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교수의 인생공부

[슬기로운 건강생활]

혈압약을 장기로 복용하면 나쁜 이유?
혈압약은 일단 혈관이 터지지 않게 하는 응급조치의 수단일뿐 결국 신장이 망가집니다.

혈압이 높으면 신장(모세혈관 덩어리)이 망가지는
것은 잘 알고 계실겁니다.
거꾸로
신장이 나쁘면 혈압이 더 높아지고
혈압이 높아지면 혈압약을 처방받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악순환의 모순이 발생합니다.

혈압약을 복용하면서 인위적으로 혈류를 낮추면
신장으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해서 모세혈관 덩어리인 신장이 계속 망가지게 됩니다.
한마디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딜레마에 빠지게 되는 거죠.
우리몸에 있는 항상성 유지작용이 아닌
인위적 기능 조작이 위험한 이유입니다.

또한 신장의 분비물질을 강제로 억제하는
혈압약 복용으로 인위적으로 혈류를 낮추게 되면
신장에서 레닌이라는 물질이 나와서 결국 안지오텐신2가 만들어져 나트륨과 수분을 재흡수하고 혈관이 수축하여 혈압을 높여 혈류를 정상화시키려는 작용을 합니다.
(그래서 현재 대부분의 혈압약이 안지오텐신2 분비를 차단억제해서 혈압을 낮추는 기전입니다)
혈압약을 먹으면 반사적으로 안지오텐신2가 만들어지고
또 안지오텐신2를 억제하는 혈압약을 먹고...
한마디로 악순환의 고리를 끊지 못한다는 이야기이고 이런 싸이클이 장기간 지속되면
신장은 망가질수 밖에 없다는 당연한 논리입니다!

2 years ago (edited) | [Y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