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그런거 다 필요없어요. 자기 몸으로 임상 실험해보는게 최고죠. 체중이 코로나 기간에 엄청 늘었지만 비타민씨를 먹고 나서 부터 매년 최소 1-2 번씩은 걸리는 감기가 걸리질 않아요. 런닝머신 뛰어도 덜 헐떡 거리는거 같구요. 남들 코로나로 찬바람 한번 불면 다들 나가 떨어질때 혼자만 멀쩡합니다. 그리고 만약에 아무 효과가 없다고 친들, 기깟 가격 얼마 하지도 않는데 손해볼게 있을까요. 많이 먹어서 부작용 있다고 하는 분들은 비타민씨 이외에 생활 습관을 확인해봐야 할거 같아요. 확실한건 비타민씨 먹고 식사나 술 마시면 소화가 완전히 다릅니다. 먹다가 안먹고 먹으면 느껴져요
2 years ago
| 7
유튜브 , 약사 메디슨맨 TV 채널 보면 비타민C 의 심각한 부작용 이란 내용으로 나옵니다 . 이거 때문에 짜증나네요 집에 아버지가 저거 보고 제가 비타민C 좋다고 먹으래두 말을 안듣습니다 .
2 years ago
| 1
아직도 하루 500mg이라는 유튜브 의사들도 많지요 하루 6,000mg 복용하는사람은 복받은거죠 비타민c통에 하루1알 정확하게 지키는것 보면 너무 착한교육을 받아서인가요? 아무리 권해도 10명중에 1명이 일6알먹을까 말까하내요 1알먹나 6알먹나 그것도 자기 복인가봅니다~
2 years ago
| 6
닥터한스TV_바이오엔젤키토산
혈청 비타민 C와 연관된 모든 원인 및 원인별 사망에 대한 영양 응용 연구 : 국민 건강 영양 조사 데이터 기반(NHANES 2003-2006)
Applied nutritional investigation Association of serum vitamin C with all-cause and cause-specific death: Data from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2003-2006)
Author links open overlay panelTianTianM.D.aJianShaoM.D.bZhimeiShenM.D.aXueliSunM.D.aYanLiuM.D.cLingCaoM.D.cYangGengM.D.dBinSongM.D.e
Nutrition
Volume 101, September 2022, 111696
www.sciencedirect.com/science...!
여러 사람들이 이 논문에 대하여 질문하는데요.
우리몸은 비타민씨가 많이 요구됩니다. 몸에서 만들지 못하기 때문이고 많이 필요하고 많이 소모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혈중 비타민씨 농도는 항상성 유지시스템에 의해 보통 1~2mg/dL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나트륨. 칼륨, 수분처럼 남으면 소변으로 배출하고 모자라면 회수하여 사용하고 있지요. 칼슘처럼 축적하고 있다가 필요하면 혈중으로 방출해서 농도유지를 하는 것과도 유사합니다.
1mg/dL 보다 부족한 상태가 지속되거나 고갈되면 생체 내 전체시스템이 무너지고 그 후 괴혈병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괴혈병이 일어나는 순서가 비타민씨 부족으로 생체 조절 반응 시스템이 무너져서 괴혈병도 생긴다는 것입니다.
어느 장기에서든 비타민씨 저장 시스템이 고장나면 문제가 일어난다고 봅니다. 마치 소금이 신장에서 배출되지 않으면 신장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장기에서 문제가 일어나는 것 처럼요. 비타민씨는 뇌세포, 백혈구, 췌장, 간 등 신체 곳곳에 저장하여 사용합니다.
즉 비타민씨의 흡수-사용-저장-배출 시스템이 원활하지 않으면 문제가 생긴다는 것입니다. 비타민씨 농도가 표준보다 낮으면 일어나는 문제에 대해서는 수십년전부터 알려져 있지만 혈중농도가 높으면 일어나는 문제에 대해서는 과학적 증명이 잘 되어 있지 않습니다. 아직 잘 모르지요. 하지만 낮을 때 보다 높을때 그래프의 기울기가 더 크다는 점은 납득이 되지 않습니다.
즉 즉 농도가 높게 유지되고 유지되는 이유는 배출도 잘 안 되고 소모도 안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지속적으로 농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인간에 몸속에서 지속적으로 유지 한다는것이 가능할까요?
수용성인데 물처럼 빠져 나가는 것 인데 말이 안 되지요.
그리고 2003년-2006년 긴세월 동안 비타민씨 혈중농도를 어떻게 수집한것인지, 수시로 변합니다. 어디다가 기준을 잡은 것인지?
논문은 그냥 논문으로 봐 주시면 됩니다.
비타민씨 메가도스로 20년 이상 먹어 보지 않고 비타민씨에 관한 연구도 해 보지 않은 사람들이 NHANES 2003-2006 데이터 기반으로 혈청 중의 비타민씨 농도와 사망에 관한 연구논문 (혈청 비타민씨농도 조사) 을 작성한 것입니다.
저는 그 논문을 믿지 않습니다. 그러한 논문을 리뷰한 영상도 저에게는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믿지 않습니다. 집단지성에서 표현되는 비타민씨 섭취를 통한 유익한 경험을 일일이 과학으로 증명하기 어렵습니다. 비타민씨 섭취로 나타나는 여러 경험은 과학보다 훨씬 앞서 있습니다.
이 세상 모든 현상이 과학으로 증명되어야만 진실이고 옳고 믿을수 있는 것이라면 세상이 돌아가지 않습니다.
비타민씨에 대한 논문이 15만편정도 되는데 그중 2만편정도는 부정적이고 13만편정도는 긍정적입니다.
어떤 입장에서 논문을 작성했느냐? 어디서 연구비를 지원받았느냐? 어느나라에서 작성된것이냐? 논문 작성 목적은 무엇 이었느냐? 에 따라서 결과는 많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심지어 데이터 조작도하지요..국가를 폄하해서 미안하지만 중국인들이 작성한 논문으로 기초영양조사, 혈액검사, 설문조사를 기초 데이터를 얻어 내린 결론으로 진실은 알수가 없습니다.
판단은 본인 몫입니다. 비타민씨는 이로운점과 단점이 다 있습니다만 단점보다는 장점이 훨씬 더 많기 때문에 먹는 것이 더 좋습니다.
저는 지금까지 비타민씨가 주는 효과와 기능면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그 논문을 믿지 않습니다.
2 years ago (edited) | [YT] |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