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9
[우리말 법화경] 경전 중의 왕, 묘법연화경 독송 - 서언 -
루시꽁냥
33:39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1권 제1서품 독송 (수행자 이루시)
19:36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1권 제2 방편품 上 (수행자 이루시 독송)
26:46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1권 제2 방편품 下 (수행자 이루시 독송)
40:27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2권 제3 비유품 上 (수행자 이루시 독송)
29:15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2권 제3 비유품 下 (수행자 이루시 독송)
7:06
우리말 법화경 독송을 하는 이유 (왜 불교에 귀의하였는가?!)
16:29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2권 제4 신해품 上 (수행자 이루시 독송)
16:06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2권 제4 신해품(下) 수행자 이루시 독송
19:09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3권 제5 약초유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12:46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3권 제6 수기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21:26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3권 제7 화성유품 上 (수행자 이루시 독송)
21:59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3권 제7 화성유품 中 (수행자 이루시 독송)
20:27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3권 제7 화성유품 下 (수행자 이루시 독송)
22:39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3권 제8 오백제자수기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13:05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3권 제9 수학무학인기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19:39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3권 제10 법사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23:46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3권 제11 견보탑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4권 제12 제바달다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10:33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4권 제13 권지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27:54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5권 제14 안락행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25:46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5권 제15 종지용출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19:57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5권 제16 여래수량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28:28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5권 제17 분별공덕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20:21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6권 제18 수희공덕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23:55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6권 제19 법사공덕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18:41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6권 제20 상불경보살품
10:32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제6권 제21 여래실력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4:43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6권 제22 촉루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24:49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6권 제23 약왕보살본사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7권 제24 묘음보살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21:12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7권 제25 관세음보살보문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12:01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7권 제 26 다라니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18:12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7권 제27 묘장엄왕본사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18:46
[우리말 법화경] 묘법연화경 7권 제28 보현보살권발품 (수행자 이루시 독송)
5:54
두번째 독송 시작합니다 (서언)
34:14
[2독송] 묘법연화경 01 서품 (수행자 이루시)
44:34
{2독송} 묘법연화경 제2 방편품 (일불승)
1:02:02
{2독송} 묘법연화경 제3 비유품 (코로나와 이기심)
28:12
{2독송} 제4 신해품 (일승법의 방편이었던 삼승)
13:36
{2독송} 제5 약초유품 (뽐내지말라/겸손에 대하여)
14:44
{2독송} 제6 수기품 (위기를 기회로!)
47:54
{2독송} 제7 화성유품 (코로나 종식을 바라며)
18:04
{2독송} 제8 오백제자수기품 (더 큰 지혜를 위하여)
9:42
{2독송} 제9 수학무학인기품 (2020년을 마무리 하며)
17:29
{2독송} 제10 법사품 (마른 흙에서 우물을 파듯)
21:01
{2독송} 제11 견보탑품 (겨울은 반드시 봄이 된다)
16:28
[2독송] 제12 제바달다품 (법화경의 평등과 공정함)
10:13
[2독송] 제13 권지품 (법화경에 대한 서원)
4:42
오늘은 법화경 귀의 3년째 되는 날 입니다
25:42
[2독송] 제14 안락행품 (올바른 수행자세)
29:19
[2독송] 제15 종지용출품 (의심하지말라)
18:39
[2독송] 제16 여래수량품 (타인에 대한 배려와 이해)
23:01
[2독송] 제17 분별공덕품 (귀의의 행복)
15:51
{2독송} 제18 수희공덕품 (운명을 바꾸는 법)
25:39
{2독송} 제19 법사공덕품 (법화경을 알리는 자)
18:59
제20 상불경보살품 (업신여기지 않는 자)
10:48
{2독송} 묘법연화경 제21 여래신력품
25:35
{2독송} 제22 촉루품 & 제23 약왕보살본사품
17:41
{2독송} 제24 묘음보살품 (모두 이익되게 하라)
22:15
{2독송} 제25 관세음보살보문품 (높고 바르며 평등한 깨달음)
10:41
{2독송} 제26 다라니품 (법화경의 가호)
16:56
{2독송} 제27 묘장엄왕본사품 (증명으로 교화하라)
14:08
{2독송} 제28 보현보살권발품 (바르게 기억하고 수행하라)
25:53
{3독송} 제1 서품 (법화경을 알리는 자)
33:05
{3독송} 제2 방편품 (법화경의 지혜)
44:32
{3독송} 제3 비유품 (법화경 행자의 수호)
26:50
{3독송} 제4 신해품 (속세에 선근에 따라 분별하여 설하라)
12:48
{3독송} 제5 약초유품 (보살도로 성불하리라)
13:04
{3독송} 제6 수기품 (부지런히 정진하라)
40:23
{3독송} 제7 화성유품 (진정한 깨달음)
16:52
{3독송} 제8 오백제자수기품 (끝까지 깨달아라)
9:37
{3독송} 제9 수학무학인기품 (감로수를 마신듯 하나이다)
17:45
{3독송} 제10 법사품 (여래의 심부름꾼)
{3독송} 제11 견보탑품 (부처님의 아들)
14:33
{3독송} 제12 제바달다품 (여인성불)
9:58
{3독송} 제13 권지품 (참을 인)
25:02
{3독송} 제14 안락행품 (진정한 보살행)
16:26
{3독송} 제16 여래수량품 (방편력)
20:22
{3독송} 제15 종지용출품 (까닭을 말씀해주소서)
20:11
{3독송} 제17 분별공덕품 (한량없는 복덕)
11:01
{3독송} 제18 수희공덕품 (헤아릴 수 없는 복덕)
21:43
{3독송} 제19 법사공덕품 (법화경을 간직한 덕분이로다)
12:22
{3독송} 제20 상불경보살품 (반드시 성불하리라)
8:03
{3독송} 제21 여래신력품 (불도를 성취하리라)
3:49
{3독송} 제22 촉루품 (여래의 지혜)
20:09
{3독송} 제23 약왕보살본사품 (일체현제신삼매)
13:08
{3독송} 제24 묘음보살품 (빛나는 보살)
14:50
{3독송} 제25 관세음보살보문품 (세상의 소리를 관찰하는 분)
8:47
{3독송} 제26 다라니품 (경전을 수지하는 자)
14:09
{3독송} 제27 묘장엄왕본사품 (청정한 법안을 얻었다)
14:13
{3독송} 제28 보현보살권발품 (부처님 말씀을 마음 속 깊이 새기며)
9:27
법화경 사경하는 법
6:19
소원 세가지! 누구나 할 수 있는 이 방법으로 이루었습니다
25:01
[PRAY WITH ME] 법화경 한글사경 독송 제1 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