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년전 누군가 현기는 더 나빠 질수가 없다고 했는데 이유는 중국의 매출이 없기 때문이라고 사드의 댓가는 아팠지만 예방 접종을 했다고 생각하는 편이 좋을 것 같네요
6 months ago | 100
저는 자동차 업계에 자재를 납품하고 있는 외국계 기업 종사자입니다. 사실 오토기어 대표님이 통찰력이 있다고 전부터 봐온 사람으로 2년전부터 유럽 자동차 브랜드의 급감소가 보였고 아시아 기업인 특히 현대, 기아, 저렴한 가격으로 시장 공략중인 중국브랜드가 아주 가파르게 매출 및 발주 오더 증가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내부적으로 이런 현상이 2028까지 보여질 것이라고 예측하는데 대한민국인으로써 국내 기업이 더 성장하길 바라고 실제로 그런 모습에 너무 벅차오릅니다. 문제는 중국의 공격적인 낮은 단가로 인한 시장 점유율과 품질도 상승하고 있어 늘 모니터링 하면서 격차를 줄이지 않도록 노력해야될 것 같습니다. :)
6 months ago | 151
폭스바겐이.... 이렇게 침몰을 시작하네요.. 영업 이익률 2%대는 가히 재앙 수준이라는 건데... 다시 살아날 수 있을지 누구도 장담을 못할 상황이네요.. 폭스바겐 CEO가 지붕이 불탄다고 말한 이유가 과장이 아니었네요...
6 months ago | 80
영익율이 떨어지면 개발비와 설비투자까지 줄여야되고 신제품의 출시가 늦어지며 다시 판매량을 줄이게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지는 구조가 되어버리는게 가장 무서운 점이죠.
6 months ago | 55
현기는 중국과 러시아 시장에서 발빼고 3위한거 어디 후진국에서 많이파는게아니라 북미와 유럽등 선진국 판매량이 엄청 늘어났음 폭바는 중국판매가 절반인데 중국에서 몰락하니깐 맛탱이가는거고 본진인 유럽에서도 힘빠지고 있음 그리고 도요타가 1위하는건 본진과 북미파이도 높지만 아프리카 동남아등 후진국 시장꽉 잡고있는게 가장커서 1위자리뺐긴 힘듬 현기가 2위먹을 가능성은 상당히 높음 그리고 전기차 늦어도 된다라고 하는이유가 인프라 깔릴려면 한세월 걸릴게 뻔한 후진국 매출비중이 높기 때문에 배짱부히는거고 애초에 도요타는 유럽쪽은 판매 비중이 높지가 않아서 유럽새리들 환경 규제 빡세게 준비 안함 하이브리드로 뻐팅길때까지 뻐팅기다 목에차오르면 전기차 전환할꺼임 ㅋㅋㅋㅋ
6 months ago | 7
현재 현대기아와 폭스바겐의 결정적인 차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중국 러시아 시장 빼고도 제대로 된 기본기로 돈을 점점 더 벌고 있는 글로벌화가 성공적으로 진행된 회사와 중국 빠지면 JOT되는 중국 원툴 회사의 차이점을요
6 months ago | 21
독일은 중국 시장에서 영속적 이익을 취할 수 있다 오판한 것과, 기후위기에 실질적 실효적 대응이 아닌, 기후위기를 빌미로 동아시아 생산비용 인상을 강제하고, 그로인해 독일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의명분으로 활용했던 댓가를 치루고 있군요. 거, 깨소금 맛이군요. 이제 중국만 남았군요. 치킨게임의 결과가 어떻게 전개될지 기대하며 지켜보고 있습니다.
6 months ago | 20
오토기어 autogear - 자동차에 대한 모든 정보
폭스바겐의 위기론이 현실화 되고 있습니다.
올 해 3분기 순이익은 15억 7,600만유로(2조 3,5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63.7%나 감소했다고 합니다.
3분기까지 판매량은 646만 3,000대로 1년 새 4.4% 감소했는데 북미에서 4%, 남미는 16% 늘었으나 중국에서 12%나 판매량이 줄어든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9개월 간 영업이익률이 2% 대에 그친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큰 상황입니다.
폭스바겐은 최근 비상 경영을 선언하며 독일 공장 10곳 중 최소 3곳을 폐쇄하고 전체 직원 임금을 10% 삭감하는 방안을 노조에 제시했으며 1994년부터 맺어온 고용 안정 협약을 해지, 정리 해고 가능성도 열어둔 상황입니다.
6 months ago | [YT] | 8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