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마스터 곽수종

[ '곽수종 박사의 경제대예측 2024-2028' 출간 기념 이벤트 ]

안녕하십니까 구독자 여러분, 경제담판 채널 담당 강PD입니다.
이번에 곽수종 박사님의 신간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경제담판 구독자 여러분들만을 대상으로 작은 이벤트를 하나 열어보고자 합니다.

'곽수종 박사에게 듣고 싶은 경제 이야기'를 댓글로 작성해주시면,
5명을 선정해 곽수종 박사의 신간을 보내드립니다.

선정되신 분은 댓글의 답글로 안내해 드립니다.
남겨주신 댓글은 향후 콘텐츠 제작에 참고하겠습니다 ^^
- 참여 기간 : 11/3(금) ~ 11/12(일)

■ 도서 구매하실 분들을 위해 구매 링크도 남깁니다.
예스24) www.yes24.com/Product/Goods/122896035
교보문고)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0402337
알라딘) aladin.kr/p/64Yf4

1 year ago | [YT] | 43



@Listen-uv1hm

박사님 신간 출간을 추카 드려요 ~^^ 박사님 은 훌륭하신 인품이 저절로 느껴져요 그래서 말씀에 더더욱 신뢰가 갑니다 ~^^

1 year ago | 1  

@GoldenTree-bp1pn

먼저 신간 축하드려요. 세계가 점점 반으로 나눠지는 느낌입니다. 미중갈등이 언제까지 갈지..그 사이에서 우리나라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출산율도 최저. 전국민이 부동산에 몰빵. 정치권은 국민들 안중에도 없으니..정말 답이 없어 보이는데 박사님은 어떻게 보시는지요?

1 year ago | 0

@luckyfamily888

와우~~~~~신간 정말 진심으로 축하드려요♡.♡ 곽수종박사님 영상과 쓰신 책들을 찾아보고 반복해서 보면서 팬이 되었습니다. 제가 곽수종박사님께 늘 질문해보고 싶은것이 있었는데 이벤트를 기회삼아 댓글로 남겨봅니다. 1.곽수종박사님의 인생책 TOP10 2.거시경제와 미시경제를 공부하고자 하는 입문자들을 위한 추천 경제책 TOP10 물고기 잡는 법을 배워서 결국 스스로 물고기를 잡아야 하듯이 경제도 좀 더 쉽고 재미있게 배우며 알아가고 싶어하는 전업주부가 이벤트 신청해 보아요~ ♡

1 year ago | 1  

@강연주-r6t

곽수종박사에게 듣고싶은 경제이야기

1 year ago | 0

@shiredo

한국이 침체로 간다면 가장 유사하게 따라갈거라 생각하는 나라가 있을까요? 일본은 침체였지만 금융수입이 두둑하고 아르헨티나는 자원이 풍부하고. 주의깊게 볼만한 사례가 있을지요

1 year ago | 0

@jusikcool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40대 직장인 입니다. 박사님을 닮고 싶습니다. 경제담판 채널을 통해 혜안과 통찰을 배웁니다. Q.박사님의 하루 생활 루틴이 궁금합니다. 너무 많은 것들을 깊이 알고 계신 것 같아서요 특히, 학습법이나 메모법 적용법 등이 알고 싶습니다. P.S 김종인 박사님을 자주 언급하시던대요 어떤 인연이신지도 궁금합니다. PD님 경제담판 채널이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유익한 채널, 훌륭한 컨텐츠 감사합니다

1 year ago | 1  

@나폴리-k1e

경제담판채널 구독자입니디..출간을 축하드립니다.

1 year ago | 0  

@youngmarknoon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라본 수능의 비용과 효용에 대한 박사님의 여러 생각들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십니까. 곽수종 박사님. 교육혁신에 관심이 있는 초등교사 입니다. 박사님 채널을 알게 된 후로 틈틈히 말씀들을 들어보고 있습니다. 한 달 전쯤 교권에 관해서 다룬 영상에서 이야기해주신 여러 말씀들 덕분에 학교에 관해서도 다양한 생각들을 해볼 수 있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말씀해주신 것처럼 산업혁명 후 노동시장의 요구에 맞춰 기본교육의 보편화가 강조되며 공교육이 발전했고 오늘날의 모습과 유사한 근대적 학교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사회의 요구를 강력하게 반영하며 탄생한 학교의 모습은 그 후 교육사상의 발전을 통해 학문적 이상(문화적 변용), 개인발달의 이상(개인화)이 중요한 목표로서 함께 공존하게 되며 동시에 서로를 침해하며 복잡해진 상태입니다. 이 목표들을 균형있게 달성하기 어려운 이유는 각 목표들의 성격 탓이기도 하지만 특히 한국에서는 대학입시라는 큰 관문이 주는 압력도 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박사님께 경제에 관해 듣고 싶은 이야기는 바로 '수능'입니다. 현재 한국의 대입을 위한 수학능력시험은 사회전체적인 비용과 효용 측면에서 효율적인지 궁금합니다. 소득격차와 평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 들어가는 비용, 시험준비산업 유행으로 인한 사교육비 증가, 능력측정한계에 따른 인재배치의 효과성 문제 등 생각해 볼 것들이 참 많아 제게는 항상 고민을 끝내보지 못한 주제입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라본 수능의 비용과 효용에 대한 박사님의 여러 생각들이 궁금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 year ago (edited) | 2  

@duke9080

전 세계적으로 갈등이 심화되는 시기에 어느 속도로 어떤방향으로 경제가 흘러갈지 정말 궁금한데 박사님의 인사이트를 구매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 습니다. 감사합니다. 우리나라 금리의 방향이 선진국들과 상이한데 내년 총선때까지 현재 금리를 유지한다고 가정한다면 어떤 시나리오 예상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1 year ago | 0

@알파벳-j7r

안녕하세요. 박사님 신간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박사님이 출연하시는 이 채널을 비롯해 다른 채널에서도 경제에 관한 지식을 많이 전수해주셔서 잘 배우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 타 채널에서 후미에 우리나라의 경제에 대해서는 비관적이나, 미래세대에는 희망을 갖고 바라보신다하여 상당히 인상깊었고 저 또한 열심히 공부하여야겠단 생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박사님의 인사이트로 여러 이슈에 대한 고견 기대하겠습니다.^^ 제가 박사님께 궁금한 점은 우리나라 부동산 대출 관련하여 가계의 경우 문제가 생겼을시 주택을 급매로 처분하거나 마지막엔 경매로 넘어가는 시나리오는 알겠으나, PF대출과 관련된 기업 대출에 문제가 생겼을 때의 시나리오가 궁금합니다. 돈을 빌려준 은행권, 금융권, 더 나아가 고금리의 사채자금까지 돈을 못 받을 경우 여파가 어디까지 펼쳐질지, 그로인해 사회에 어떤 문제로 이어질지, 그러면 이런 위기 상황에서 어떤 기회를 엿볼수 있을지 박사님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1 year ago | 0

@kiomakanima

항상 관심있게 보고 있는 곽박사님의 인사이트를 볼수 있는 신간.. 너무 기대 됩니다. 제가 궁금한 부분은.. 현재 원화가 많이 약세 인데... 이후 원화 약세가 바뀔려면 어떤 환경이 되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응원 합니다.

1 year ago | 0  

@토론배틀tv

곽박사님 저서 주말에 사서 기쁘게 정독했습니다. 뭐 내용 좋은 거야 말할 필요도 없고요... 그런데 308페이지 좀 확인해주세요. 다음의 문단에 잘못쓴 부분이 있었어요. "시대 전환기에 우리는 약하다. 정부와 기업은 상대적으로 우리 개인보다 강하다. 하이데커의 노예의 길을 굳이 정독하지 않아도 된다.이대로는 좀비 국가가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이라고 (끝에서 두번째 문단) 적혀져 있는데, 노예의 길은 Martin Heidegger 저서가 아니라 Friedrich Hayek의 저서 아닙니까. 활동분야가 너무 다른 철학자가 등장해서 순간 하이데거의 실존주의를 굴려서 국가의 실존적 결단을 강조하시려던 건가?? 마구 굴려서 애써 은유로 이해해보려고 했는데 아무래도 연결짓기 어려워서 봤더니 "노예의 길"이 있어서 알았습니다. 아 하이예크 말씀하시려다 하이데거를 소환하신거로구나. 곽 박사님이 몰라서 그리 적은 건 당연히 아닐텐데, 교정 보시는 분이 세심하게 보지 못했네요^^. 꼭 말씀드려야지~!!생각했습니다.ㅎㅎㅎㅎ 꼭 봐주세요. 저처럼 생각하시는 독자들 꽤 많을겁니다.~!초창기 구독자로서 박사님과 인연을 맺지 못했다면 전달 못했을 듯 해요.ㅎㅎ 보통 책에서 잘못적힌 부분이 있어도 넘어가곤 하는 편인데, 그래도 이 채널 초창기 시절, 제가 댓글을 달면 곽박사님이 직접 등장하셔서 코멘트도 해주시곤 했던 기억이 있어 말씀드립니다.~! 이런 훌륭한 영상이 백만조회수가 아니라 백조회수라니~!라면서 아쉬워했더니 박사님이 직접 등장해서 열심히 잘해보겠다고 답변주셨다능~!!ㅎㅎ저의 한마디가 채널의 성장에 일조하고 그로인해 일반의 경제지식 증진에 기여했다는 뿌듯함이 마음을 감쌌던 기억이 있습니다.^^

1 year ago (edited) | 1

@mins_sp

곽수종박사에게 듣고싶은 경제이야기

1 year ago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