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블로그가 22주년을 맞아 AI 기반 추천, 새로운 홈 화면, 커뮤니티 기능 등으로 개편에 나섰다. 기존 이웃 글 중심에서 벗어나 관심사·활동 이력 기반 개인화 추천을 강화하고, 공감 이모티콘 확대·위젯 기능·커뮤니티 도입 등 소통 기능도 확장한다. 이와 함께 새 로고도 공개했다.
2. 쿠팡, 1만 4000원 미만 셀러 배송비 인하… 저가 시장 사수 총력
쿠팡이 1만 4000원 미만 저가 상품 판매 셀러를 대상으로 배송비를 인하한다. 생활용품·뷰티 중심으로 로켓그로스 셀러의 물류비 부담을 줄여 다이소, 네이버 등 경쟁 플랫폼 이탈을 막으려는 전략이다. 배송비 부담이 큰 저가 상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여 플랫폼 내 충성도를 확보하려는 포석이다.
3. 네이버 카페, AI 추천 강화로 가입·활동 2배 이상 증가
네이버 카페가 AI 기반 추천 피드를 도입한 후 이용자 활동성과 신규 가입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게시글 하단 추천 기능 도입 이후 카페 방문 수는 132%, 비가입 카페 유입은 70% 증가했으며, 관심사 기반 홈 화면 개편 후 게시글 소비는 160%, 신규 가입은 332% 증가했다.
4. 급식장을 브랜드 마케팅 채널로… 타깃 플랫폼 출시
CJ프레시웨이가 급식 공간을 활용한 마케팅 솔루션 ‘타깃 플랫폼’을 공개했다. 전국 단체급식장·식자재 유통망을 기반으로 연령, 지역, 직군 등 타깃을 설정하고 브랜드와 제휴해 식단 구성·이벤트를 기획한다. 최근엔 하이네켄 논알코올 맥주, 아이셔 젤리, 밀키스 제로 등 협업 사례도 선보였다.
5. 유커 무비자 입국 재개… 유통업계, 면세·K쇼핑 수혜 기대
정부가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을 재개하며 면세점, 백화점, 로드숍 등 유통업계 전반의 매출 확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신세계·롯데·신라면세점은 현지 파트너와 협력을 강화 중이며, CJ올리브영·무신사·다이소 등 ‘올무다’ 채널도 외국인 매출 증가로 수혜가 전망된다.
6. 21조 시장 잡아라… 펫팸족 모시기 전쟁
반려동물 양육가구가 28.6%에 달하며 2032년 21조 원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자, 유통·프랜차이즈·호텔 업계가 ‘펫팸족’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스타필드·롯데마트·더현대서울 등은 반려동물 동반 쇼핑 공간을 확대하고, 스타벅스는 반려동물 전용 음료 ‘퍼푸치노’까지 선보였다.
7. 로블록스, 틱톡형 숏폼 영상·AI 툴 강화
로블록스가 틱톡 스타일의 새로운 숏폼 게임 플레이 영상 피드 ‘로블록스 모먼츠’와 AI 제작 도구, 실시간 음성 번역 등 다양한 신기능을 공개했다. 유저들은 게임 플레이 영상을 최대 30초까지 편집·공유할 수 있으며, 피드를 탐색하며 다른 유저가 공유한 영상을 감상하고 이모지로 반응할 수 있다.
요것저것
■ 요것저것 소식
1. 22살 된 네이버 블로그, AI 추천·커뮤니티로 새 단장
네이버 블로그가 22주년을 맞아 AI 기반 추천, 새로운 홈 화면, 커뮤니티 기능 등으로 개편에 나섰다. 기존 이웃 글 중심에서 벗어나 관심사·활동 이력 기반 개인화 추천을 강화하고, 공감 이모티콘 확대·위젯 기능·커뮤니티 도입 등 소통 기능도 확장한다. 이와 함께 새 로고도 공개했다.
2. 쿠팡, 1만 4000원 미만 셀러 배송비 인하… 저가 시장 사수 총력
쿠팡이 1만 4000원 미만 저가 상품 판매 셀러를 대상으로 배송비를 인하한다. 생활용품·뷰티 중심으로 로켓그로스 셀러의 물류비 부담을 줄여 다이소, 네이버 등 경쟁 플랫폼 이탈을 막으려는 전략이다. 배송비 부담이 큰 저가 상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여 플랫폼 내 충성도를 확보하려는 포석이다.
3. 네이버 카페, AI 추천 강화로 가입·활동 2배 이상 증가
네이버 카페가 AI 기반 추천 피드를 도입한 후 이용자 활동성과 신규 가입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게시글 하단 추천 기능 도입 이후 카페 방문 수는 132%, 비가입 카페 유입은 70% 증가했으며, 관심사 기반 홈 화면 개편 후 게시글 소비는 160%, 신규 가입은 332% 증가했다.
4. 급식장을 브랜드 마케팅 채널로… 타깃 플랫폼 출시
CJ프레시웨이가 급식 공간을 활용한 마케팅 솔루션 ‘타깃 플랫폼’을 공개했다. 전국 단체급식장·식자재 유통망을 기반으로 연령, 지역, 직군 등 타깃을 설정하고 브랜드와 제휴해 식단 구성·이벤트를 기획한다. 최근엔 하이네켄 논알코올 맥주, 아이셔 젤리, 밀키스 제로 등 협업 사례도 선보였다.
5. 유커 무비자 입국 재개… 유통업계, 면세·K쇼핑 수혜 기대
정부가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을 재개하며 면세점, 백화점, 로드숍 등 유통업계 전반의 매출 확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신세계·롯데·신라면세점은 현지 파트너와 협력을 강화 중이며, CJ올리브영·무신사·다이소 등 ‘올무다’ 채널도 외국인 매출 증가로 수혜가 전망된다.
6. 21조 시장 잡아라… 펫팸족 모시기 전쟁
반려동물 양육가구가 28.6%에 달하며 2032년 21조 원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자, 유통·프랜차이즈·호텔 업계가 ‘펫팸족’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스타필드·롯데마트·더현대서울 등은 반려동물 동반 쇼핑 공간을 확대하고, 스타벅스는 반려동물 전용 음료 ‘퍼푸치노’까지 선보였다.
7. 로블록스, 틱톡형 숏폼 영상·AI 툴 강화
로블록스가 틱톡 스타일의 새로운 숏폼 게임 플레이 영상 피드 ‘로블록스 모먼츠’와 AI 제작 도구, 실시간 음성 번역 등 다양한 신기능을 공개했다. 유저들은 게임 플레이 영상을 최대 30초까지 편집·공유할 수 있으며, 피드를 탐색하며 다른 유저가 공유한 영상을 감상하고 이모지로 반응할 수 있다.
2 weeks ago | [Y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