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
[넥스트 코리아] No.04. 2025. 4. 17. 사전투표효력정지가처분 신청// 절반의 기대, 그러나 나머지 절반도 헛된 것은 아니다. 헌재폐지의 명분 하나가 더 분명해지므로
이호선의 아드폰테스
7:44
[탄핵심판법리정리] 04. 대본 읽었을 뿐이라는 문형배 헌재소장권한대행// 헌법재판농단사범처벌법 제정 추진, 현재 법사위 계류 중. 외국인, 이중국적 재판연구관(원) 밝히고 퇴출
23:34
[탄핵심판법리정리] 03. 선거시스템 부정개입 가능성 판단누락?//헌재의 원죄에 국민불신과 분열의 주범을 자처하는 셈. 국민 절반이 선거시스템 불신이 팩트, 대통령에겐 해소 책임
15:01
[탄핵심판법리정리] 02. 헌재가 해냈다! 동서고금을 완벽하게 넘나드는 공정과 상식의 파괴, "K-재판"을 선보인 헌법재판소. 가루가 되어야 할 이유
4:28
[재조산하] No.07. 선관위에 대한 감사원 직무감찰을 봉쇄한 헌재 결정, 재판관들의 자질을 의심케 하는 법리 해석, 그 문제점과 대처 방안은 무엇인가.
11:55
대통령탄핵 일문일답 Q32. 반대신문권이 박탈 내지 제한된 수사기록의 증거 채택은 헌법재판소법에 무지하거나 궤변, 또한 국제사회의 보편적 인권 기준에 반하는 국제 망신 수준 범죄
16:52
대통령탄핵 일문일답 Q31. 계엄 전 국무회의심의 논란, 위반했다 해도 파면 요건인 "중대한 위반" 아님. 중대한 위반으로 판정시 헌재가 국정마비, 탄핵 상시화 시한폭탄 던지는 셈
5:46
대통령탄핵 일문일답 Q27. 윤대통령 구속기간 만료시점 언제로 봐야 하나? / 구속기간연장 신청 시간은 연장 사유 안됨. 늦어도 1.25. 21:00 대통령은 석방되었어야
5:05
[재조산하] No.03. 헌재 심판의 공정성, 탄핵심판에서의 선거시스템 검증, 공수처 폐지, 지역화폐의 문제점 등 국민의식조사 준비. 시대의 증언에 동참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13:08
헌재를 탄핵한다 // 이진숙 방통위원장 파면을 주장한 문형배, 이미선, 정계선, 정정미 재판관, 이들이 숨기고 있는 속셈. "답정너"로 질주하는 헌재는 멈춰야
3:41
대통령탄핵 일문일답 Q26. 관저 출입 허가 받았다는 거짓말,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 해당. 영장유효기간 중 오동운 공수처장은 현행범?
4:04
Why is the support for martial law, which was initially misunderstood in South Korea, increasing?
11:38
Q&A on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Q22-Q25. The original sin of the Corruption Investigation Of...
54:23
특강: 대통령 탄핵심판 논란의 본질과 헌재의 문제점//2025-01-09. 헌법재판소의 공정한 심리와 결론, 기대할 수 있을까. 지금의 척도로 보면 부정적이다.
7:57
인권위원들이 본 계엄 이후 사태 전개의 책임 소재 // 2025-01-10 김용원 상임위원 등 5명의 인권위원의 헌법과 법률위반을 저지르고 있는 국가기관들에 대한 경고 메시지
13:43
Q&A on Presidential Impeachment: Q17-Q21. The Constitution grants the President the authority to ...
10:03
대통령탄핵 일문일답 Q14~Q16. 탄핵소추안과 탄핵소추서가 달라지면 국회의원의 의사가 헌재에 제출되어 있다고 할 수 없다. 헌재의 선택은 각하 뿐! 계속 심리는 위헌이다.
3:34
대통령탄핵 일문일답 Q13. 탄핵소추서에서 '내란죄'를 뺀다고? //탄핵소추처는 국회의 예비판정, 심판과 같은 성격을 갖는 것이어서, 그 판단의 전제가 바뀌면 무효이다!
34:20
헌법재판관들에게 보낸 내용증명 ㅣ 헌재의 공정한 심리와 결정 기대할 수 있을까, 지금까지 헌재가 보인 모습은 우려할만하다. 국민이 지켜봐야 할 몇 가지 기준을 제시한다.
26:59
쟁점 ㅣ 미연방대법원 판결을 통해 보는 대통령 형사면책 특권. //2024. 7.1. 연방법원이 내린 판결은 우리 현실의 구조와 법적 쟁점과 너무나 흡사하며, 근본적 질문을 던진다
5:48
대통령탄핵 일문일답 Q11~Q12 //법률안거부권, 장관임명은 국무회의 거치는 것이라 권한대행이 당연히 행사. 헌재 재판관 임명은 대통령만 단독 행사, 권한대행 권한없어
21:18
대통령탄핵 일문일답 Q5~Q10 //헌재는 계엄의 형식적 요건 하나만으로 탄핵인용가능한가? 대통령에 대한 내란죄 구속영장청구가 적당하지 않은 이유
8:12
대통령탄핵 일문일답Q1~Q2. 심판기간 180일은 강행규정 아닌 훈시규정// 헌재는 입법권남용 가리기 위한 검사들과 감사원장 등 탄핵 사건 먼저 결정해야 한다.
6:19
2차 대통령 탄핵소추안 분석과 쟁점 ㅣ 부결되었던 1차 탄핵소추안과 무엇이 달라졌나? 여전한 순환논법 유지. 내란죄 보다 위헌여부를 따져야
14:55
탄핵 정국을 보는 기자들의 눈 ㅣ 국민법문화의식연구소. 시중의 언론보도 행태와 기자들의 내심은 일치할까, 과반을 훨씬 넘는 기자들이 개헌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보는 이유는?
25:12
Analysis of the Grounds for President Yoon Seok-yeol's Impeachment | National Law and Culture Con...
18:19
탄핵 정국, 법학교수들에게 묻다(2. 주관식) ㅣ 국민법문화의식연구소가 2024. 12. 2.~3.까지 전국의 법학교수들을 상대로 한 주관식 설문조사 응답
2:01
12.3. 계엄사태 관련 성명서. "국회해산, 정치대개혁 국민투표로 대한민국 새로운 미래를 열자! " ㅣ 사회정의를 바라는 전국교수모임(정교모)
10:00
탄핵 정국, 법학교수들에게 묻다(1. 객관식) ㅣ 국민법문화의식연구소가 2024. 12. 2.~3.까지 전국의 법학교수들을 상대로 한 객관식 설문조사 응답
16:00
[Issue Analysis] The Seoul Administrative Court's Decision's Self-Contradiction: Who Is It for? ㅣ...
5:57
[Issue Analysis] Yellow Journalism in Korea | Reporters Park Tae-hoon and Kim Eun-bin translated ...
22:31
[이슈분석] 끝나지 않은 헌재의 위헌 사태, 해법 ㅣ 현행 헌법 부칙에도 국가기관의 공백은 없도록 되어 있다. 9인의 재판관을 공석으로 만들어 놓고도 괜찮은 입법부, 헌재가 나서야
6:07
[논평] 서울시 교육감 후보에게 바란다 l 이호선 교수(국민대학교 법과대학장)
7:27
[논평]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 유죄 확정, 지연될 이유가 없었던 판결이었다 ㅣ 이호선 국민대 법대 학장
4:31
[논평] 판사가 결정한 방문진 이사들의 재임용은 월권이다 ㅣ 이호선 국민대 법대 학장
12:23
[이슈분석] 한국의 황색저널리즘 No.08. 취재없이 먹잇감만 찾는 그들. 경찰청 정보공개청구에 대한 답변에서 김호중은 없었다! #yellowjournalism
9:46
[Issue Analysis] Yellow Journalism in Korea No. 07. Majors who add other people's articles #Chosu...
[Issue Analysis] Korea's Yellow Journalism No. 6: Media Sadists #yellowjourn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