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adhd 센터같은데 있었으면 좋겠어요 행동 교정이 중요한데ㅠ 주기적으로 자가 검진이 안되니 자꾸 제자리 걸음ㅠㅠ 같은 고충 극복한 경험도 공유하고 싶고
2 days ago
| 26
환경의 구조화 정말 중요해요. 그것만 잘 조성되면 우리가 누구보다도 성실한 사람들이잖아요. 고지식하고 정직해서 할 일 그 이상을 하는 사람들인데 극과극의 평판 속에 힘들어요 일생이😢
2 days ago
| 33
어찌 그리 정확히 제 상태를 describe 하시는지.ㅠ 조직에 있을 때는 deadline 이 많아서 잘 해냈는데 프리랜서로 가니 셀프 강제가 진짜 안됩니다.ㅠ
2 days ago | 8
2번 그게 너야 라는 책을보면 이렇게 마무리 되더라구요. '노력하기를 멈추라..' 이게 단하나의 솔루션이었습니다. 이글을 읽으니 왠지 그메세지가 생각나네요
2 days ago | 3
위로가되네요….항상 마감압박이있는직업이라서 그렇게 쉬지도 놀지도 못한 감옥에 갇히면 얼마나 죄책감에 빠졌엇는지 몰라요. 이제 날 위로해줘야겠어요. 근데 나 왜 여기 있죠?
2 days ago | 2
맞아맞아 그래서 스케줄 다 꽉채워두는게 중요함 뭔 쉬는 시간도 계획에 세우라고 하는데 그거 다 바보같은 짓이고 뽀모도로? 이거 adhd한테 극악임 1뽀모만 하고 하루종일 회피하면서 놀게 됨 ㅋㅋㅋㅋ 그리고 무조건 주7일 스케줄 다 넣어둬야하고 그중 실패한 날이 곧 쉬는 날이 되게 해야지 쉬는날 설정해두면 쉬는 날도 쉬고 실패한날도 쉬고 절망감에 스트레스만 받게 됨
1 day ago | 0
그런데 웃기죠 지가 하고싶은건 또 실행능력이 바로바로 나옵니다 미루는것들을 가만 보면 전부 하기 싫은것들 귀찮은 것들이에요 자극 충동 재미있는건 실행능력 뇌가 풀가동을 하나보군요 옆에서 보면 미칩니다
1 day ago | 0
정신없는 정신과의사
“ADHD식 미루기는 이상합니다. 일을 안 하면서도 휴식을 즐기지 못하고, 시작도 끝도 못한 채 그 사이에 갇혀 있는 느낌. 결국 ‘하지 않음’과 ‘해야 함’ 양쪽 모두에게 벌을 받는 것 같죠.”
이것은 게으름이 아니라 실행 기능의 특성 때문입니다. 작은 단위로 쪼개 시작점을 낮추거나, 환경을 구조화하는 전략이 도움이 됩니다. ADHD를 ‘핑계’로 삼기보다는, 이런 뇌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고 다루는 방법을 찾는 게 핵심입니다.
2 days ago | [YT] | 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