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촬영문의] 010-9768-1638
안녕하세요 “굿엔트”입니다!
우리 민족의 전통 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민속신앙 선생님들의 무당 이야기와 국보신앙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항상 좋은 날 되세요!
[굿엔트]네이버
blog.naver.com/goodent1638
[굿엔트]페이스북
www.facebook.com/goodent1638/
[굿엔트]트위터
twitter.com/Goodent6
[굿엔트]카카오스토리
story.kakao.com/goodent1638
[굿엔트]스토리채널
ch.kakao.com/channels/@goodent1638
VOD
Video On Demand(주문형 비디오)의 약자. 사용자가 방송을 요청만 하면 동영상을 마음대로 볼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주로 PC를 단말기로 삼아 연결된 인터넷을 기반으로 서비스한다.
초창기에는 리얼 플레이어를 이용한 서비스가 대세였지만, 마이크로소프트가 미디어 플레이어에 실시간 스트리밍 재생 기능을 넣어서 윈도우에 기본 포함시키고, 나아가서 미디어 플레이어의 스트리밍 재생을 제공하는 Microsoft Media Server(일명 MMS)까지 내놓으면서 대규모 공세를 펼쳤다. 결국 리얼 플레이어는 사실상 소멸 신세에 처해져버렸고,(2014년 3월 기준으로 회사와 사이트 자체는 아직 살아있긴 하다) 이후 한동안 대부분의 VOD 서비스는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를 기반으로 서비스되게 되었다. 이것은 유튜브에서 플래시 기반 동영상 서비스를 대세로 만들기 전까지 계속되었다.
현재는 이것을 별 대단치 않은 서비스로 생각하지만, 비디오 테이프나 VCD로 영화를 보던 시절에는 혁명에 가까운 기술이었다. 자기가 볼 비디오의 편성권을 자기가 갖게 된 것이기 때문. 영화를 예를 들면 그 이전까지는 TV에서 틀어주는 것을 보았지만, VOD 서비스가 활성화된 지금은 IPTV 등으로 보고싶은 영화를 선택해서 볼 수 있으며, 다른 일반 방송프로를 놓쳤을 경우도 재방송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클릭 몇번으로 자신이 편한 시간에 볼 수 있게 되었다.
이 VOD 서비스를 목적으로 나온, 전화선을 이용한 전용 유선망 기술이 있었다. 하지만 시대를 잘못 타고 나서 VOD 용도로는 거의 쓰이지 못했다. 그래도 빠른 다운로드 속도를 제공한다는 장점 덕분에 인터넷 전용선으로 사용되었고, 초창기의 초고속 인터넷을 보급하는 주요 기술이 되었다. ADSL이 바로 그것.
피처폰에서도 정액제 형태로 VOD(june/Fimm)를 제공한 적이 있지만 그 당시 피처폰 요금제는 세티즌이나 뽐뿌, 클리앙 같은 사이트에 드나드는 사람만 아는 요금제라서 망했다. 다만 Fimm 240 무제한 프로모션은 어느 정도 알려져 있었다.
송출 방식
인터넷 기반
IPTV와 셋톱박스
OTT
인터넷 방송 플랫폼
유선방송
TVOD
Transactional VOD의 준말. 편당 결제 방식 VOD. 대표적으로 iTunes Store, Google Play 무비, 네이버 시리즈온, 통신사의 IPTV 등이 있다.
AVOD
Advertising VOD의 준말. 광고만 조금 보면 모두 무료인 VOD. 대표적으로 유튜브, 네이버 나우(구 네이버TV)가 있다.
SVOD
Subscription VOD의 준말. 월정액 VOD. 대표적으로 넷플릭스, 디즈니+, TVING 등이 있다.
용도
항공업계에서는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통상적으로 AVOD(Audio/Video on Demand)라고 부른다. 보통은 터치스크린이나 전용 리모콘으로 승객 개개인이 조작할 수 있는 것들만 이렇게 부른다. 요것 덕에 장거리 비행도 심심하지 않게 할 수 있는데 자세한 것은 기내 엔터테인먼트를 참조.
그 외에도 시간이 없어 TV를 보기가 너무 촉박하거나 맞지 않을 때 오히려 다수의 VOD 컨텐츠들이 정규방송에 준하는 수준에 해당되는 대체 매체 수단으로도 널리 이용되는 경우가 있으나, TV 프로그램 중 마땅히 볼만한 것들을 찾지 못할 때도 유용하게 쓰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
국내 언론사들이 유튜브로 TV뉴스를 실시간 스트리밍 후 다시보기 형태로 놔두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도 VOD에 해당한다. 단, 뉴스는 매일 달라지는 소식을 뒤늦게라도 접하기 쉽게 하기 위해 무료로 서비스 하므로 이 사항은 크게 다루지 않는다.
요즘은 극장에 개봉된 영화가 개봉된 지 얼마 안되어서 VOD로 내려오면 흥행의 척도라고 짐작할 수 있지만, 실상은 꼼수 개봉에 있다.
VOD는 편리성이 매우 뛰어나 DVD, 블루레이와 같은 광매체를 대체하고 영상을 보는 기본적인 방법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아직 서버에 걸리는 트래픽 부담을 줄이고 이용자들의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블루레이 정도의 화질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똑같은 1080 해상도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화질에 영향을 주는 비트레이트 수치가 다르다. VOD 쪽이 약간 낮아 TV본방, 극장, 블루레이로 보면 화질이 멀쩡한데 VOD로 보면 정보량이 많은 화면이 자글자글해지거나 화면이 깨지는 경우가 있다. 이게 비트레이트가 낮아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일부 OTT는 소비자들이 당연히 1080이라고 생각한다는 점을 이용해 공지없이 720P 해상도의 영상을 제공하기도 한다. 화질도 그렇지만 음질쪽은 더 심하다. 화질이 너무 심하게 문제가 있으면 항의가 오므로 음질을 줄여서 용량을 깎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매니아들은 여전히 VOD가 있음에도 극장에 가서 작품을 보거나 블루레이를 수집하는 것이다. 물론 서버 처리와 전송 기술이 발전하면 옛날 이야기가 될 것이다.
TV에서 10대들이 유료 VOD 컨텐츠를 결제할려고 할 때, 본인 명의로 결제가 불가능하므로 부모님과 상의해서 선택하는 것을 추천한다.
보통 영화 한편에 대여료가 적어도 1200원은 넘기 때문에 한달에 10편을 넘게 보는 VOD 매니아라면 스트리밍 사이트의 월정액은 필수이다.
무당:신을 섬기고 굿 의례의 집전을 전문으로 하는 종교인.
무인(巫人)·무(巫)·무격(巫覡)·무녀(巫女)·단골·심방이라고도 하며, 특히 남자무당을 지칭할 때는 격(覡) 또는 박수, 화랭이, 양중이라고도 한다.
『주자어류 朱子語類』에 의하면 ‘무’는 춤을 통하여 신을 접하기 때문에 공(工)자의 양측에 두 사람이 춤을 추는 형상을 취한 ‘巫(무)’자를 쓰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처럼 무당은 춤으로써 무아의 경지에 돌입하여 탈혼(脫魂)의 과정을 거쳐서 신과 접하게 되고, 거기에서 신탁(神託)을 통하여 반신반인(半神半人)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그러한 과정에서 무당은 인간의 소망을 신에게 고하고, 또 신의 의사를 탐지하여 이를 인간에게 계시해주는 영매자(靈媒者)로서의 구실을 맡게 된다.
우리 나라에서는 고대부족국가 때부터 무는 곧 ‘군(君)’인 동시에 신과의 교섭자로서의 위치에 있었고, 그 활동은 초인적인 것으로 인식되었다. 무인의 직능은 신열(神悅, ecstasy)을 공동사회의 이익을 위해서 활용할 줄 아는 신성(神聖)의 전문가로서의 구실이었다.
이와 같은 무의 직능은 삼한 여러 나라의 천군(天君)이나 부여의 영고(迎鼓), 예(濊)의 무천(舞天) 등 국가적 대제전에서도 엿볼 수 있다.
여기에서의 무인은 일반 사회인들과는 구별되는 초인적 이질성을 부여받은 자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무는 보통 인간이 미칠 수 없는 탁월한 능력을 지닌 영매자로서, 그 개념은 크게 네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무당은 성무과정(成巫過程)의 시초에 신의 초월적인 영력을 체험하는 신병(神病)을 거친 사람이어야 한다. 이때의 신병은 신의 부름을 따르는 종교현상이며, 신과 통하는 인격전환의 계기가 되는 체험이다.
둘째, 무당은 신병을 통하여 얻은 영통력으로 능히 신과 만나는 종교적 제의인 굿을 주관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굿은 무당이 행하는 종교적 표현의 핵심이 된다.
따라서 신병을 체험하여 영통력을 얻은 사람이라도 그 종교적 표현이 되는 제의를 독경식이나 불교식에 의존한다면 무당 본래의 제의인 굿과는 이질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셋째, 앞의 두 가지 조건을 기반으로 하여 민간의 종교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종교적 지지를 받아 민간층의 종교지도자로 인정을 받은 사람이어야 한다.
넷째, 무당은 신앙의 대상이 되는 신이 분명하여야 한다. 성무 초기에 어떤 신을 어떻게 체험하였으며, 그 신을 어떻게 신앙하느냐 하는 것이다. 무당이 체험하는 신은 일반적으로 산신·칠성신·지신·용신 등의 자연신, 또는 장군신·대감신·왕신 등의 인격신 가운데 하나가 되는 경우가 많다.
무당의 유형은 크게 강신무(降神巫)와 세습무(世襲巫)로 나눌 수 있다. 강신무는 강신체험을 통하여 된 무당으로서, 그 성무 동기는 강신으로 인한 신의(神意)에 있다.
이러한 무는 우리 나라 중부 및 북부지방에 많다. 그 주된 기능은 강신으로부터 얻은 영력으로 점을 쳐서 미래사를 예언하고, 제의 때는 사제인 동시에 그 몸에 신이 실려서 신격화한다.
그리고 ‘공수[神託]’를 내려 신의 뜻을 무당의 육성으로 전한다. 제의 때에는 무당의 몸에 신이 내려 신격화하기 때문에 신과 무가 일원화현상을 나타내게 된다.
강신무의 신사(神事)에는 대형의 신간(神竿)이 사용되지 않으며, 신간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소박한 상태의 것이다. 강신무의 무복은 각 제차마다 개별신들을 상징하는 여러 가지 옷이 있어 보통 12∼20종에 이른다.
제의에 사용되는 무구(巫具)로서는 타악기가 위주가 되며 가무의 가락과 속도가 몹시 빠르고 몹시 흥분된 도무(跳舞)가 따른다. 한편, 세습무는 혈통을 따라 사제권이 대대로 계승되는 무당으로서, 성무의 동기는 사제권의 인위적인 세습에 있다.
이러한 무당은 남부지방에 우세한데, 주된 기능은 영력과 관계없이 제의를 집행하는 사제의 구실이다. 이들의 신사는 강신이나 신탁이 거의 없는 상태로서, 그들은 신의 능력을 체험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신의 체험을 통한 ‘몸주’신이 없다. 그러므로 신단(神壇)을 만들어서 신을 봉안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
제의 때에는 신과 무당이 대치하는 이원화현상을 보이며, 신사 때에는 신이 내려오는 길을 상징하는 신간을 꼭 설치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