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익교수의 유일한 공식 스터디 클럽]: us-campus.co.kr/product/academy164 * 데일리경제는 유일한 공식 스터디 클럽에서 매일 아침 11시에 전달드리고 있습니다. * 10월 31일(화)를 끝으로 신청이 완전 종료됩니다. * 카카오톡으로 문의하기 : pf.kakao.com/_Wfxncb
1 year ago | 5
시간 없는 저같은 사람은 이렇게 요약문 형태가 아주 좋습니다. 잘 정리해주신 덕분에 경제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으니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건겅하십시오.
1 year ago | 3
김영익의 경제스쿨
안녕하세요 < 경제스쿨 > 구독자 여러분, 김영익 입니다.
날씨가 제법 많이 쌀쌀해졌습니다. 모두들 감기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어제 유튜브 영상은 특별 수업을 준비하였는데요.
제가 매일 분석하는 '경제 지표'와 '경제 뉴스'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드렸습니다.
어제 이야기드리었던 내용을 간단히 전달드리자면,
주가 흐름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통화량 지표'를 확인 하는 것이 중요하다.. 라는 것입니다.
통화증가율은 주가와 함께 움직이는 경향이 있으며, 최근 통화증가율이 증가세로 돌아서고 있습니다.이는 주가 상승의 한 요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시중 유동성을 나타내는 대표적 통화지표가 광의통화(M2)입니다. 2021년 12월 전년동월비 13.2% 증가했던 M2 증가율이 올해 6월에는 2.2%까지 급락했습니다. 그러나 7월에는 2.5%를 저점으로 서서히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M2의 구성 요소 가운데 단기부동자금(현금통화,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 MMF, 양도성예금증서, CMA, 환매조건부채권매도, 증권투자자예탁금)이 증가할 경우 주가도 상승했습니다. 2000년 이후 통계로 분석해보면 단기부동자금이 1% 증가하면 코스피는 0.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물론 주가가 선행하는 경향은 있습니다.
M2에 비해 주식의 시가총액이 어떠한지 확인하여 주가의 적정성도 평가해볼 수 있습니다. 코스피 시가총액/M2 비율이 2005년 1월에서 2023년 7월 평균이 57.9%였습니다. 아직 평균보다 낮습니다. 주가가 더 오를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통화 및 유동성 관련 통계는 한국은행의 보도자료에서 매월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단기부동자금과 주가의 흐름을 살펴보시면 좋겠습니다.
통화량 지표 외에도 4분기에 주가 흐름에 영향을 미칠, 여러분과 제가 꼭 확인해야하는 지표들의 발표가 참 많이 남았습니다. 제가 그 지표를 보며 어떠한 뷰를 가지고 분석을 하는지.. 여러분들이 보시며 조금 더 자세히 이해하시고 여러분의 것으로 체화하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으로 매일 같이 <데일리 경제>를 전달드리고 있습니다. 아침마다 칼럼과 같이 작성하고 있는데 도움이 되었다라는 댓글을 볼 때마다 참으로 뿌듯합니다.
앞으로도, 여러분들이 시야를 확장하실 수 있는 글들을 데일리 경제를 통해 많이 전달드리겠습니다.
■[김영익교수의 유일한 공식 스터디 클럽]: us-campus.co.kr/product/academy164
* 데일리경제는 유일한 공식 스터디 클럽에서 매일 아침 11시에 전달드리고 있습니다.
* 10월 31일(화)를 끝으로 신청이 완전 종료됩니다.
* 카카오톡으로 문의하기 : pf.kakao.com/_Wfxncb
1 year ago | [YT] | 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