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이 더 창의적인 바둑을 두는 것 같지? 알파고 마스터 버전을 보면서 알았죠, 왜 그랬는지를. 알파고 마스터가 극 초반에 이제 3-3을 판다고 해요. 그 수를 두는데, 우리가 그 수는 안 좋다고 어릴 때부터 배우는 수예요. 근데 전혀 못 둘 수는 아니죠. 당연히 어릴 때 그렇게 배워놓으니까요. 틀을 만든 거죠, 쉽게 말해서. 근데 인공지능이 그런 틀이 있습니까? 제가 못 뒀잖아요. 결국은 그래서 궁금해서 찾아봤어요. 나는 못 뒀지만 다른 기사들은 있겠지. 없습니다. 아무도 못 뒀어요.
이게 생각을 하면 그렇게 어려운 수가 아닌 거예요. 어릴 때 ‘이건 안 되는 수야’ 하니까 커서도 못 두는 거죠. 그러니까 프로가 되고 성적을 냈지만도 그 수를 못 두는 겁니다. 어떻게 보면 우리 인간의 고정관념이라는 걸 명확하게 보여주는 하나의 사건이에요. 고정관념이 없어서 이게 더 창의적으로 보이는 거예요. 자연스럽고. 그러니까 우리에게 영감을 줄 수 있다는 겁니다. 그래서 우리는 AI와 협업을 해야 된다.
(유트브 채널 /요약문) 인공지능이 창의적으로 느껴지는 이유는 고정관념의 부재 때문입니다. 알파고 마스터가 둔 3-3 침투는 인간이 어릴 때부터 ‘안 좋은 수’라고 배워온 방식이었지만, AI는 이러한 틀에 얽매이지 않았습니다. 프로 기사조차 두지 못했던 수를 AI는 자유롭게 구사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인간의 고정관념이 창의성을 제한하는 반면, AI는 데이터 기반으로 최적의 수를 찾아내기에 더욱 창의적인 플레이가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AI의 창의성은 우리에게 새로운 영감을 줄 수 있습니다.
공유禪
2025. 8. 16 .(토)
스님께서 올려주신 유튜브 채널영상
(인공지능이 창의적으로 느껴지는 이유)
인공지능이 더 창의적인 바둑을 두는 것 같지?
알파고 마스터 버전을 보면서 알았죠,
왜 그랬는지를.
알파고 마스터가 극 초반에
이제 3-3을 판다고 해요. 그 수를 두는데, 우리가 그 수는 안 좋다고 어릴 때부터 배우는 수예요.
근데 전혀 못 둘 수는 아니죠.
당연히 어릴 때 그렇게 배워놓으니까요. 틀을 만든 거죠, 쉽게 말해서.
근데 인공지능이 그런 틀이 있습니까?
제가 못 뒀잖아요.
결국은 그래서 궁금해서 찾아봤어요.
나는 못 뒀지만 다른 기사들은 있겠지. 없습니다.
아무도 못 뒀어요.
이게 생각을 하면 그렇게 어려운 수가 아닌 거예요. 어릴 때 ‘이건 안 되는 수야’ 하니까 커서도 못 두는 거죠.
그러니까 프로가 되고 성적을 냈지만도
그 수를 못 두는 겁니다.
어떻게 보면 우리 인간의 고정관념이라는 걸 명확하게 보여주는 하나의 사건이에요. 고정관념이 없어서 이게 더 창의적으로 보이는 거예요. 자연스럽고. 그러니까 우리에게 영감을 줄 수 있다는 겁니다. 그래서 우리는 AI와 협업을 해야 된다.
(유트브 채널 /요약문)
인공지능이 창의적으로 느껴지는 이유는 고정관념의 부재 때문입니다.
알파고 마스터가 둔 3-3 침투는 인간이
어릴 때부터 ‘안 좋은 수’라고 배워온 방식이었지만,
AI는 이러한 틀에 얽매이지 않았습니다. 프로 기사조차 두지 못했던 수를 AI는 자유롭게 구사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인간의 고정관념이 창의성을 제한하는 반면, AI는 데이터 기반으로 최적의 수를 찾아내기에 더욱 창의적인 플레이가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AI의 창의성은 우리에게 새로운 영감을 줄 수 있습니다.
1 month ago (edited) | [Y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