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다윈 - 인간의 유래와 성선택 조 디스펜자 – 당신도 초자연적이 될 수 있다 대니얼 조슈아 루빈 – 스토리텔링 바이블 디펙 초프라 – 메타 휴먼 이소연 – SF로 만나는 낯선 세계 이슬아 – 가녀장의 시대 안톤 차일링거 – 아인슈타인의 베일 크리스 나이바우어 – 하마터면 깨달을 뻔 E. 풀러 토리 – 뇌의 진화 신의 출현 린 맥태거트 – 필드 김초엽 – 방금 떠나온 세계(마리의 춤) 짐 베것 – 퀀텀스토리 브라이언 헤어 –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한나 렌 – 매끄러운 세계와 그 적들 정인경 – 과학을 읽다 카를로 로벨리 – 모든 순간의 물리학 김초엽 –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데이비드 보더니스 – E=mc² 쥬드 커리반 – 코스믹 홀로그램 김초엽 – 지구 끝의 온실 카를로 로벨리 – 보이는 세상은 실재가 아니다 로돌프 R 이나스 – 꿈꾸는 기계의 진화‘ 로버트 란자 – 바이오센트리즘 마이크 브라운 – 나는 어쩌다 명왕성을 죽였나 에른스트 페터 피셔 – 막스 플랑크 평전 토마스 쿤 – 과학혁명의 구조 에두아르도 카베손 – 에미 뇌터 그녀의 좌표 낸시 포브스 외 – 패러데이와 맥스웰 카트리네 마르살 – 지구를 구할 여자들 폴 센 – 아인슈타인의 냉장고 데이비드 이글먼 – 더 브레인 데이비드 린들리 – 볼츠만의 원자 켄 리우 – 신들은 죽임당하지 않을 것이다 장하석 – 물은 H₂O인가? 브루스 로젠블룸 외 – 양자 불가사의 그레이엄 파멜로 – 폴 디랙 마크 험프리스 – 스파이크 짐 알칼릴리 – 어떻게 물리학을 사랑하지 않을 수 있을까 울프 다니엘손 – 세계 그 자체 블라트코 베드럴 – 고양이와 물리학 션 캐럴 – 빅 픽쳐 에른스트 페터 피셔 – 슈뢰딩거의 고양이 존 그라빈 –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찾아서 샤를 앙투안 – 가볍게 꺼내 읽는 슈뢰딩거 션 캐럴 – 다세계 그렉 이건 – 쿼런틴 빅 맥스필드 – 불교와 양자역학 카를로 로벨리 – 나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 세상
1 year ago | 3
리딩아라차님께 2024년에 좋은일과 행운이 가득 하시길 기원합니다. 과학을 주제로 자신과 세상을 이해 하고, 올바른 변화를 만들어 가는 모든분들과 함께 하려는 리딩아라차님을 지지 합니다. 새해 인사도 나눈 자리에 덧붙혀 한말씀 드리고 싶은 맘이 생깁니다. 과학은 수학을 기반으로 합니다. 수학은 공리와 정의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합니다. 수학이 자연에서 발견 되었다라는 주장과 인간의 발명이라 주장이 있지만 , 어째거나 제 결론적 견해는 인간이 중심 입니다. 자연을 기술한것이든 이해한것이든 인간이 중심에 있는 학문이 과학이고 수학이라 봅니다. 인간은 자연에서 났지만 그자연에서만 살다 가는것은 아니라 봅니다.도리어 자연에서 존재. 하지도 않는 존재라고까지 생각 됩니다 .예전에는종교적 세계관이나 고대인의 세계관속에서 살았다면 지금은 과학적 세계관으로 많은 이들이 살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예전 사람들이 외부 즉 자연과 자연이 보여주는 세상 속에서 살았다다면 지금은 각자의 삶과 개별의 사람들이 모인 사회라는 외부의 영향력이결국은 자신의 정체성으로 확인 되는 시점에 예전처럼 종교적 경전이나 답습된 관습이 가치 그 가치의 기준이 되지 않습니다 즉 우리가 합의 하고 결정 하면. 그것이 가치와 의미가 되는 세상이라 믿고 있습니다. 사회의 합의는 법이고 선거라 생각 합니다. 그래서 궁국의 제 삶의 가치와 의미가 정치로 귀결 되네요. 보리떡 다섯개와 물고기 두마리로 오천명을 먹였다는 엉터리 믿음을 뛰어 넘는데 30년이 걸렸네요 .수많은 생각과 양서들을 통해 마지막에 도달한 결론은 사회를 이루고 살아 가는 사람으로 정치라는게 궁국의 의미며 가치라 결정하고 정치쪽에 관심과 역활에 치중 하고 있습니다.선거를 앞두고 중요한 시점이지만 ..그래도 나름 열심을 가지고 보는 채널 입니다 .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더 발전 되길 바랍니다.
1 year ago (edited) | 1
리딩아라차
안녕하세요 아라차입니다.
올해 2월에 업로드 시작하고 처음으로 커뮤에 글 남기네요.
구독자님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천 명이 넘을 거라고는 생각지도 못했는데,
부족한 채널 구독해주시고 좋아요도 눌러주셔서 넘넘 감사합니다^^*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올해 다룬 책 리스트 올려봅니다.
올해 읽는 책이 대다수이지만 예전에 읽은 책도 몇 개 포함되어 있어요.
우리실험자들 <과학읽기> 세미나에서 촘촘히 읽었던 책들도 있고,
저 혼자 꾸역꾸역 읽는 책들도 있네요^^
이 채널에서는 주로 양자역학, 진화론, 뇌과학, SF 책들을 많이 다루고 있는데요.
주변에서 어렵다는 분들도 있고, 왜 하나마나한 소리를 하냐는 이야기도 있고 ㅎㅎ
여러 의견들 잘 청취하고 있습니다.
철학책만 주로 읽다가 양자역학을 파보아야겠다(?)는 일념으로 시작한 세미나가
여기까지 도달했습니다.
앞으로도 양자역학-뇌과학-진화론이라는 사이클로 과학읽기를 계속하려고 합니다.
나와 세상을 잘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인 것 같아서요.
방식은 여러가지로 고민하면서 변형을 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3 아라차의 과학책방 도서목록
1 year ago | [Y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