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터블밀리터리

안녕하세요. 포터블 밀리터리입니다.
기다리시는 분께 복귀일정을 알려드리려 왔습니다.

복귀일정은 6월 4일입니다. 이때를 기점으로 2주마다 오후 1시(토요일)에 영상이 올라갈 예정입니다.
KAAV-2, K9A2, LAH, 무인기, 수리온, 상륙공격헬기를 컨텐츠로 먼저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기다려주셔서 정말 감사드리고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3 years ago | [YT] | 64



@pobangbu

기대가 됩니다!!

3 years ago | 3  

@ph9304

이야 ㅊㅊ 밀리터리 관련된거 검색해서 보고싶으면 자꾸 국뽕티비들만 나오는데 밀덕들의 한줄기 빛이 되기를 ㅜㅠ

3 years ago | 2  

@공민중-y8t

국내 밀덕 유툽중 최고, GOAT

3 years ago | 0  

@송도야근러

구독 취소 안하고 기다린 보람이 있는 좋은 영상 기대 하겠습니다.

3 years ago | 0  

@jacobji753

와...드디어

3 years ago | 0  

@Choi-z4r

드디어 컴백이다~!!!

3 years ago | 1  

@__john_

오이오이 기다리고 있었다고

3 years ago | 0  

@user-wt3jw7fn7c

2만 가즈아

3 years ago | 0  

@zandy0915

드디어왔다 내 마약

3 years ago | 0  

@kwon2117

자~ 드가자~

3 years ago | 0  

@jinyumin99

포터블님 !! ㅜㅜ 기다렸습니다. 언리얼엔진으로 돌아오는 컴백 너무 기대 됩니다 ~~~~ 혹시 질문 받아주신다면 답변 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당...!! 아니면 영상으로 만들어주셔도 감사하겠습니당!!! (질문) 러시아 신형 APC 장갑차 부메랑은 무슨 중량 기준인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34t 입니다. 워터젯이 달려 있어 수중도하가 가능하다는 소리 같은데 기갑장비는 최대 몇 톤 까지 자력/수중도하가 가능한가요? 50t에 육박하는 독일 "링스" IFV 장갑차는 자력/수중도하가 가능한가요? 50t에 육박하는 독일 "복서" APC 장갑차는 자력/수중도하가 가능한가요? (예시) K-21은 BMP-3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고 있으며 자력/수중도하를 위해 중량/방호력을 포기한 25t 수준입니다.

3 years ago (edited) | 0  

@jinyumin99

혹시 기억나실지 모르겠지만 !! 나중에 이런 주제들도 영상만들어 주셨으면 좋겠다 하는 주제를 적어보고 싶습니다.!! (주제) 0.2 우리나라 해병대에게는 KAAV-2(궤도형) 말고도 미해병대 ACV 같은 (차륜형)장갑차도 꼭 필요한가? 일례로 미해병대는 상륙돌격장갑차 2차사업이 따로 존재하는 것 으로 안다. 0.1 미군의 차세대 헬멧인 "IHPS" 헬멧을 "ACH" 헬멧 대신 워리어플랫폼으로 국군에게 보급한다면? 기능적 면에서 압도적인 차이가 있어서 "포터블님 께서 영상 만들어주신다면" 정말 도움 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0.수리온은 단군이래 가장 복잡한 까다로운 사업이였다. 만약 수리온이 UH-60/NH-90 같은 최대이륙중량 10t급 헬기로 개발되었으면 어땠을까? 예산을 더 투입해 기존 존재하는 쿠거를 줄이는 형태로 가지 않고 독자 모델로 개발 했다면? 1.일본은 왜 10t 내 외의 하이&미들급 헬리콥터를 독자개발 하지 않는가? 2.일본은 어떻게 해서 5세대 전투기를 뛰어 넘어 6세대 전투기로 바로 나아갈 수 있었는가? 3.미해군은 샌안토니오급 강습상륙함 10척 추가 건조를 포기하고 "LAW" 라는 소형 상륙함 30척 이상을 생산할 계획 인 데 남중국해를 대비한 준비 같습니다. 우리나라에 상륙작전에 미칠 영향은? 아울러 초수평선 작전은 아직도 진행중인가? 4.만약 IMF 같은 각종 경제위기가 오지 않았을 경우 지금 쯤 어떤 국방력을 유지하고 있을까? 5.미국 F-35A는 단발엔진/32t / 중국 J-31 쌍발엔진/28t 왜 J-31은 더욱 크게 만들지 않았는가? 6.중국의 F-22급인 J-20은 기체가 길쭉하고 왜 카나드 형상을 달 수 밖에 없었는가? J-31에서 크기만 훨씬 키운 기체로 만들었으면 안 됐을까? 7.차세대 미래의 수상함 추친방식으로 각광 받고 있는 "통합전기추친체계" IEP는 체급에 관계 없이 모든 수상함에 탑재가 가능한가? (예시) CODLAG IEP or CODLOG(하이브리드) 8."통합전기추진체계" 추친 방식을 채택할 경우 승조원이 느끼는 기관실에서의 기존의 함정들 보다 소음이 덜한가? 9.만약 미국이 아프간전쟁/이라크전쟁에서 1,300조 가량 쓰지 않았다면 미국 무기사업에 어떤 일이 일어났었을까? 10.대한민국 해양경찰이 미국 처럼 군 소속으로 편제가 바뀌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장/단점 11.미국 최신형 소형전술차량 "JLTV" 하이브리드 버전이 실전배치가 되었다. 미래의 각종 군용 기갑장비/차량 들의 구동방식으로 하이브리드/전기/수소 등 방향성은? 12.만약 우리나라가 1990년도 말에 미국 "MD" 편입 됐다면 미사일방어구축 시스템을 더 빨리 구축했을까? 13.일본은 왜 자국산 VLS를 만들지 않았는가? 반대로 대한민국이 K-VLS를 만든 이유는? 그에 따른 현재의 결과는? 14.일본 디젤잠수함의 기술력은 어느 정도인가? 소류급 말고도 "오야시오급"만 해도 "킬로급"과 비등한 성능을 내는가? 15.일본은 세계 최초로 리튬배터리를 탑재한 "타이게이급" 실전배치 했다. 원자로를 제외한 미래 잠수함 배터리는? 16.KSS-VI 잠수함 사업에서는 K-SS III 보다 더욱 큰 배수량이 아닌 더욱 작은 2,000t급 가량 잠수함이 거론되고 있다. 서해에서는 4,000t 이상의 잠수함은 작전하기 까다로운가? (예시) 잠수함은 작고 조용할수록 더 치명적이다. 17.대한민국이 계획 중인 원잠은 SMART 원자로를 이용한 일명 "하이브리드" 잠수함으로 국제사회의 제도/시선을 우회해 개발 하려고 한다. 언젠가는 원잠급 이상의 성능을 가진 잠수함이 반드시 필요한데 과연 국제사회가 어떻게 반응을 할 것인가? 아울러 일본도 우리를 따라한다면? 18.미국이 개발한 UH-60 헬기들의 파생형을 총 정리해본다면? 19.우리 국군 보병 장구류 를 미군과 똑같이 하려면 1인당 얼마를 투자 해야 해야할까?

3 years ago (edited) | 0  

@JUSTVIDEO1464

WA!

3 years ago | 0  

@hyuntaekang7127

복귀를 환영합니다. 기대하고 기다리겠습니다.

3 years ago | 0  

@user-wt3jw7fn7c

짝짝짝

3 years ago | 0  

@꼬부기-t2c

드디어

3 years ago | 0  

@홍성준-m6j4t

마침내!

3 years ago | 0  

@jinyumin99

포터블님!!! 혹시 오픈 채팅방 만드실 계획은 없으신가용???

3 years ago | 0  

@user-Paolo_Maldini

왜 이제서야,,,,,

3 years ago | 0  

@이민성-z9v

?!?!?!

3 years ago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