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궁 꽃대신
상담문의 : 010-6625-2677
상담위치 : 서을시 강남구 압구정
이재명 대통령 될 수 있나 - 연이궁 꽃대신의 확실한 예언
youtu.be/VkqSDsZoTQo
대운이 들어올때 징조 - 운이 바뀔때 - 대운이란
youtu.be/VrZ_9tXrE3s
상문 부정풀이 상문살 직접 푸는 초강력 셀프 비방법
youtu.be/sJDRu4IxdDA
앞날이 창창한 자녀를 위하여 명다리 올리는 특별한 이유
youtu.be/ROt6WrGQw2w
안 좋은 터만 볼 줄 알아도 새는 금전 재물을 막을 수 있다
youtu.be/lVEGA9asL8s
평생의 연인을 알아보는법 - 혼인 여탐굿
youtu.be/HgCB76fe-Gw
#굿엔트 #무속유튜브 #삼재풀이 #소원풀이 #용한무당 #신점잘보는곳 #전통굿 #운세상담 #굿체험기 #기운바꾸기
민속문화를 알리는 곳으로 무속 신앙 선생님들의 이야기와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한국의 민속문화와 민속신앙에 대해 다루는 유튜브 채널입니다.
무속 신앙에 대한 이야기와 그 전승 과정을 바르게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선생님들과 전문가들이 출연하여 전통적 신앙에 대한 이해를 돕는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굿엔트는 민속 신앙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촬영문의] 010-9768-1638
[굿엔트]네이버
blog.naver.com/goodent1638
[굿엔트]페이스북
www.facebook.com/goodent1638/
[굿엔트]트위터
twitter.com/Goodent6
[굿엔트]카카오스토리
story.kakao.com/ch/goodent1638
[굿엔트]스토리채널
ch.kakao.com/channels/@goodent1638
무당:신을 섬기고 굿 의례의 집전을 전문으로 하는 종교인.
무인(巫人)·무(巫)·무격(巫覡)·무녀(巫女)·단골·심방이라고도 하며, 특히 남자무당을 지칭할 때는 격(覡) 또는 박수, 화랭이, 양중이라고도 한다.
『주자어류 朱子語類』에 의하면 ‘무’는 춤을 통하여 신을 접하기 때문에 공(工)자의 양측에 두 사람이 춤을 추는 형상을 취한 ‘巫(무)’자를 쓰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처럼 무당은 춤으로써 무아의 경지에 돌입하여 탈혼(脫魂)의 과정을 거쳐서 신과 접하게 되고, 거기에서 신탁(神託)을 통하여 반신반인(半神半人)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그러한 과정에서 무당은 인간의 소망을 신에게 고하고, 또 신의 의사를 탐지하여 이를 인간에게 계시해주는 영매자(靈媒者)로서의 구실을 맡게 된다.
우리 나라에서는 고대부족국가 때부터 무는 곧 ‘군(君)’인 동시에 신과의 교섭자로서의 위치에 있었고, 그 활동은 초인적인 것으로 인식되었다. 무인의 직능은 신열(神悅, ecstasy)을 공동사회의 이익을 위해서 활용할 줄 아는 신성(神聖)의 전문가로서의 구실이었다.
이와 같은 무의 직능은 삼한 여러 나라의 천군(天君)이나 부여의 영고(迎鼓), 예(濊)의 무천(舞天) 등 국가적 대제전에서도 엿볼 수 있다.
여기에서의 무인은 일반 사회인들과는 구별되는 초인적 이질성을 부여받은 자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무는 보통 인간이 미칠 수 없는 탁월한 능력을 지닌 영매자로서, 그 개념은 크게 네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무당은 성무과정(成巫過程)의 시초에 신의 초월적인 영력을 체험하는 신병(神病)을 거친 사람이어야 한다. 이때의 신병은 신의 부름을 따르는 종교현상이며, 신과 통하는 인격전환의 계기가 되는 체험이다.
둘째, 무당은 신병을 통하여 얻은 영통력으로 능히 신과 만나는 종교적 제의인 굿을 주관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굿은 무당이 행하는 종교적 표현의 핵심이 된다.
따라서 신병을 체험하여 영통력을 얻은 사람이라도 그 종교적 표현이 되는 제의를 독경식이나 불교식에 의존한다면 무당 본래의 제의인 굿과는 이질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셋째, 앞의 두 가지 조건을 기반으로 하여 민간의 종교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종교적 지지를 받아 민간층의 종교지도자로 인정을 받은 사람이어야 한다.
넷째, 무당은 신앙의 대상이 되는 신이 분명하여야 한다. 성무 초기에 어떤 신을 어떻게 체험하였으며, 그 신을 어떻게 신앙하느냐 하는 것이다. 무당이 체험하는 신은 일반적으로 산신·칠성신·지신·용신 등의 자연신, 또는 장군신·대감신·왕신 등의 인격신 가운데 하나가 되는 경우가 많다.
무당의 유형은 크게 강신무(降神巫)와 세습무(世襲巫)로 나눌 수 있다. 강신무는 강신체험을 통하여 된 무당으로서, 그 성무 동기는 강신으로 인한 신의(神意)에 있다.
이러한 무는 우리 나라 중부 및 북부지방에 많다. 그 주된 기능은 강신으로부터 얻은 영력으로 점을 쳐서 미래사를 예언하고, 제의 때는 사제인 동시에 그 몸에 신이 실려서 신격화한다.
그리고 ‘공수[神託]’를 내려 신의 뜻을 무당의 육성으로 전한다. 제의 때에는 무당의 몸에 신이 내려 신격화하기 때문에 신과 무가 일원화현상을 나타내게 된다.
강신무의 신사(神事)에는 대형의 신간(神竿)이 사용되지 않으며, 신간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소박한 상태의 것이다. 강신무의 무복은 각 제차마다 개별신들을 상징하는 여러 가지 옷이 있어 보통 12∼20종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