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반응이 일어날 때에는 항상 계의 경계에서 에너지 출입이 발생한다. 반응열은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흡수하거나 방출되는 열의 양을 나타낸다. 이러한 반응열은 반응의 종류에 따라 연소열, 중화열, 생성열, 용해열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반응열은 보통 임의의 물질 1mol이 반응할 때 출입하는 에너지를 기준으로, 나타낼 때 J/mol나, kJ/mol등의 단위를 이용한다. 화학 반응이 느릴 때, 반응열이 작을 때, 또는 열량계 속에서 반응시키기 어려울 때에는 실험적으로 반응열을 구하기 어렵다. 이 경우에는 여러 열화학 반응식을 토대로 헤스의 법칙을 이용해 이론적인 계산으로 반응열을 구한다.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는 동안 발생 또는 흡수한 열량은 화학반응 전 후의 물질의 종류와 상태가 결정됐을 때, 반응 경로와는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값을 가진다. 아아...이것을 '총열량 불변의 법칙' 또는 'Hess의 법칙'이라 하는 것이다.
11 months ago | 354
The definition is as follows. "The increase in the internal energy of a system is equal to the amount of thermal energy added to the system minus the work the system has done to the outside world." The energy inside the system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heat, and thermal energy also changes. This energy refers to the mechanical energy of atoms and molecules inside the system. In general, when a certain energy is applied to a system from outside, the energy of the system increases accordingly. In this way, when heat is applied to an object, the internal energy of the object increases by the applied thermal energy. Also, when mechanical work is added to an object, the internal energy increases by the amount of work added. Therefore, when heat and work are applied to an object at the same time, the internal energy of the object increases by the amount of heat and work applied. This is called the first law of thermodynamics.
11 months ago | 0
아구이뽀 A924
< 아구이뽀가 절대 안할 것 같은 말 >을 댓글로 달아주세요!!
안녕하세요 나날히 동그래미가 되어가는 아구이뽀입니다.
이번주 토요일 오후 5시에 공파가 겸사겸사 온다길래 컨텐츠를 한번 해보려구 함니다.
재치있는 댓글은 유튜브에 박제가 될 수 있슴니다.
감사함니다.
11 months ago (edited) | [YT] | 2,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