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에 비타민c가 많아져서 방광건강에 좋은대신에 확실히 비타민c를 먹으면 눈꼽이 껴요ㅎㅎ 옥살산배출과 연관된다는 자료를 많이봤는데 메가도즈하는 사람으로서 비타민c에 관한거라면 너무 관심있게 보고있습니다.
6 months ago
| 5
다양한 의견 좋아요~ 아프고 난 뒤로 여러 채널들을 보지만. 역시 하나의 주장만 듣는건 걱정되니까, 다양한 반박이나 생각을 봐서 좋았습니다.
6 months ago
| 3
늘 감사합니다 요로결석 경험한 이후로 하루에 비타민 C 1g , 비타민D 1000 IU 로 줄여서.복용하고 있습니다 비타민C 500mg 판매되면 좋겠습니다
6 months ago
| 1
코스트코에서 파는 1000mg 을 아침 저녁 밥 먹고 나서 먹었는데, 하루 한번만 먹어야겠네. 500mg 짜리도 팔지만 1000mg 짜리가 가격이 더 좋은데...
6 months ago | 0
술마시는 도중에 2알 먹습니다. 물론, 집에 와서 1알 더 먹고 잡니다. 먹지 못하고 자는 경우가 더 많지만.. 여튼 숙취 반으로 줄어듭니다. 특히나 저의 경우만 그러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따라하지는 마세요..^^
6 months ago
| 1
안녕하세요 장박사님.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도움되어 궁금한건 조그만 체중과 키에 반해 고려은단 1000mg 복용중인데 ㅇ언니가 과하니 반으로 쪼개어 먹으라합니다. 괜찮은지요? 그리고 비타민열풍이 과한데 시중에 나오는 오메가3 장기복용시 암확률이 높다하고 어떤분은 필수라하는데 어느말을 믿어야할지 초임계라는 말은 언뜻 좋은것같아 현혹되는데 오메가3 건강보조식품은 과연 건강에 유익한지 궁금합니다.
6 months ago
| 4
교수님 6시간이면 체내로 배출된다그래서 하루에 두어번 6시간 이상 간격두고 천미리씩 먹었었는데 하루 1회 5백미리도 괜찮타는 말씀이신가요?
6 months ago | 0
선생님 코로나 백신에 암 발생을 높인다고 요새 뉴스가 나와요 그것 땜에 불안한데 그 부분에 대해서도 좀 정확하게 알려주세요 가다실 백신도 그렇고 안전하지 않다는 이야기가 있어서요ㅠ
6 months ago
| 4
DR. Ezra Hangjun Jang 장항준 내과TV
❌ 왜 비타민 C 메가도스 요법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가?
1️⃣ 흡수의 한계: 장에서 포화 (Absorption Saturation)
비타민 C는 소장의 SVCT1 수송체를 통해 흡수됩니다.
200mg 이하 복용 시 흡수율은 90% 이상이나,
1,000mg 이상 복용 시 50% 이하로 급감하며,
3,000mg 이상 복용 시 대부분 소변으로 배설됩니다.
→ 고용량 복용은 흡수 한계를 초과하여 체내 유입이 제한적입니다
.
2️⃣ 혈중 vs 세포 내 포화 (Plasma vs. Intracellular Saturation)
혈중 비타민 C 농도는 70~85 μmol/L에서 포화됩니다.
최대 허용량인 3g을 4시간마다 복용 시 일시적으로 220 μmol/L까지 도달할 수 있으나,
이는 단기적이고 일시적인 증가에 불과합니다
.
반면, **세포 내 농도는 대부분의 조직에서 0.55 mM (5005,000 μmol/L)**로
혈중보다 수십 배 높고, 이미 포화된 상태로 유지됩니다.
→ 혈중 농도는 일시적 변동이 가능하지만, 세포 내 농도는 조절되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습니다.
3️⃣ 고용량 복용은 오히려 '산화 유발자(Pro-oxidant)'가 될 수 있음
체내 철(Fe²⁺)이나 구리(Cu⁺)와 반응해 Fenton 반응을 일으키며
**H₂O₂(과산화수소)**를 생성 → DNA 손상 및 세포 독성 유발
이는 정상 세포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항산화제가 산화 손상의 원인이 되는 역설이 존재합니다
.
4️⃣ 과도한 혈중 농도는 사망률 증가와 연관 (U자형 곡선)
NHANES 대규모 역학조사에 따르면,
혈중 비타민 C 농도가 약 60~90 μmol/L 사이일 때 가장 낮은 사망률을 보였으며,
100 μmol/L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오히려 전체 및 심혈관계 사망률이 유의하게 증가했습니다.
→ 이는 "비타민 C는 많을수록 좋다"는 믿음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과학적 근거입니다
.
5️⃣ 임상시험에서 유해 사례 다수 보고됨
LOVIT 임상시험 (NEJM, 2022):
패혈증 환자에게 고용량 비타민 C 정맥투여 시 사망률 증가
G6PD 결핍 환자: 용혈성 빈혈 유발
신기능 저하 환자: 옥살산 축적 → 급성 신부전 위험
6️⃣ 백내장 및 신장결석 유발 가능성
**산화형 비타민 C(DHA)**는 렌즈 단백질과 반응하여
AGE(당화말단산물) 형성 → 백내장 유발 가능성
DHA → 2,3-diketogulonic acid → 옥살산으로 전환
→ 칼슘 옥살레이트 신장결석 유발 위험 증가
7️⃣ 세포 내 항산화 시스템의 소진
고용량 복용 시 DHA를 환원하기 위해 GSH, NADPH, thioredoxin 등이 과소비됩니다.
→ 결과적으로 세포 본연의 방어 시스템이 고갈되어,
항산화제를 복용했음에도 항산화력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결론
비타민 C는 흡수, 혈중, 세포 내 각각에서 엄격한 생리적 상한선이 존재합니다.
메가도스 요법은 이 상한선을 넘었을 때
더 이상 흡수되지 않고, 작용하지 않으며,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학적 근거 없이 ‘만병통치약’처럼 마케팅되고 있고,
많은 분들이 속아 불필요한 고용량 제품을 복용하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 비타민 C는 많이 먹는다고 좋은 것이 아닙니다.
📌 세포는 이미 100~400mg/day로 충분히 포화됩니다.
📌 60~90 μmol/L 혈중 농도가 가장 건강한 수치입니다.
6 months ago (edited) | [YT] |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