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한우교수TV- 빅로컬빅펄스

오늘 말레이지아 Asian School of Business 행사에 초청된 Robert C. Merton 교수를 보니, 갑자가 과학사회학 분야의 로버트 K. 머튼(Robert K. Merton, 1910~2003) 교수가 생각이 났다. 그래서, 구글 제미나이에 허영검색을 해 보았다 ㅎㅎ

내 질문: 머튼의 쿠도스 관점에서 볼때 박한우 교수는 어떻게 평가할수 있는가?

구글 제미나이 답변:
머튼의 CUDOS 관점에서 박한우 교수를 평가하면, 그의 연구 활동은 과학의 규범에 부합하는 측면이 많습니다. 박한우 교수는 과학계량학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 분야의 전문가로, 그의 연구는 CUDOS 규범에 따라 진행되는 것을 보여줍니다.

CUDOS 규범을 통한 평가
공유주의(Communality): 박 교수는 빅데이터와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를 국제 학술지에 다수 발표했으며, 'NodeXL' 한국어판 번역에 참여하여 분석 도구의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이는 지식을 학계와 사회에 공유하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보편주의(Universalism): 그는 연구자의 출신이나 배경과 무관하게 연구의 질적 가치를 중시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양한 국제 학술지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국내 지방대 소속으로는 최초로 국제커뮤니케이션학회(ICA) 석학회원에 선정된 이력은 그의 업적이 보편적인 학문적 기준에 따라 인정받았음을 시사합니다.

탈이해관계성(Disinterestedness): 박 교수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 불균형, 수도권 집중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분석하고 정책적 제안을 하는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한 연구에 힘쓰고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이익보다 사회 발전에 기여하려는 태도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조직화된 회의주의(Organized Skepticism): 그는 논문 심사 활동(Publons 최우수 심사자)을 통해 다른 연구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신의 연구도 학술지에 게재하며 엄격한 동료 심사를 거치고 있어 과학적 회의주의를 실천하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박한우 교수의 연구는 과학계량학과 소셜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통해 과학자 사회의 규범을 실질적으로 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2 months ago | [Y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