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2
BJ.1: A Complete Explanation of Objects and Classes! Stop being confused and listen!
쉬운코드
5:52
BJ.2 변수와 값! 개발의 기본 중의 기본이 되는 개념이죠~! 쉽게 설명합니다
10:32
BJ.3 Function!! A very simple explanation of functions, the most basic of development basics!
24:09
BJ.4: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Objects, and Memory! Using Java as an example, this inc...
0:33
백엔드 기초를 전체적으로 다지고 싶으신 분! 8년차 백엔드 개발자가 준비한 시리즈가 답이 될 수 있습니다!
21:43
BJ.5 프로세스, 스레드, 멀티태스킹, 멀티스레딩, 멀티프로세싱, 멀티프로그래밍까지 한 방에 깔끔하게 설명합니다!! 콘텐츠 퀄리티 만족하실 겁니다!
16:06
BJ.6 Context Switching Explained! From its meaning and types to why thread context switching is f...
11:38
BJ.7 explains the meaning of CPU bound and IO bound! We also provide tips for determining the num...
15:15
BJ.8 동기화(synchronization), 경쟁 조건(race condition), 임계 영역(critical section)을 자세하게 설명합니다
22:25
BJ.9: Spinlock, Mutex, and Semaphore: Explain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Mutex is ...
27:31
BJ.10 모니터가 어떻게 동기화에 사용되는지 아주 자세히 설명합니다! 자바에서 모니터는 어떤 모습인지도 설명하니 헷갈리시는 분들 꼭 보세요!
14:18
BJ.11 스택과 큐 설명! 참 쉽죠~~? 기술 문서 읽다가 큐 만났을 때 팁과 스택/큐와 관련된 에러들 그리고 해결책도 설명드려요!!
17:55
BJ.12 explains the concepts, differences, and use cases of priority queues and heaps! We also exp...
19:01
BJ.13 Deadlocks are fatal to programs T^T Let's take a look at when they occur and how to resolve...
16:18
BJ.14 OS 프로세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하는지 아시나요?? 자바 스레드 상태도 알려 드립니다! 상태를 알아야 프로그램 장애 원인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14:58
BJ.15 How does the CPU scheduler schedule processes?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preemptive and...
15:07
BJ.16 explains interrupts and system calls! It also covers user mode and kernel mode. It also exp...
22:41
BJ.17: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read types! Hardware threads, OS threads, native threads, ke...
14:54
BJ.18 Why use a thread pool? How do you use it effectively? This video will help you understand i...
20:43
BJ.19 explains block I/O vs. non-block I/O! This explanation focuses on socket I/O examples. I/O ...
15:29
BJ.20 Asynchronous programming, asynchronous I/O, asynchronous communication... Explaining the me...
11:28
BJ.21 배열(array)을 설명합니다~ 동적배열(dynamic array)과 연관배열(associative array)도 함께 설명합니다
21:24
BJ.22 explains lists. We'll cover the concepts and differences between array lists and linked lis...
22:59
BJ.23: A comprehensive overview of maps and hash tables, or hash maps! A very, very, very informa...
17:56
BJ.24 셋(set)과 해시 셋(hash set)의 핵심을 설명합니다! 리스트(list)와 셋의 차이, 파이썬의 Set vs 자바의 HashSet도 비교합니다
18:52
BJ.25 객체를 해시셋(hash set)에 넣으면 혹은 해시맵(hash map)의 key로 쓰면 어떻게 될까? 파이썬(python), 자바 예제로 설명합니다!!
24:52
BJ.26 불변 객체(immutable object)는 안정적인 개발에 도움이 됩니다! 불변 객체의 개념, 장점, 구현 방법을 자바 예제로 배워보아요
24:13
BJ.27 provides a comprehensive explanation of time complexity! It covers asymptotic notation, inc...
18:32
BJ.28 트리(tree) 구조의 기본 개념과 용어들을 설명합니다~ 이진 트리(binary tree)의 다양한 종류도 설명합니다 :)
24:08
BJ.29 이진탐색트리(binary search tree)를 설명합니다~ 트리를 순회하는 방법들, 이진탐색트리의 삽입/삭제/검색 동작도 설명합니당 :)
29:57
BJ.30 균형을 빡세게 유지하는 AVL 트리는 이진탐색트리의 단점을 어떻게 극복했을까요? AVL 트리의 동작방식과 장단점을 살펴봅니다 :)
29:14
BJ.31-1 We will look at the basic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red-black trees, and explain in...
40:08
BJ.31-2 레드블랙트리(red-black tree)의 삭제는 어떻게 동작할까요? 시간 복잡도와 AVL 트리와의 차이까지 설명합니다!
23:58
BJ.32 Explains the concept and operation of divide and conquer, and learns how divide and conquer...
32:48
BJ.33 Let's take a look at the concept of dynamic programming, which is frequently used in coding...
21:02
BJ.34 백엔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기본 개념을 설명합니다~ 중요한 기본 DB 용어들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23:04
BJ.35 Relational database, relation, primary key, foreign key, constraints concept
38:43
BJ.36 Learn SQL concepts and how to define a database using SQL. Learn about table creation, vari...
28:23
BJ.37 SQL로 DB에 데이터를 추가(insert)하고 수정(update)하고 삭제(delete)하는 방법을 배워봅니다. 쉽고 알찬 예제로 설명하니까 들러보세용 :)
25:58
BJ.38-1 Retrieving Data with SQL! Let's learn the basic syntax and related keywords for reading d...
25:57
BJ.38-2: Retrieving Data with SQL! Let's learn subqueries with various examples! We'll also cover...
12:10
BJ.38-3 SQL로 데이터 조회하기! NULL의 의미와 three-valued logic이 무엇인지 배워봅니다!
27:42
BJ.38-4 SQL로 데이터 조회하기! join의 의미와 여러 종류의 join들을 쉽게 정리해서 설명합니다! join을 사용한 예제도 있어요~ 들어보세용 :)
26:26
BJ.38-5 SQL로 데이터 조회하기! group by, aggregate function, order by를 설명합니다~!
21:30
BJ.39 SQL에서 stored function의 특징, 어떻게 사용하는지, 언제 사용하면 좋을지를 설명합니다~~ (stored procedure와는 다른 거예요)
18:35
BJ.40-1 SQL에서 stored procedure를 아시나요? 예제를 통해 프로시저의 동작 방식과 특징, stored function과의 차이를 살펴봅니다
29:20
BJ.40-2 재밌을 겁니다! stored procedure를 백엔드 실무에서 쓰기에 조심스러운 이유!! 백엔드 경험치를 압축해서 영상에 녹였습니다!! 만족하실거에요!!
20:22
BJ.41 SQL trigger!! Let's look at the meaning of triggers, simple examples, and precautions when ...
25:49
BJ.42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transaction)을 아십니까? 그리고 트랜잭션의 매우 중요한 속성들인 ACID를 아십니까? 모르신다면 들렀다 가시지요
24:03
BJ.43-1 concurrency control 기초 이론: schedule과 serializability 설명! 트랜잭션 isolation 보장을 위한 이론
14:53
BJ.43-2 concurrency control 기초 이론: recoverability. 트랜잭션들이 동시에 실행될 때 rollback이 발생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34:17
BJ.44 transaction isolation level 설명! isolation이 안될 때 나타날 수 있는 여러 현상들과 snapshot isolation도 설명합니다!
29:34
BJ.45 LOCK을 활용한 concurrency control 기법을 배워봅니다. 2PL(two-phase locking)도 같이 설명드려요~
20:52
BJ.46-1 DB MVCC 개념 설명합니다 ! MVCC가 각각의 isolation level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도 MySQL & postgreSQL 예제로 설명합니다
16:31
BJ.46-2 DB MVCC 이어서 설명합니다 ! MySQL & postgreSQL 예제와 함께 확인해 보세요 ! (feat. select ... for update)
18:33
BJ.47 What problems can arise if the DB table design is incorrect?
19:24
BJ.48 DB explains functional dependency (FD)! Let's go!!
19:29
BJ.49-1 DB 정규화(normalization)는 DB를 설계하는 공식적인 방법이죠~ 1부에서는 정규화 개념과 정규화 과정의 앞 부분인 1NF, 2NF를 설명합니다
16:39
BJ.49-2 DB 정규화(normalization) 2부입니다!! 3NF, BCNF와 2NF 참고 사항, 역정규화(denormalization)까지 설명합니다!!
31:43
BJ.50 DB 인덱스(DB index) !! 핵심만 모아서 설명합니다 !! (31분이 아깝지 않을 겁니다)
23:48
BJ.51 DB 파티셔닝? 샤딩? 레플리케이션? (partitioning? sharding? replication?)
36:48
BJ.52 DBCP(DB connection pool)의 개념부터 설정 방법까지! hikariCP와 MySQL을 예제로 설명합니다! 이거 잘 모르면 힘들..
30:26
BJ.53 NoSQL Explained!! Also explains how it differs from RDB!! Includes very simple examples of ...
35:14
BJ.54-1 B tree의 개념과 특징, 데이터 삽입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설명합니다! (DB 인덱스과 관련있는 자료 구조)
40:00
BJ.54-2 B tree 데이터 삭제 동작 방식을 설명합니다 (DB 인덱스과 관련있는 자료 구조)
35:45
BJ.54-3 B tree가 왜 DB 인덱스(index)로 사용되는지를 설명합니다
24:28
BJ.55 네트워크와 인터넷 개념 설명! 인터넷 동작 방식도 설명! ISP도 설명! 전체 큰 그림을 그리기에 딱 좋은 영상이죠 👍
24:37
BJ.56 프로토콜과 OSI 7 layer 설명! 네트워크의 기능들이 어떻게 구조화 돼서 동작하는지를 설명합니다! 👍
27:53
BJ.57 웹이라 불리는 World Wide Web의 개념과 발명 과정을 소개합니다👍 이걸 알면 웹과 인터넷, 웹과 http는 각각이 어떤 관계인지도 이해하게 됩니다~!
25:09
BJ.58-1 (Theory) explains the concepts of Socket, Port, and TCP connection as defined in the stan...
22:42
BJ.58-2 (실제편) 표준 스펙에서 정의된 개념과 차이가 있는 실제 소켓(Socket), 포트(Port) 개념을 소개합니다! 특히 소켓 식별 방식을 유심히 봐주세요!
25:04
BJ.59 소켓 식별 예제를 통해 segment datagram packet frame payload multiplexing demultiplexing 개념을 설명합니다!
18:46
BJ.60 byte-stream protocol vs message-oriented protoc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