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적으로 17 프로 (프로 맥스 말고, 그것보다 화면 작은 일반 프로)의 경우 실제 게임에서 대체로 17 노말과 비슷한 성능 수준에 전력 소모와 온도만 더 낮게 나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17 프로 맥스를 구입해서 저 부분은 확인이 어렵긴 한데, 음... 뭐랄까 되게 상황이 혼란스럽네요. 전반적으로 SW 정책이 왜 이러지;;
5 days ago | 21
이번 세대는 대놓고 성능보다 유지력을 타겟으로 높이고 홍보하는거 같네요 아마 내부사정으로 8 엘리트보다 더 나은 전성비와 성능의 칩 개발이 늦어져서 17 모델들은 유지력으로 승부보고 내년이나 내후년부터 성능 올린 칩셋이 나오지않을까 합니다 기업들이 경쟁해서 소비자는 좋네요 애플 가격정책땜에 맘에 안들었는데 애플 인텔리전스도 늦어지고 칩셋 성능도 따이고 해서 발등에 불 떨어지니 적극적으로 변한거 같아 참 좋습니다 ㅎㅎ
5 days ago
| 33
베챔과 유니바디 달고 전작에 비해서 40%나 향상 했다길래 아 그러면 화끈하게 전력 고점 풀어줄려나? 싶었습니다. 까보니까 15/16 프로 시리즈랑 별 차이가 없고 17이랑 17프로랑 성능이 비벼지는 게 세팅이 이게 맞나...? 하는 의문이 들긴 합니다. 온도도 보니까 44도 에서 놀던데 46도 까진 풀어줘도 되지 않나 싶고요 게다가 전력때문에 pro가 PM 보다 덜 뜨거움..
5 days ago
| 6
젠존제 성능 기대가 됩니다 흐흐 해외 영상 겜플레이 영상보면 대부분 고사양 십덕겜 60은 엄청 유지자하더라구요 분석 영상얼렁 보고싶네여 ㅍㅇㅌ!
5 days ago (edited) | 0
전작보다 나은 전성비와 베챔을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방향성이 유지력 향상에 더 가까워서 프로모델과 일반모델 갭이 크지 않나 보네요. 프로는 좀 더 갈궈도 될 것 같은데 지켜봐야겠군요
5 days ago
| 0
보기엔 이번 17프맥의 칩의 스위트 스팟이 저점이라 성능을 올리면 발열이 심해져 이걸 커버 하기위해 베이퍼 챔버를 넣은게 아닐까 하는 합리적 의심이 드네요 베터리도 많이 넣은거도 이 때문이구요 다만 대신 저전력 퍼포먼스는 좋게 나와서 베터리 타임은 오래 가지만 고성능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와버린게 아닐까 합니다. 뭐 이미 파운드리 공정 우위는 거의 상쇄 되었고 아키텍처 우위도 따라잡혔으니까요
5 days ago
| 3
네모난꿈
아이폰 17 프로 시리즈 리뷰 관련 공지입니다.
미리 리뷰 관련해서 공지를 드리는 이유는 이번 리뷰가
장기전으로 갈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입니다.
16 프로 시절까지 아이폰은 기기가 나오면
SW 안정화가 다 되어 있어서
게임을 딱 돌렸을 때 바로 프레임과 발열 측면에서
확연하게 다른 기기들을 압도하는 모습을 보였고
그것만 봐도 충분히 성능이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올해는 상황이 좀 달라 보입니다.
Geekerwan 등 해외에서 올라온 자료를 우선적으로 체크해 보았는데,
지금 아이폰 성능 정책이 챔버를 넣고 성능을 올린다가 아니라
챔버를 넣고 발열을 잡는다... 를 제일 중요하게 가져가는 것 같고
게임 해상도의 경우 "중국섭" 클라이언트 기준으로
(저희가 플레이하는건 중국 내수용 앱과 클라이언트 자체가 분리되어 있어서
경우에 따라 값이 다를 수 있습니다.)
스타레일
안드로이드 높음 < 아이폰 17 프로 맥스 매우높음 < 안드로이드 매우높음
명조
동일하게 "높음" 일때 전반적으로 안드로이드보다 낮은 듯?
(중국어 자료라서 확실하게 파악은 하지 못했습니다)
일단 글로벌 서버에선 어떨지 다시 체크를 해봐야 할 것 같고요
게임 성능과 전성비도
스타레일은 안드로이드보다 확실히 프레임과 전성비가 나은데
정작 해상도 고점은 안드로이드보다 낮고
(안드로이드 해상도를 아이폰보다 낮게 해둔 상황에서도 아이폰이
스타레일 프레임과 전성비 이기는데, 해상도 고점은 안드로이드가 더 높음
상당히 복잡하죠. 데이터 해석을 잘 해야 합니다)
명조의 경우에는 더 낮은 해상도에서도
전력 효율성과 프레임 모두 안드로이드에 밀리는 등
상황이 상당히 혼란스러워서, 예전에 갤럭시 리뷰 1~2달씩 붙잡았던 것처럼
17 프로 맥스는 몇달씩 붙잡고 버전별 성능 체크하면서
장기전으로 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애플계열 디바이스 전성비 체크의 경우에는 제가 가진 장비로 불가능해서
프레임과 발열, 그래픽 디테일 위주로 체크해 보겠습니다.
(안드로이드는 암페어, 볼트 값이 ADB로 나오는데
iOS는 공식 계측 SW에서 해당 값이 안 나와서
정확하게 측정하려면 별도 계측 HW가 필요함.
PerfDog에서 아이폰 전력소모 값을 W단위로 보여주긴 하는데,
예전에 체크해봤을 때 PerfDog 버전에 따라
값이 이상하게 높거나 낮게 나오는 경우가 있었어서
현재 크로스체크 없이 PerfDog 단독으로는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공식 문서를 보면 PerfDog도 ADB와 iOS 공식 계측 툴에서 원본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기 좋게 가공 후 출력해준다고 적힌 부분들이 많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애플에서 정식으로 계측 기능을 제공해주지 않는 부분을
내부적으로 어떻게 구현했는지가 좀 궁금하기도 하네요.)
5 days ago | [YT] |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