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강석 목사, ‘너라는 계절이 내게 왔다’ 출간
오는 4일 세빛섬에서 ‘북 콘서트’ 개최…정호승 시인, 김종회 교수 특별토크쇼 진행
소강석 목사 “이 시집을 읽고 사랑과 희망의 마음을 찾게 된다면 행복할 듯”
윤동주 문학상과 천상병문학대상 수상한 중견시인 소강석 목사가 13번째 시집 ‘너라는 계절이 내게 왔다(샘터)’를 출간했다.
이번 시집은 시인 소강석 목사의 감성적 시성(詩性)이 응축된 작품으로 총 4부로 90편의 시가 담겼다.
1부 봄에서 여름으로, 2부 가을 지나 겨울, 3부 소나기 끝에 무지개, 4부 등대와 별 그리고, 부록에는 독자를 위해 문학평론가 김종회 교수의 ‘춘풍추우(春風秋雨)의 시적 형상’이라는 해설을 수록했다.
또한 시집에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서정적인 풍경을 수채화처럼 담아 책장을 넘길 때마다 봄꽃이 피고 여름 소나기가 내리고 가을 낙엽이 지고 겨울 눈송이들이 날린다.
소강석 목사는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없는 어렵고 난해한 시보다는 누구나 공감하고 마음이 따뜻해지는 감성 시들을 써 보고 싶었다”며 “그래서 이번 시집에 사람과 자연, 하나님을 향한 사랑의 마음을 담아 순수한 고백의 언어로 기록했다”고 했다.
독자들의 마음에 봄날의 꽃이 되고 여름날의 소나기가 되고 가을날의 낙엽이 되고 겨울의 눈송이가 되어 시집을 읽는 모든 이마다 사랑의 계절이 찾아오기를 소망하면서 말이다.
정호승 시인은 “소강석 목사님의 시에는 예수님의 온화한 목소리가 들린다. 우리가 인생의 길을 걸어가다가 절망과 고통의 돌부리에 걸려 넘어졌을 때, ‘어서 일어나거라!’ 하고 어디선가 들리던 예수님의 그 다정한 목소리가 들린다. 마음이 가난한 이들은 사람의 아들 예수님의 사랑과 고뇌가 깃든 이 시집을 읽어라. 우리를 안아주고 일으켜주는 예수님의 위로의 목소리가 들릴 것이다”라고 하였다.
문학평론가 김종회 교수(前 경희대 교수)는 ‘춘풍추우(春風秋雨)의 시적 형상’이라는 제목의 시 해설에서 “소강석은 감성의 시인이다. 그는 자연의 경물(景物)과 인간사의 비의(秘義)를 사뭇 감각적인 어투로 노래한다. 어려운 어휘나 한자 말을 즐겨 쓰지 않는다. 평이하고 순후한 언어들의 조합으로 진중하고 깊이 있는 의미의 매설을 시도하는 것이 그의 시다. 그러기에 그 눈에 비친 삼라만상(森羅萬象)은 모두 시의 소재가 된다. 우리가 읽은 소강석의 시는, 우리에게 불현듯 은혜처럼 다가온 귀중한 선물이다. 우리는 어느결에 시를 읽고 마음을 읽고, 더불어 선한 영향력을 나누는 독자들의 연합으로 이렇게 지면에서 만난다”라고 하였다.
소강석 시인은 “단 한 사람이라도 더 이 시집을 읽고 슬픔과 절망, 상처를 딛고 사랑과 희망의 마음을 다시 찾을 수 있다면 너무 행복할 듯하다”라며 “아무리 세상이 힘들고 추운 바람이 분다 할지라도 우리가 서로를 아껴주고 사랑으로 감싸준다면 우리의 계절은 언제나 찬란한 빛으로 가득한 사랑의 계절이 될 것이다”라고 했다.
한편, 오는 14일 2시 서울 세빛섬에서 북 콘서트를 가지며 정호승 시인, 김종회 교수가 특별토크쇼를 진행할 예정이다.
Chayah Broadcasting
소강석 목사, ‘너라는 계절이 내게 왔다’ 출간
오는 4일 세빛섬에서 ‘북 콘서트’ 개최…정호승 시인, 김종회 교수 특별토크쇼 진행
소강석 목사 “이 시집을 읽고 사랑과 희망의 마음을 찾게 된다면 행복할 듯”
윤동주 문학상과 천상병문학대상 수상한 중견시인 소강석 목사가 13번째 시집 ‘너라는 계절이 내게 왔다(샘터)’를 출간했다.
이번 시집은 시인 소강석 목사의 감성적 시성(詩性)이 응축된 작품으로 총 4부로 90편의 시가 담겼다.
1부 봄에서 여름으로, 2부 가을 지나 겨울, 3부 소나기 끝에 무지개, 4부 등대와 별 그리고, 부록에는 독자를 위해 문학평론가 김종회 교수의 ‘춘풍추우(春風秋雨)의 시적 형상’이라는 해설을 수록했다.
또한 시집에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서정적인 풍경을 수채화처럼 담아 책장을 넘길 때마다 봄꽃이 피고 여름 소나기가 내리고 가을 낙엽이 지고 겨울 눈송이들이 날린다.
소강석 목사는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없는 어렵고 난해한 시보다는 누구나 공감하고 마음이 따뜻해지는 감성 시들을 써 보고 싶었다”며 “그래서 이번 시집에 사람과 자연, 하나님을 향한 사랑의 마음을 담아 순수한 고백의 언어로 기록했다”고 했다.
독자들의 마음에 봄날의 꽃이 되고 여름날의 소나기가 되고 가을날의 낙엽이 되고 겨울의 눈송이가 되어 시집을 읽는 모든 이마다 사랑의 계절이 찾아오기를 소망하면서 말이다.
정호승 시인은 “소강석 목사님의 시에는 예수님의 온화한 목소리가 들린다. 우리가 인생의 길을 걸어가다가 절망과 고통의 돌부리에 걸려 넘어졌을 때, ‘어서 일어나거라!’ 하고 어디선가 들리던 예수님의 그 다정한 목소리가 들린다. 마음이 가난한 이들은 사람의 아들 예수님의 사랑과 고뇌가 깃든 이 시집을 읽어라. 우리를 안아주고 일으켜주는 예수님의 위로의 목소리가 들릴 것이다”라고 하였다.
문학평론가 김종회 교수(前 경희대 교수)는 ‘춘풍추우(春風秋雨)의 시적 형상’이라는 제목의 시 해설에서 “소강석은 감성의 시인이다. 그는 자연의 경물(景物)과 인간사의 비의(秘義)를 사뭇 감각적인 어투로 노래한다. 어려운 어휘나 한자 말을 즐겨 쓰지 않는다. 평이하고 순후한 언어들의 조합으로 진중하고 깊이 있는 의미의 매설을 시도하는 것이 그의 시다. 그러기에 그 눈에 비친 삼라만상(森羅萬象)은 모두 시의 소재가 된다. 우리가 읽은 소강석의 시는, 우리에게 불현듯 은혜처럼 다가온 귀중한 선물이다. 우리는 어느결에 시를 읽고 마음을 읽고, 더불어 선한 영향력을 나누는 독자들의 연합으로 이렇게 지면에서 만난다”라고 하였다.
소강석 시인은 “단 한 사람이라도 더 이 시집을 읽고 슬픔과 절망, 상처를 딛고 사랑과 희망의 마음을 다시 찾을 수 있다면 너무 행복할 듯하다”라며 “아무리 세상이 힘들고 추운 바람이 분다 할지라도 우리가 서로를 아껴주고 사랑으로 감싸준다면 우리의 계절은 언제나 찬란한 빛으로 가득한 사랑의 계절이 될 것이다”라고 했다.
한편, 오는 14일 2시 서울 세빛섬에서 북 콘서트를 가지며 정호승 시인, 김종회 교수가 특별토크쇼를 진행할 예정이다.
1 year ago | [Y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