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6
1. 역사란 무엇인가(서양경제사)
정치경제학연구소 프닉스
11:42
2.역사를 왜 알아야 하나(서양경제사)
18:42
3. 실증사관(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7:53
4. 상대주의 사관과 문명사관(서양경제사)
5:20
5. 유물사관(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서양경제사)
21:45
6. 진화론과 인류의 탄생(서양경제사)
18:30
7. 구인류와 현생인류의 발생(서양경제사)
12:03
8. 구석기 시대(서양경제사)
13:06
9. 원시공동체(서양경제사)
12:26
10. 모건의 고대사회와 엥겔스(서양경제사)
17:28
11. 자본주의와 원시공동체 가족 비교(서양경제사)
16:17
12. 모계사회의 탄생과 대우혼의 발생(서양경제사)
14:00
13. 정치경제학 비판서문과 역사 5단계(서양경제사)
12:05
13. 부계사회로의 혁명과 일부다처제(서양경제사)
14:59
14. 사적유물론과 계급투쟁(서양경제사)
15:41
15. 도시와 국가의 기원(4대문명)(서양경제사)
21:30
16. 아시아적 농경왕국(서양경제사)
13:24
17. 아테네와 로마의 노예제(서양경제사)
26:15
18. 게르만족의 이동과 로마 노예제 붕괴 (서양경제사)
13:04
20. 봉건공동체 장원제도(서양경제사)
14:21
19. 봉건제의 성립(서양경제사)
14:34
21. 봉건지대의 성격과 변화과정(서양경제사)
22:18
22. 장원의 쇠퇴와 도시의 발전(서양경제사)
11:41
23. 자본가와 노동계급의 출현(서양경제사)
13:29
24. 온몸에 피를 흘리며 탄생한 자본주의(서양경제사)
9:04
25. 농민과 노동자의 저항(서양경제사)
14:24
26. 상인자본과 생산자본의 투쟁(서양경제사)
10:42
27. 중금주의와 중상주의의 제국주의화(서양경제사)
16:44
28. 제국과 제국주의 간략사(서양경제사)
9:37
제국과 제국주의(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1)
14:28
사회구성체로서 제국주의(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2)
12:34
세계체제와 제국주의에 관한 마르크스의 시각(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3)
11:52
체제변혁에 있어 러시아 경로와 유럽 경로(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 4)
12:20
레닌 시기 홉슨의 제국주의론(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 5)
독일사민당의 우경화(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 6)
11:53
좌익공산주의(평의회주의)(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 7)
레닌 직전 힐퍼딩의 금융자본론(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 8)
13:31
레닌 시기 로자의 자본축적론(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 9)
23:13
레닌 시기 카우츠키의 초제국주의론(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 10)
21:35
베른슈타인의 수정주의(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 11)
16:05
레닌의 제국주의론 -자본주의 최고단계(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 12)
9:21
마르크스 시대 폴란드와 아일랜드 문제(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 13)
15:20
공산주의자 동맹과 제국주의(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 14)
7:58
제1인터내셔널과 제국주의(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 15)
33:57
제2인터내셔널과 제국주의(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 16)
21:59
제3인터내셔널 코민테른의 개요(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 17)
18:11
코민테른 제2차 대회(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 18)
11:20
1921년 코민테른 3차 대회(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 19)
13:57
1922년 코민테른 4차 대회와 1924년 5차 대회(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 20)
21:44
1928년 코민테른 6차 대회와 1935년 7차 대회(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 21)
20:24
양차 대전 사이의 제국주의 경쟁(국제연맹의 실패와 국제연합의 출범)(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22)
24:52
파쇼제국주의와 부르주아제국주의의 대결(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23)
13:11
소련과 제국주의의 관계 변화(봉쇄정책의 형성)(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24)
19:17
1957년 세계 공산당·노동자당 회의(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25)
31:10
1960년 세계공산당 노동당 대회 (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26)
1969년 세계공산당 노동당 대회와 그리스공산당에 의한 재건(제국주의론: 맑스~우크라이나 전쟁27)
31:06
1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경제사와 제국주의)
2. 랑케의 실증주의와 식민지사관(경제사와 제국주의)
25:58
3. EH 카 및 역사주의와 발전주의 사관(경제사와 제국주의)
20:51
4 토인비의 문명사관(경제사와 제국주의)
26:05
5. 유물사관 : 경제중심 계급투쟁 변증법(경제사와 제국주의)
27:42
6. 유물사관 : 생산양식과 사회구성체(경제사와 제국주의)
37:44
7. 유물사관 : 정치경제학비판 서문(경제사와 제국주의)
27:31
8. 유물사관 : 역사5단계설의 보편성과 특수성(경제사와 제국주의)
30:29
9. 생산력과 생산관계의 충돌과 조화의 역사(경제사와 제국주의)
25:16
10. 주체사관 : 민중사관과 지도자사관의 결합(경제사와 제국주의)
22:20
11. 기본모순 주요모순 주요한 측면(경제사와 제국주의)
23:14
12. 원시공산제와 고대노예제(경제사와 제국주의)
22:38
13. 봉건제 약술(경제사와 제국주의)
32:15
14. 자본제 약술(경제사와 제국주의)
29:05
15. 투쟁을 통한 피지배계급의 지위 향상(경제사와 제국주의)
24:12
16. 경제결정론 비판: 생산력과 생산관계의 모순(경제사와 제국주의)
28:41
17. 인류의 진화와 원시사회(경제사와 제국주의)
31:04
18. 원시사회에서 가족의 형성(경제사와 제국주의)
29:26
19. 모건의 고대사회와 맑스엥겔스(경제사와 제국주의)
47:17
20.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경제사와 제국주의)
19:44
21. 아들 방출에서 딸 방출로 전환(경제사와 제국주의)
19:53
22. 모계사회에서 부계사회로의 전복(경제사와 제국주의)
25:22
23. 자본주의 가족에서 공산주의 가정으로 전환
12:24
24. 국가는 어떻게 발생했는가(경제사와 제국주의)
21:09
23:12
25. 문명의 기원(경제사와 제국주의)
40:46
26. 가부장제와 노예제(경제사와 제국주의)
21:47
27. 생산력 발전에 따른 자율노동의 필요와 노예제의 쇠퇴(경제사와 제국주의)
22:39
28. 봉건제의 형성과 지대변화 : 노동 상품 화폐(경제사와 제국주의)
23:39
29. 중세 생산계급 장인과 길드(경제사와 제국주의)
35:46
30. 길드의 해체와 자본가와 노동자의 발생(경제사와 제국주의)
31:18
31. 장원의 붕괴와 봉건제의 쇠퇴(경제사와 제국주의)
26:17
32. 도시의 발전과 자본제의 출현(경제사와 제국주의)
33 자본주의 노동계급의 형성(경제사와 제국주의)
30:14
34 자본주의 자본가계급의 형성(경제사와 제국주의)
35 봉건계급의 붕괴과 엔클로저 운동(경제사와 제국주의)
22:52
36 자본의 시초적 축적의 야만성(경제사와 제국주의)
23:33
37. 노동자와 농민의 투쟁(경제사와 제국주의)
38:32
38. 상인과 수공업자의 자본가를 향한 투쟁(경제사와 제국주의)
29:40
39. 조선에서 상인과 수공업의 경쟁(경제사와 제국주의)
31:43
40. 중상주의와 중금주의(경제사와 제국주의)
29:57
41 제국의 종류와 다양한 제국주의 의미(경제사와 제국주의)
29:38
42 패권주의 팽창주의 제국주의(경제사와 제국주의)
31:24
43 레닌의 제국주의 개념(경제사와 제국주의)
24:31
44 로마부터 미국제국주의로까지 계승(경제사와 제국주의)
25:31
45 사회구성체와 제국주의 개념(제국주의와 세계체제)
32:39
46 자본주의 제국주의의 출현(제국주의와 세계체제)
29:31
47 마르크스 시대 폴란드와 아일랜드 문제(제국주의와 세계체제)
29:06
48 본국혁명과 식민지혁명의 관계 :맑스 레닌(제국주의와 세계체제)
29:50
49 공산주의자동맹과 제국주의(세계체제와 제국주의)
28:59
50 제1인터내셔널과 제국주의(세계체제와 제국주의)
33:02
51 레닌시대 독일사민당과 제국주의(세계체제와 제국주의)
24:50
52 러시아모델과 유럽모델에 따른 제국주의(세계체제와 제국주의)
63 전쟁과 정치적 총파업에 대한 입장(독일사민당)
25:27
64 제2인터내셔널(총파업과 전쟁에 대한 입장)
25:38
65 인터내셔널의 사회주의, 사민주의, 진보주의 분화
31:48
66 좌익공산주의(평의회주의)
17:15
67 좌익소아병과 홉슨의 제국주의론
68. 레닌 직전의 힐퍼딩의 금융자본론
27:08
69. 로자의 자본축적론
21:36
70. 자본축적론에 대한 레닌의 비판
24:03
71 카우츠키의 초제국주의론
25:59
72 Criticism of Kautsky
32:10
73 Bernstein's Revisionism
32:11
74 Bernstein's Criticism of Revisionism
24:46
75 Bernstein's defense of colonial rule
28:05
76 Lenin's concept of imperialism
77 Differences between Lenin's theory of imperialism and previous theories
29:08
78. The Importance of Colonies in Lenin's Theory of Imperialism
25:26
79. World War I and the Founding of the Comintern
30:56
80. People's Front People's Democracy NLPDR
26:25
81. Truman, who overturned the honeymoon between Roosevelt and Stalin
27:20
82. Background of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trusteeship debate instead of Japan
24:26
83 Comintern 1st Congress National Question and Imperialism
29:33
84 Lenin's position on the one-party system of the Communist Party
31:16
85 The Limits of the Centralized International Comintern
35:33
86 Working class relations in the Soviet Union and Western Europe and the colonies
87 코민테른 1, 2차 대회와 식민지 발전론
35:15
The 3rd Congress of the Comintern and the Emergence of the Workers' United Front
20:38
89 The working class as the leading class of the nation
19:49
90 The 4th Congress of the Comintern and the 3 Internationals
The 5th Congress of the Comintern and Trotsky's Permanent Revolution
30:07
92 코민테른 6차대회와 파시즘의 대두
33:03
94 The Dissolution of the Comintern and Its Lessons
27:32
93 코민테른 7차대회와 반파쇼인민전선
30:08
95. Imperialism and Socialism after World War II
36:53
1996.1957 World Communist Workers' Party Congress
97. 1960 World Communist Labor Party Congress
25:20
98. Moscow Declaration of the World Communist Workers' Party Congress
28:07
99 소련과 서구 및 제3세계 민중의 투쟁과 연대
29:28
100 Colonial liberation and neocolonialism after World War II
29:17
101 The Struggle Against the Combination of Monopoly Capital and the State
33:35
102 Criticism of the Cult of the Individual and Market Socialism
30:25
104. Détente and Eurocommunism
27:19
103. The 1969 Sino-Soviet Conflict and the World Communist Workers' Party Congress
29:27
105 핵무기가 제국주의 경쟁에 미친 결과
106 제국주의 전쟁의 불가능과 제3세계 등장
28:31
107. 영토식민지 없는 제국주의 시대와 제3세계
35:07
108. 중소분쟁과 제3세계의 분열
22:05
109. 제3세계에서 종속이론의 등장
22:32
110. 종속이론 , 중남미와 아프리카 및 아시아로 파급
111 종속의 원인 : 중심국 수탈 자본 부족
28:26
112 종속의 심화와 극복 전략
28:52
113 제3세계의 종속극복의 실패와 한국과 대만 등 예외
27:14
114 사미르 아민의 삶과 종속이론
LIVE
[Deleted video]
26:43
117. 제3세계 종속 극복 이론의 전개과정
116. 종속극복에 대한 다양한 입장들
29:15
115. 아민의 종속극복의 방법
27:12
118. 월러스틴과 아리기의 접근방법
27:46
119 아리기의 실물팽창과 금융팽창
26:26
120 제네바의 상업팽창과 금융팽창 및 패권
20:19
121 네덜란드의 무역팽창과 금융팽창 및 패권
34:43
122 미국의 산업팽창과 금융팽창 및 패권
123. 미국에서 실물팽창과 금융팽창 및 패권의 형성
30:28
124. 미국의 대륙영토주의와 시공압축의 장점
29:41
125. 미중분업 이후 미중패권의 향방
[Private vid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