대가 '진보'를 차지하고 있으니까요. 언제나 그랬듯 윗세대는 아랫세대에게 극복돼야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4050세대는 기득권이 어디 따로 있다고 생각하시겠지만, 2030에게 코앞에 있는 기득권은 4050입니다.

1 month ago | 2  

@CWGMars

1. "가진자=타파해야할 기득권" 이라는 인식의 약화. 어차피 너도 나도 가진자가 되고 싶어하는 한국 사회이고, 아닌 척 하던 86세대도 결국 뒤에선 가진자가 되기 위해 살아왔음을 보고 배신감. 2. 결과의 평등 보다 기회의 평등을 중시하기 시작. 부의 세습에 대해 배아픈 것은 있으나, 결국 내가 노력한 만큼 인정받고 싶지, 덜 노력한 사람에게 내 것을 떼어주고 싶지 않은 감정. 3. 현 2030 세대 남성은 그 어느 세대보다도 성평등이 몸과 마음에 새겨진 세대인데, 말 몇마디만 나눠봐도 시대착오적인 발상을 가득하고 남성우월주의 시대의 단물을 빨아 살아온 게 눈에 보이는 86세대가 되려 본인들 살아온 것에 대한 죄책감 때문인지 성평등이리는 말로 이득본 적 없는 2030 세대 남성을 본인들과 같은 기득권인 양 묘사하는 풍토. 4. 한미관계, 한일관계를 두고는 "그래도 할 말은 해야 한다" 이러면서 홍콩 민주화 운동 문제 앞에서 중국에게는 그 "할 말" 하지 못하는 이중성의 민주당에 대한 반감. 5. 사실 2030 세대, 특히 남성은 이제 민주당을 정치의 주류이자 기득권 세력으로 보고, 그 대안이 될 제3의 세력을 찾고 있으나 개혁신당 같은 정당은 그 규모가 마땅치 않고, 별다른 선택지 없이 그 반대 정당을 지지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도 있음.

1 month ago | 18  

@epna

항상 청년은 주류사회에 대한 반발을 베이스로 잡고 포지션을 결정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 사회의 주류가 민주화체제로 구성된 현 시대에, 성장성이 저하된 경제적인 현실과 아랍의 봄 이후로 실패한 진보주의의 청구서를 보면서 동기적으로나 논리적으로나 근거들을 얻고 확장된 게 아닐까 싶네요. 커뮤니티 같은건 원인보다는 결과에 가깝지 않을까 싶습니다.

1 month ago | 5  

@땡큐버스

(40)5060과의 갈등, 페미니스트의 등장, 여성 2030과 남성 5060이 결국엔 진보성향에 민주당 지지한다는 것을 알고는 안티로 돌아섰죠. 5060남성들은 여자에게 무조건 잘해야한다는 생각이 있지만 2030남성들은 그럴 생각이 거의 없거든요. 그리고 문재인 정권이 이러한 갈등을 더욱 키움으로써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저 세대들과 성별에게 반감이 커져버렸어요

1 month ago | 8  

@투월-m1s

2030의 보수화가 전세계적인 트랜드인데 마치 한국인만의 특성이나 이유를 찾는건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경제적 위기, 부동산 상승, 저성장 등 전세계를 관통하는 문제가 원인이라고 생각해요

1 month ago | 5  

@arindaddy83

보기에 답이 없네요

1 month ago | 3  

@mkjung9229

사실 보수화(?)되었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그냥 86세대의 안티테제 같은 거라고 생각해요

1 month ago | 5  

@mw-pd4qc

다른 분들이 다 적어놔서 간단히 요약하면 영 포티 쿨 한척 하는 기득권 내로남불 스윗 86 이 역겹습니다.

1 month ago | 2

@음금껌

결과의 평등을 주장하는게 도태된 인생패배자 같아서

1 month ago | 2  

@세상에나마상에나-i7h

정답은 페미니즘과 커뮤인데

1 month ago | 15  

@jana_0183

"뭐 먹고 싶은거 없어요? 짜장면이라든가..훠훠" -발목 동상을 세우며

1 month ago | 9  

@choesiu

반페미와 스윗86세대에 대한 반감

1 month ago | 6  

@Light-1st-p5d

왜 페미니즘에 대한 반감이 없죠? 이게 제일 큽니다. 왜 어르신들은 남성차별 받는거에 대해서 만큼은 침묵으로 일관하시는건지요.

1 month ago | 10  

@민트맛캔디

보수화가아니고 정상화입니다.

1 month ago | 0

@Augustin0117

두선생님, 고파스만 보셔도 후배들 고충을 알 수 있지 않으실까요?? 최근 지역인재 떡밥으로도 다들 한풀이 엄청 했어요ㅋㅋ

1 month ago | 1  

@육모방망이-u6m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후 문재인정부 밀어줬는데 행보가 실망스럽고 위선적이여서

1 month ago | 17  

@Junssssssss

옳고 그름을 따지고 자신은 정의로운 편에 서있다고 주장하며 남들을 무시하고 가르치려하는 사람들에 대한 반감. 진심으로 당신이 얼마나 깨어있는지 아무런 관심 없음에도 귀찮게 존재감을 발휘하는 사람들이 있지요

1 month ago | 1  

@eoddl0

페미니즘등장

1 month ago | 2  

@kate1053

페미니즘, 세대갈등, 개노력해야 겨우 중간쯤은 들 수 있었던 경쟁 분위기? 그리고 주변 우파 중엔 인생의 성취를 한번이라도 이뤘던 친구들이 많아서 대화하기 편함

1 month ago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