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buffering occurs during broadcast at a 6000kbps bit rate on a PC, it is not just a matter of upload speed, but various causes may work in combination. Below is a summary of the cause diagnosis and solutions according to priority.
What is Bit Rate?
It refers to the "amount of data sent per second" **.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quality that determines how much information is used to express video and audio.
---
I will give you an example of the 🎥.
What is 6000kbps?
It means that it transfers about 6000 kilobits (kilobits), or about 750 kilobytes (KB) of data per second.
The larger this number, the clearer and softer the image, and the smaller the image quality.
That's why the buffer occurred. So I'll lower it. I'll adjust it for the next broadcast.
임시 해결 팁
> 방송이 급할 경우, 아래와 같이 낮춰도 실사용 문제 없습니다:
비트레이트: 4500kbps
해상도: 1920x1080
프레임레이트: 30fps
오디오: 128kbps
一時的な解決のヒント
>放送が緊急であれば、以下のように下げても実際の使用に問題はありません。
ビトレート:4500kbps
決議:1920x1080
フラメレート:30fps
音声:128kbps
Temporary resolution tips
> If the broadcast is urgent, there is no problem with actual use even if it is lowered as below:
Bitrate: 4500 kbps
Resolution: 1920x1080
Framelate: 30 fps
Audio: 128 kbps
이걸로 안되면 비트레이트를 더 낮추겠습니다.
これでダメならビットレートをもっと下げます。
If this doesn't work, I'll lower the bitrate further.
그걸로 안되면 화질도 낮추겠습니다.
I will also lower the quality.
品質も下げます。
1080 -> 720
네, 확인했습니다. 영상 속 댓글에서 6000kbps 설정 시 문제점도 명확히 언급하셨습니다. 구체적으로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 게시글에서 언급한 6000kbps 관련 문제 요약:
“PC에서 3500kbps 이상 프리즘은 비트레이트를 넘기면 버퍼링 또는 품질 손실 발생” → 6000kbps 설정해도 실제 출력이 제대로 안 되는 경우 있음 → 프리즘 라이브에서 비트레이트가 설정대로 동작하지 않는 버그/제한 현상 지적
“It doesn't work. lift over the bitrate further.” → 설정만 6000kbps로 해도 내부 전송률이 부족해서 실제 품질 개선이 안 되는 문제 발생 → 단순 수치 설정이 아니라 장비 상태와 트래픽 상황을 같이 고려해야 함
코덱, 프레임레이트, 오디오 비트레이트까지 종합적으로 설정하지 않으면 6000kbps 설정이 오히려 낭비되거나 오류로 작동할 수 있음
---
🧠 핵심 메시지:
단순히 수치를 높인다고 품질이 보장되지 않는다.
프리즘, OBS 같은 프로그램의 내부 인코딩 처리 능력과 실제 회선 상황이 중요하다.
6000kbps 설정도 장비, 네트워크, 인코딩 프리셋이 받쳐줘야 의미가 있다.
---
필요하다면 이 내용을 기반으로, 다른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정리도 가능합니다:
---
🔧 비트레이트 6000kbps 이상 설정 시 주의사항 (프리즘 기준)
✔️ 권장 설정값
영상: 1080p / 30fps
비디오: 3000~4500kbps
오디오: 256kbps
총합: 3500~5000kbps 이내
⚠️ 문제점
6000kbps로 설정해도 프리즘 내부 처리 한계 또는 네트워크 불안정 시 화질 향상 없음
버퍼링, 깨짐 현상 발생 가능
실제 출력이 설정값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음
🛠 해결 팁
CBR(고정 비트레이트) + 키프레임 간격 2초 + CPU preset "faster" 이상 사용
Summary of the 6000kbps issue mentioned in the 📌 post:
"Prisms over 3500 kbps on a PC will cause buffering or quality loss if the bit rate exceeds." → Even if you set 6000 kbps, the actual output may not be correct. → Pointing out bugs/restrictions that the bit rate does not work as set in Prism Live.
“It doesn't work. lift over the bitrate further.” → Even if only the settings are set at 6000kbps, the internal transfer rate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tual quality cannot be improved. →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dition of the device and the traffic situation together, not simply setting numerical values.
We need to set the codec, frame rate, and audio bit rate comprehensively. The settings for 6000 kbps may be rather wasted or run with errors.
---
The 🧠 core message:
Simply raising the numbers does not guarantee quality.
The internal encoding processing capabilities of programs such as Prism and OBS and the actual line situation are important.
The setting of 6000 kbps is also meaningful only when it is supported by equipment, networks, and encoding presets.
---
If necessary, based on this content, it is easy for other users to understand and can be organized in the following way.
---
Precautions when setting the bit rate above 6000 kbps (based on prism)
✔️ recommended setting values
Video: 1080p/30fps
Video: 3000-4500 kbps
Audio: 256kbps
Total: Within 3500 to 5000 kbps
Problems with the ⚠️
Even if it is set to 6000kbps, there is no improvement in image quality during internal processing limits or network instability.
Buffering and cracking phenomena can occur.
The actual output may not reach the set value.
Tips for solving 🛠
CBR (Fixed Bit Rate) + Keyframe spacing 2 seconds + CPU preset "faster" abnormal use
tohamsan
자세히 읽어보기. Read it carefully. よく読んでください。
PC에서 6000kbps 비트레이트로 방송 시 버퍼링이 발생하는 경우, 단순히 업로드 속도만의 문제가 아닌,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원인 진단과 해결 방안을 우선순위대로 정리해 드립니다.
비트레이트(Bit Rate)란?
**"1초 동안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말합니다.
영상이나 음성을 얼마나 많은 정보로 표현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품질의 핵심 요소입니다.
---
🎥 예를 들어 볼게요:
6000kbps란?
1초에 6000킬로비트(kilobits), 즉 약 750킬로바이트(KB) 정도의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뜻입니다.
이 숫자가 클수록 영상이 선명하고 부드러우며, 작을수록 저화질입니다.
그래서 버퍼가 일어난 것 입니다. 그래서 낮출 것입니다. 다음 방송에는 조절해서 하겠습니다.
PCで6000kbpsビットレートで放送時にバッファリングが発生する場合、単にアップロード速度だけの問題ではなく、様々な原因が複合的に作用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 以下に原因診断と解決策を優先順位通りにまとめています。
ビットレート(Bit Rate)とは?
**「1秒間に送信されるデータの量」**を言います。
映像や音声をどれだけ多くの情報で表現するかを決定する品質の重要な要素です。
---
🎥例をあげてみます。
6000kbpsとは?
1秒間に6000キロビット(kilobits)、つまり約750キロバイト(KB)程度のデータを転送するという意味です。
この数字が大きいほど、映像が鮮明で柔らかく、小さいほど低画質です。
それでバッファが起きたのです。 それで下げます。 次の放送には調整してやります。
If buffering occurs during broadcast at a 6000kbps bit rate on a PC, it is not just a matter of upload speed, but various causes may work in combination. Below is a summary of the cause diagnosis and solutions according to priority.
What is Bit Rate?
It refers to the "amount of data sent per second" **.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quality that determines how much information is used to express video and audio.
---
I will give you an example of the 🎥.
What is 6000kbps?
It means that it transfers about 6000 kilobits (kilobits), or about 750 kilobytes (KB) of data per second.
The larger this number, the clearer and softer the image, and the smaller the image quality.
That's why the buffer occurred. So I'll lower it. I'll adjust it for the next broadcast.
임시 해결 팁
> 방송이 급할 경우, 아래와 같이 낮춰도 실사용 문제 없습니다:
비트레이트: 4500kbps
해상도: 1920x1080
프레임레이트: 30fps
오디오: 128kbps
一時的な解決のヒント
>放送が緊急であれば、以下のように下げても実際の使用に問題はありません。
ビトレート:4500kbps
決議:1920x1080
フラメレート:30fps
音声:128kbps
Temporary resolution tips
> If the broadcast is urgent, there is no problem with actual use even if it is lowered as below:
Bitrate: 4500 kbps
Resolution: 1920x1080
Framelate: 30 fps
Audio: 128 kbps
이걸로 안되면 비트레이트를 더 낮추겠습니다.
これでダメならビットレートをもっと下げます。
If this doesn't work, I'll lower the bitrate further.
그걸로 안되면 화질도 낮추겠습니다.
I will also lower the quality.
品質も下げます。
1080 -> 720
네, 확인했습니다. 영상 속 댓글에서 6000kbps 설정 시 문제점도 명확히 언급하셨습니다. 구체적으로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 게시글에서 언급한 6000kbps 관련 문제 요약:
“PC에서 3500kbps 이상 프리즘은 비트레이트를 넘기면 버퍼링 또는 품질 손실 발생”
→ 6000kbps 설정해도 실제 출력이 제대로 안 되는 경우 있음
→ 프리즘 라이브에서 비트레이트가 설정대로 동작하지 않는 버그/제한 현상 지적
“It doesn't work. lift over the bitrate further.”
→ 설정만 6000kbps로 해도 내부 전송률이 부족해서 실제 품질 개선이 안 되는 문제 발생
→ 단순 수치 설정이 아니라 장비 상태와 트래픽 상황을 같이 고려해야 함
코덱, 프레임레이트, 오디오 비트레이트까지 종합적으로 설정하지 않으면
6000kbps 설정이 오히려 낭비되거나 오류로 작동할 수 있음
---
🧠 핵심 메시지:
단순히 수치를 높인다고 품질이 보장되지 않는다.
프리즘, OBS 같은 프로그램의 내부 인코딩 처리 능력과 실제 회선 상황이 중요하다.
6000kbps 설정도 장비, 네트워크, 인코딩 프리셋이 받쳐줘야 의미가 있다.
---
필요하다면 이 내용을 기반으로, 다른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정리도 가능합니다:
---
🔧 비트레이트 6000kbps 이상 설정 시 주의사항 (프리즘 기준)
✔️ 권장 설정값
영상: 1080p / 30fps
비디오: 3000~4500kbps
오디오: 256kbps
총합: 3500~5000kbps 이내
⚠️ 문제점
6000kbps로 설정해도 프리즘 내부 처리 한계 또는 네트워크 불안정 시 화질 향상 없음
버퍼링, 깨짐 현상 발생 가능
실제 출력이 설정값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음
🛠 해결 팁
CBR(고정 비트레이트) + 키프레임 간격 2초 + CPU preset "faster" 이상 사용
업로드 속도 최소 10Mbps 이상 확보
필요 시 OBS로 전환 검토
---
📌投稿で述べた6000kbpsに関する問題の要約:
「PCで3500kbps以上のプリズムはビットレートを超えるとバッファリングまたは品質損失が発生する」
→6000kbps設定しても実際の出力が正しくできない場合あり
→プリズムライブでビットレートが設定通りに動作しないバグ/制限現象の指摘
“It doesn't work. lift over the bitrate further.”
→設定だけ6000kbpsにしても内部転送率が足りなくて、実際の品質改善ができない問題発生。
→単純な数値設定ではなく、機器の状態とトラフィック状況を一緒に考慮する必要がある。
コーデック、フレームレート、オーディオビットレートまで総合的に設定しないと
6000kbpsの設定がむしろ無駄になったり、エラーで動作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
---
🧠コアメッセージ:
単に数値を上げると品質が保証されない。
プリズム、OBSなどのプログラムの内部エンコード処理能力と実際の回線状況が重要だ。
6000kbpsの設定も装備、ネットワーク、エンコードプリセットが支えてこそ意味がある。
---
必要であれば、この内容に基づいて、他のユーザーが理解しやすく、次のような形で整理することもできます。
---
🔧ビットレート6000kbps以上の設定時の注意事項(プリズム基準)
✔️推奨設定値
映像:1080p/30fps
ビデオ: 3000~4500kbps
オーディオ: 256kbps
合計:3500~5000kbps以内
⚠️問題点
6000kbpsに設定してもプリズム内部処理限界またはネットワーク不安定時の画質向上なし
バッファリング、割れ現象発生可能
実際の出力が設定値に達しない可能性がある
🛠解決のヒント
CBR(固定ビットレート)+キーフレーム間隔2秒+CPU preset "faster" 異常使用
アップロード速度を最低10Mbps以上確保
必要に応じてOBSへの移行を検討
---
Summary of the 6000kbps issue mentioned in the 📌 post:
"Prisms over 3500 kbps on a PC will cause buffering or quality loss if the bit rate exceeds."
→ Even if you set 6000 kbps, the actual output may not be correct.
→ Pointing out bugs/restrictions that the bit rate does not work as set in Prism Live.
“It doesn't work. lift over the bitrate further.”
→ Even if only the settings are set at 6000kbps, the internal transfer rate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tual quality cannot be improved.
→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dition of the device and the traffic situation together, not simply setting numerical values.
We need to set the codec, frame rate, and audio bit rate comprehensively.
The settings for 6000 kbps may be rather wasted or run with errors.
---
The 🧠 core message:
Simply raising the numbers does not guarantee quality.
The internal encoding processing capabilities of programs such as Prism and OBS and the actual line situation are important.
The setting of 6000 kbps is also meaningful only when it is supported by equipment, networks, and encoding presets.
---
If necessary, based on this content, it is easy for other users to understand and can be organized in the following way.
---
Precautions when setting the bit rate above 6000 kbps (based on prism)
✔️ recommended setting values
Video: 1080p/30fps
Video: 3000-4500 kbps
Audio: 256kbps
Total: Within 3500 to 5000 kbps
Problems with the ⚠️
Even if it is set to 6000kbps, there is no improvement in image quality during internal processing limits or network instability.
Buffering and cracking phenomena can occur.
The actual output may not reach the set value.
Tips for solving 🛠
CBR (Fixed Bit Rate) + Keyframe spacing 2 seconds + CPU preset "faster" abnormal use
Ensure an upload speed of at least 10Mbps.
Consider transitioning to OBS if necessary.
---
1 month ago (edited) | [YT]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