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4 형제 중 셋째 아들 - 1) 세종대왕 : 양녕대군 - 효령대군 - 충녕대군 (세종 이도) - 성녕대군 2) 이순신 : 이희신 - 이요신 - 이순신 - 이우신
2. 쉰 세 살에 돌아가심 - 1) 세종대왕 : 1397년 음력 4월 10일 ~ 1450년 음력 2월 17일 2) 이순신 : 1545년 음력 3월 8일 ~ 1598년 음력 11월 19일
3. 유례 없는 파격적인 승진 - 1) 세종대왕 : 1418년 음력 6월 3일, 아버지 태종이 장남 양녕대군을 폐세자 시키고 셋째 충녕대군을 세자로 책봉하고 두 달 뒤인 8월 10일, 살아 있는 채로 보위를 물려 주는 선위(禪位)로 조선 제 4대왕으로 등극. 2) 이순신 : 1591년 음력 2월 13일, 종6품 정읍 현감에서 정3품 전라좌도수군절도사로 일곱 단계를 뛰어 오르는 파격 인사로 부임.
4. 초기 공직 생활이 가시밭길 이었으나, 끝내 위대한 창제의 성군과 구국의 영웅으로 자리 매김.
역시역사(易視歷史)
세종대왕(世宗大王)과 충무공 이순신
(忠武公 李舜臣)의 공통점 -
1. 4 형제 중 셋째 아들 -
1) 세종대왕 : 양녕대군 - 효령대군 - 충녕대군
(세종 이도) - 성녕대군
2) 이순신 : 이희신 - 이요신 - 이순신 - 이우신
2. 쉰 세 살에 돌아가심 -
1) 세종대왕 : 1397년 음력 4월 10일 ~
1450년 음력 2월 17일
2) 이순신 : 1545년 음력 3월 8일 ~
1598년 음력 11월 19일
3. 유례 없는 파격적인 승진 -
1) 세종대왕 : 1418년 음력 6월 3일, 아버지
태종이 장남 양녕대군을 폐세자 시키고 셋째
충녕대군을 세자로 책봉하고 두 달 뒤인 8월
10일, 살아 있는 채로 보위를 물려 주는
선위(禪位)로 조선 제 4대왕으로 등극.
2) 이순신 : 1591년 음력 2월 13일, 종6품
정읍 현감에서 정3품 전라좌도수군절도사로
일곱 단계를 뛰어 오르는 파격 인사로 부임.
4. 초기 공직 생활이 가시밭길 이었으나,
끝내 위대한 창제의 성군과 구국의 영웅으로
자리 매김.
5 months ago (edited) | [Y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