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급리포트

정성호 법무부 장관은 최근 검찰폐지 논의와 관련해 신중론을 피력했습니다. 수사기관 간 권한 조정, 민주적 통제, 그리고 새로운 기관 설계 과정에서의 현실적 문제들을 짚은 것입니다. 이러한 우려는 일견 타당해 보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역사적 사실이 있습니다. 바로 대한민국 검찰이 지난 수십 년간 보여준 권한 남용과 정치적 중립성 훼손의 행적입니다.

검찰은 본래 국민의 권리 보장과 정의 실현을 위해 존재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현실에서 검찰은 그 막강한 권한을 무기 삼아 정치권력과 결탁하거나, 때로는 스스로 정치세력화 하여 ‘제3의 권력’으로 군림했습니다. 특정 권력자에 봉사하거나 반대로 정권을 흔드는 친위 쿠데타 행보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근간을 훼손해 왔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경험이 오늘날 ‘검찰청을 폐지하고 새로운 제도를 만들자’는 결론으로 이어진 것입니다.

정 장관이 지적한 제도 설계의 복잡성과 현실적 난제는 분명 숙의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는 방향을 뒤집을 명분은 되지 못합니다. 제도의 세부 설계는 치밀한 논의를 통해 보완하면 될 문제이지, 검찰청 폐지 자체를 멈추자는 이유가 될 수는 없습니다. 민주주의 발전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맞닥뜨리는 진통이자 조정의 문제일 뿐입니다.

권력은 반드시 분산되어야 합니다. 검찰이 더 이상 스스로 권력의 주인이 될 수 없도록, 우리는 검찰청 폐지와 새로운 제도 수립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응답해야 합니다.

그것이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미래를 지키는 길입니다.

4 days ago | [YT]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