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rk
Invidious

03_자연

 Subscribe
 RSS
by 풀밭 | 422 videos | Updated 2 weeks ago
View playlist on YouTube | Switch Invidious Instance


Next page  

0:28

아무도 모르는 사이 화단에 피어난 흰꽃나도샤프란

풀밭

1:39

[생태기록] 비가 오면 피는 꽃, 흰꽃나도샤프란의 강인함

풀밭

0:16

흙은 어딨나요? 콘크리트 위 지렁이의 절규

풀밭

0:12

4시에 피는 비밀스러운 분꽃 Four O'Clock

풀밭

0:15

꽃이 지고 남긴 검은 보석, 분꽃 씨앗

풀밭

0:13

작은 곤충이 강력한 칡을 위협하는 현장

풀밭

0:50

풀 왕국의 대참사

풀밭

0:31

모두가 맛없다던 똥감, 기가 막히게 맛있던데요?!

풀밭

0:23

감귤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건

풀밭

1:14

8월에 피어난 겹황매화, 계절을 잊은 꽃의 짧은 기록

풀밭

0:26

아왜나무 붉은 열매, 겨울 새들의 보물 창고

풀밭

1:49

길가 담벼락이 모든 생명의 보금자리가 될 때, 계요등과 박각시나방

풀밭

1:38

길가의 보석? 절대 먹으면 안 되는 '이것'의 정체는?!

풀밭

0:18

돌나물 vs 송엽국, 생존 경쟁

풀밭

0:25

비 온 뒤, 흐르는 물과 낙서가 주는 선물

풀밭

0:36

나무가 껍질을 벗는 이유

풀밭

0:21

이름부터 매력 터지는 으아리

풀밭

0:31

채 여물지 못한 마지막 열매들이

풀밭

0:18

빗물 머금은 참나리 싱그러움

풀밭

0:18

혼자야?

풀밭

0:29

알락하늘소, 매력적이지만 조심해야 할 이유

풀밭

0:27

가시상추, 먹는 상추의 조상입니다.

풀밭

0:27

달래는 씨앗이 아니라 알갱이로 번식해요.

풀밭

0:39

이 머위, 누군가는 팔기 위해 캐갔습니다.

풀밭

0:25

3월에 캐야 진짜 달래입니다. 야생 달래 지금이 딱 좋아요.

풀밭

0:29

2.22~3.26 수선화 꽃이 필 때까지

풀밭

0:51

둥근바위솔, 햇빛만으로 충분할까? 바람의 숨은 역할

풀밭

2:11

겨울철 노지에 있는 화분의 식물에게 도움이 될 만한 몇 가지 팁들

풀밭

0:29

겨울 정원의 보석, 팔손이 꽃이 피었습니다.

풀밭

0:42

자연산 부추 군락을 봤지만 채종 시기는 놓쳤네요.

풀밭

0:36

화분이 아닌 곳에서 만나면 더욱 반가운 애플민트

풀밭

0:38

까마중의 독성, 익은 열매도 주의하세요.

풀밭

0:38

시골 한의원에서 만난 박하, 그 향기에 잠시 빠져듭니다.

풀밭

0:31

꽃범의꼬리, 화단에서 키우면 좋은 5가지 이유

풀밭

0:24

길가에서 만난 가을의 상징, 꽃무릇

풀밭

0:30

누구나 쉽게 키울 수 있는 매발톱, 늦가을까지 푸르게

풀밭

0:25

벌써 상사화 꽃이 필 시기입니다.

풀밭

0:19

외목대는 꾸준함이 필요합니다.

풀밭

0:21

이 버섯도 예쁘장하니 위험해 보입니다.

풀밭

0:25

남천꽃은 멀리서 보면 평범해 보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다릅니다.

풀밭

0:16

사위질빵은 곤충들을 품어줍니다.

풀밭

0:30

사철나무 꽃은 작고 눈에 잘 띄지 않습니다.

풀밭

0:17

담벼락에 핀 능소화는 언제나 훌륭합니다.

풀밭

0:21

우단담배풀의 강인한 생명력을 확인합니다.

풀밭

0:26

쑥의 생김새가 너무 그로테스크합니다.

풀밭

0:27

산딸기가 익어가는 6월입니다.

풀밭

0:18

쿠라피아는 길가를 정원으로 꾸며줍니다.

풀밭

0:20

미국자리공 뿌리는 조심하셔야 합니다.

풀밭

0:18

바위솔을 지켜본 후 말씀 드리겠습니다.

풀밭

0:24

다육식물은 보통의 식물과 광합성 방법에 차이가 나네요?

풀밭

0:23

참나리 주아는 가을에 채종해서 바로 심어줍니다.

풀밭

0:20

우슬은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는 풀입니다.

풀밭

0:22

사위질빵 줄기가 원래 이런 형태인가요?

풀밭

0:26

인동초의 한 나무에 흰색과 노란색 꽃이 동시에 피는 이유

풀밭

0:21

송엽국 꽃잎은 낮에 활짝 폈다가 밤에는 살포시 접습니다.

풀밭

0:19

좀씀바귀는 지피식물로 활용해도 좋을 듯

풀밭

0:15

인간의 품종 개량에 대한 욕망(?)은 끝을 알 수 없으니

풀밭

0:22

지피식물로 피막이풀은 어떠십니까?

풀밭

0:23

도깨비쇠고비 잎을 보면 호불호가 무조건 갈립니다.

풀밭

0:22

돈나무 꽃향기는 좋아도 너무 좋습니다.

풀밭

0:24

숲속에 어성초(약모밀)가 자라고 있네요?

풀밭

0:21

인적이 드문 숲속의 매실이라도 따가면 안됩니다.

풀밭

0:15

당종려나무 꽃은 육수화서입니다.

풀밭

0:21

찔레꽃 새순을 먹었던 기억이 납니다.

풀밭

0:20

송화가루가 바람에 날리고 나면 소나무꽃이 핍니다.

풀밭

0:22

당종려는 키 작은 야자수라고 보면 됩니다.

풀밭

0:19

덩이괭이밥은 꽃밥이 노란색입니다.

풀밭

0:19

토끼풀은 흙이 비옥해지는데 도움을 줍니다.

풀밭

0:14

오동나무는 잊지 않았습니다.

풀밭

0:17

오동나무는 나고 자람이 무척이나 빠릅니다.

풀밭

0:24

돌나물 군락에 꽃이 피면 예쁘니깐 그 전에 먹어줍니다. ^^;

풀밭

0:25

소리쟁이와 소루쟁이진딧물 그리고 개미

풀밭

0:21

큰방가지똥 잎에 손이 뚫리는 줄...

풀밭

0:16

방가지똥의 잎은 무섭게 보이지만 사실 가녀립니다.

풀밭

0:17

갯무는 바닷가에 사는 무우입니다.

풀밭

0:23

야생 갓 군락이 매년 조금씩 더 넓어지고 있습니다.

풀밭

0:18

염자는 다육식물답게 뿌리는 잘 내립니다.

풀밭

0:21

결국 소리쟁이만 불쌍합니다.

풀밭

0:19

네잎클로버에 대한 기억이 왜곡되어 있나 봅니다.

풀밭

0:21

달래와 산달래는 보통 구분하지 않고 달래라고 부릅니다.

풀밭

0:17

토종민들레와 서양민들레는 총포로 구분하는 것이 가장 무난합니다.

풀밭

0:17

풀숲이 완성되어 갑니다.

풀밭

0:19

낙엽을 덮어두는 걸 좋아합니다.

풀밭

0:21

점박이 노랑사랑초는 잎이 매력적(?)입니다.

풀밭

0:18

자주광대나물은 특이한 생김새 때문에 안 잊어먹겠습니다.

풀밭

0:21

서양 민들레는 토종에 비해 압도적으로 번식력이 좋습니다.

풀밭

0:19

자동급수(점적관수)가 보기에 간단하고 쉬워 보였는데

풀밭

0:14

역시 살균하면 햇빛이 최고입니다.

풀밭

0:19

고무나무 한 달하고도 열흘이 지났습니다.

풀밭

0:17

괴생명체가 살고 있을 것만 같아서 못 열겠습니다.

풀밭

0:21

로제트 잎에 가시로 무장한 큰방가지똥입니다.

풀밭

0:14

뜻하지 않게 찾아온 행운이라 생각합니다.

풀밭

0:17

집에 있는 카랑코에와 너무 다른데요?

풀밭

0:17

양지 바른 곳에 자라는 광대나물입니다.

풀밭

0:16

진한 쑥향이 나는 이 식물을 아시는 분?

풀밭

0:15

하나씩 알아가는 재미가 솔솔합니다만

풀밭

0:17

매발톱인 이유를 찾는 중입니다.

풀밭

0:17

매일 끈끈이를 봐주는 이유입니다.

풀밭

0:16

벌레잡이제비꽃을 나름 잘 키우고 있단 생각이 듭니다.

풀밭

0:13

작아도 사철나무와 닮지 않았습니까?

풀밭

0:21

제가 긴잎끈끈이주걱은 잘 키운 듯

풀밭

0:16

소리쟁이와 소루쟁이진딧물

풀밭

0:24

구문초가 모기를 쫓을 수 있을까요?

풀밭

0:16

회양목은 이맘때가 가장 예쁜 거 같습니다.

풀밭

0:28

삭소롬 이번에는 잘 키워 보겠습니다.

풀밭

0:14

제라늄은 싫어할 수 없는 식물입니다.

풀밭

0:15

투명컵을 두건으로 덮어두니

풀밭

0:13

힘겹게 살아가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풀밭

0:23

약속이나 한 듯 일제히 올라옵니다.

풀밭

0:14

개간 의지가 샘솟은 땅입니다.

풀밭

0:20

여기는 달래 밭이네요.

풀밭

0:15

정말 식물은 쉼없이 자라고 있습니다.

풀밭

0:13

때가 되면 돋아나는 게 신기할 따름

풀밭

0:16

우단담배풀이라고 보신 적이 있으십니까?

풀밭

0:14

이 정도면 원추리 군락지라고 봐도 되지 않을까요?

풀밭

0:14

일부러 만들기도 힘든 부추밭입니다.

풀밭

0:16

베란다에 구근 세 친구가 저마다 기지개를 폅니다.

풀밭

0:14

바위솔 이 친구들 옮기면 잘 살까요?

풀밭

0:15

히아신스 꽃대는 계속 나오나봐요?

풀밭

0:16

본격 지렁이 분변토 감상 영상

풀밭

0:16

아시정구지라고 들어보셨습니까?

풀밭

0:14

천혜향 씨앗 이건 꼭 심어봐야 합니다.

풀밭

0:15

곰보배추 보물은 멀리 있는 게 아닙니다.

풀밭

0:14

창포는 수질정화 식물로도 이용합니다.

풀밭

0:14

섬초롱꽃도 나물로 먹을 수 있네요?

풀밭

0:15

켄터키블루그라스가 뿌리를 내렸습니다.

풀밭

0:15

파리지옥 꽃이 높은 곳에서 피는 이유?

풀밭

0:12

못 본 새 무스카리도 꽃을 피우기 시작합니다.

풀밭

0:17

야생 부추 밭인 줄 알았는데 야생 달래 밭이었네요.

풀밭

0:20

20년 이상 세대를 거듭한 부추?

풀밭

0:15

상사화라고 짐작만 합니다.

풀밭

0:16

찾으면 안 보이지만 주변에 꽤나 많은 별꽃입니다.

풀밭

0:18

장미허브가 죽어가는 이유는 공벌레가 아닙니다.

풀밭

0:15

회양목 꽃이 일찍 핍니다.

풀밭

0:12

작년에 꽃이 예쁘게 폈는데 올해는 뭔가 이상합니다?

풀밭

0:20

등나무는 유독 혹이 많습니다.

풀밭

0:14

씨앗을 받았다면 햇빛에 잘말려줍니다.

풀밭

0:14

광대나물은 조금만 날이 풀려도 꽃을 피웁니다.

풀밭

0:15

매일 물주는 걸 좋아하는 와이프에게 딱 맞는 식물입니다.

풀밭

0:19

한겨울에 파릇파릇 새 생명을 잉태하는 바위솔은

풀밭

0:15

꽈리는 주머니가 열매를 감싸는 조금 특별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풀밭

0:26

키우고 싶은 식물 옆에 잔디(켄블그) 씨앗을 뿌려 함께 키우는 걸 좋아합니다.

풀밭

0:13

꽈리는 버릴 것 없이 약용 식물입니다.

풀밭

0:15

히아신스 한 송이만으로 베란다가 달콤한 향기로 가득합니다.

풀밭

0:17

영지버섯 다음을 기약하면 지나치지만 아마도 다시는 못 볼 겁니다.

풀밭

0:14

긴잎끈끈이주걱을 키우다가 뿌리파리가 잘 사는 최적의 환경을 알게 되었습니다.

풀밭

0:18

운지버섯은 흔하지만 흔하지 않은 효능을 가진 버섯입니다.

풀밭

0:20

멀칭을 해줘서 싹이 난다고? 아닌 거 같은데...

풀밭

0:13

겨울 내내 버티고 살아가는 곰보배추는 효능까지 좋다고 합니다.

풀밭

0:13

이제서야 고무나무 새순이 나옵니다.

풀밭

0:16

추운 겨울 말라가는 식물 사이에 소담스럽게 자라는 식물이 있습니다.

풀밭

0:17

장미허브는 줄기만 심어도 자랄 수 있지 않을까요?

풀밭

0:16

바나나는 썩고 켄터키블루그라스는 미친듯이 자라고

풀밭

0:15

흰가루병은 장미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병해입니다.

풀밭

0:15

뿌리파리 그 안에서 살다가 흙으로 돌아가 양분이나 되어라.

풀밭

0:11

강추위에 부추 싹만 살아 남았습니다.

풀밭

0:15

이러다 식집사가 될 분위기인데...

풀밭

0:15

흙은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면 부드러워 집니다.

풀밭

0:16

작약은 꽃이 크고 탐스러워 함박꽃이라고도 합니다.

풀밭

0:28

바위솔 씨앗이라 생각한 걸(?) 파종해 봅니다.

풀밭

0:24

아마릴리스 너는 어떻게 겨울을 날 생각이지?

풀밭

0:14

혐기성 발효 과정이라고 봐야겠지요?

풀밭

0:18

너희들 내 화분에서 사는 건 어때?

풀밭

0:16

고추 싹이 올라온 이제부터가 중요한데 겨울이네요. ㅠㅠ

풀밭

0:15

화초고추가 다음 세대에 횃불을 남깁니다.

풀밭

0:13

이제 딸기는 철없는 과일입니다.

풀밭

0:17

제 경우는 고추 씨앗 발아까지 12일 걸리네요.

풀밭

0:15

참나리가 겨울나기 중입니다.

풀밭

0:15

하나둘 모으다가 사무실 눈치가 보일 정도가 되었습니다.

풀밭

0:16

쑥 잎 상태가 왜 이런지 아시는 분?

풀밭

0:13

고무나무가 하나 더 생겼습니다.

풀밭

0:26

장미허브 외목대 만들기를 시작했습니다.

풀밭

0:59

구근 크기의 두세배 정도 깊이로 심는 게 일반적입니다.

풀밭

0:16

우리집에서 10년을 산 미인을 소개합니다.

풀밭

0:12

깍지벌레 정말 큰 놈(?)만 잡아줍니다.

풀밭

0:13

갓이 야생에 적응을 잘 한 듯

풀밭

0:25

잘라낸 고무나무 잎과 줄기는 버리지 말고 물꽂이를 합니다.

풀밭

0:17

겨울에 고추 씨앗도 심어 봅니다.

풀밭

0:13

잘라낸 가지 단면에 딱풀을 발라줍니다.

풀밭

0:20

고무나무 가지치기를 합니다.

풀밭

0:14

대파 친구들은 반려 식물이 되어 버렸습니다.

풀밭

0:16

식물 복지(?)도 한번 생각해 볼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풀밭

0:17

백리향이 뿌리를 내리고 잘 삽니다.

풀밭

0:20

바나나 새싹보기 1회차는 처참한 실패로 막을 내립니다.

풀밭

0:17

추우니깐 잘 자랍니다.

풀밭

0:16

작은 화분에 많은 식물이 함께 사는 모습이 보고 싶어서

풀밭

0:16

이 친구는 훌륭한 머루가 될 거 같습니다.

풀밭

0:15

바나나 싹을 보신 분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

풀밭

0:14

씨앗을 뿌렸다면 기록을 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

풀밭

0:29

머루 누구나 쉽게 뿌리를 내릴 수 있습니다.

풀밭

0:55

바나나가 그냥 썩어 없어질 거 같지만 일단 따라 해봅니다.

풀밭

0:21

아마릴리스 꽃이 지면 꽃대 아랫 부분을 잘라줍니다.

풀밭

0:25

백리향을 지피식물로 선택했습니다.

풀밭

0:14

이 귀여운 생명체는 뭐지? ^^

풀밭

0:16

필요할 때 잘라 먹으려고 심어둡니다.

풀밭

0:20

식물에 해를 끼치지는 않지만 처음보면 기겁한다는 그 친구

풀밭

0:18

철쭉 화분에 있는 배설물의 주인은?

풀밭

0:26

무순은 특별한 것 없이 잘 자랍니다.

풀밭

0:17

비파나무는 겨울에 꽃을 피우고 여름에 열매를 맺습니다.

풀밭

0:17

하루하루 눈도장을 찍습니다.

풀밭

Next page  
Original source code / Modified source code Documentation
Released under the AGPLv3 on GitHub. View JavaScript license information. View privacy policy.
Services Forum Donate @ Tiekoetter.com Donate @ Invidious.io Current version: 2025.11.11-bd0177ef @ master
Contact: tinbox@tiekoett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