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스퀘어 해외선물 TV

1월17일 뉴욕증시브리핑 양호한소매판매에도 M7하락에 3대지수동반하락

◎ 해외증시

*뉴욕증시는 월러 연준 이사의 비둘기파적 발언에 따른 시장 금리 하락에도 애플(-4.04%), 테슬라(-3.36%), 엔비디아(-1.96%) 등
개별 이슈에 따라 M7종목이 크게떨어지며 3대 지수는 하락 마감(다우 -0.16%, S&P500 -0.21%, 나스닥-0.89%).
*12월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0.4% 증가하며 컨센서스(0.5%)와 전월 수정치(0.8%)를 하회.
전체 소매판매는 시장 예상치를 소폭 밑돌았으나, 12월계절상 변동성이 큰 자동차, 휘발유, 음식서비스 등을 제외한 핵심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7%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0.4%)를 상회.
*애틀란타 연은의 GDP 나우 4분기 전망치는 기존 2.7% → 3.0%로 상향되며 미국의 견조한 소비 경기를 재차 확인.
*소매판매 지표가 시장금리를 다시올릴 소지가 있었으나, 장후반 매파 성향으로 평가 받던 월러 연준 이사의 비둘기파적 발언에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4.6%대 초반선까지 하락.
월러 연준 이사는 인플레이션이 현재 목표치(2%)에 근접하고 있으며, 향후 발표될 데이터에 따라서 올해 3월 금리 인하를 포함해 연내 3~4회 금리 인하가 가능하다는 점을 언급.
시장 금리가 큰 폭으로 하락함에 따라 빅테크주들의 부진에도 여타 종목들이 선방하며 이 날 지수의 하락은 제한된 흐름을 보임.
*JP모건이 4분기 전년대비 이익이50%중가, 골드만삭스는 100넘게이익증가,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주당순이익이 주당0.82달라(예상0.81달라)로 양호, 모건스탠리실적은 매출이26%증가.
TSMC는 기록적인분기실적공개 , 매출39%증가, 순이익 57%증가...투자계속늘리는중.. 엄청난마진기록중
*트럼프는 20일 취임직후 다수의 행정명령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우선적으로 반이민, 에너지, 무역 및 관세중심으로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보임. 이중 관세 정책에 대한 노이즈가 연초부터 주식시장에 변동성을 자극했으나, 일단 초기에 관세 부과의 타겟은 중국, 캐나다, 멕시코를 중심으로 단행될 것으로 예상.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 지명자는 관세는 다른 나라와의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바로잡기 위한 ‘협상 도구’로
사용할 것임을 재차 강조하며, 관세에 대한 우려를일부 완화시켜주는 발언을 했다는 점도 고려해야할 필요.
*M7 : 엔비디아(1.92%↓), 애플(4.04%↓), 테슬라(3.36%↓), 마이크로소프트(0.41%↓),메타(0.94↓), 아마존(1.2↓), 알파벳(1.35↓)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 글로벌경제지표

나스닥 19,338.29 (0.89%↓)
S&P500 5,937.34 (0.21%↓)
다우존스 43,153.13 (0.16%↓)
미국국채10Y 4,615 (3.9bp↓)
달러 108.98 (0.1%↓)
WTI 78.68 (1.7%↓)
비트코인 99,851.73 (0.17%)



◎ 전략과전망

*금주 PPI, CPI, 소매판매까지 물가 지표가 증시에 우호적으로 작용한 가운데 시장은 이제 다음주20일에 예정된 트럼프 취임식에 관심이 쏠릴것으로 판단.
관세, 이민 등의 트럼프 정책 행보 불확실성으로 인해 향후정책이 미칠 인플레이션 영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현재장세에서 트럼프취임직후 발표할 행정명령에 초점을 맞춰야 할 필요.
그 외에도 어닝 시즌이 본격적으로 개막함에 따라 1월말 빅테크들의 실적 발표에 따른 종목별 차별화 장세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
특히 전일 실적시즌의 포문을 연 미국 금융주들은 전반적으로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며 전체 증시상승을 견인.
M7종목의 높아진 기대치를 실적이 충족시킬 수 있는지 여부가 매우중요할것으로 판단.(어닝이 많이올라가야함)
*연초 이후 미국 증시 내에서도 지난해 가파르게 상승했던 빅테크주보다는 트럼프 수혜 업종 중심으로 상승세가 나타나는 모습.
물론 유가 상승 요인도 있겠으나 주요 업종 중 에너지(+8.3%) 업종이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고 그 외에 산업재(+3.9%), 금융(+3.0%)이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IT(-1.8%), 커뮤니케이션(+0.9%)는 부진한 흐름을 연출.
트럼프 취임직후 정책적 행보에 따라 이와 같은 흐름이 강화될지에 주목해볼 필요.

7 months ago | [Y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