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
멤버십 회원 가입 안내
백민 박상인TV
10:37
구도론 - 구도란 무엇인가? (문인화조화)
14:21
구도론 - 구도의 기본규율1: 포백
16:06
구도론 - 구도의 기본규율2: 주•보•파
12:15
구도론 - 구도의 기본규율3: 종횡(縱橫)
14:09
구도론 - 구도의 기본규율4: 주객(主客)
11:53
구도론 - 구도의 기본규율5: 개합(開合)
15:15
구도론 - 구도의 기본규율6: 허실(虛實)
12:26
구도론 - 구도의 기본규율7: 소밀(疎密)
14:23
구도론 - 구도의 기본 규율8 : 장로(藏露)
17:02
구도론 - 구도의 기본 규율(9): 정쇄(整碎)
15:20
구도론 - 구도의 기본 규율(10): 기정(奇正)
12:54
항상 보게 되는 구도형식(1): "之"자형 구도
17:28
항상 보게 되는 구도형식(2): "삼각형" 구도
13:14
항상 보게 되는 구도형식(3): "十"자형 구도
14:38
항상 보게 되는 구도형식(4): "工"자형 구도
12:51
항상 보게 되는 구도형식(5): 대각선 구도
15:42
항상 보게 되는 구도형식(6): 포물선 구도
14:16
항상 보게 되는 구도형식(7): 수(隨)형구도(마음 내키는 대로 형태를 잡아 가는 구도형식)
13:26
항상 보게 되는 구도형식(8): 만(滿)형 구도
12:38
항상 보게 되는 구도형식(9): 내렴식 구도
19:48
종이형태에 따른 구도(1): 수장방형(세로로 길게 네모진 형태)
19:01
종이형태에 따른 구도(2): 횡장방형(가로로 네모진 형태)
15:45
종이형태에 따른 구도(3): 정방형 (정사각 형태)
16:55
종이형태에 따른 구도(4): 원형 (둥근 형태)
23:01
종이형태에 따른 구도(5): 선형 (부채 형태)
15:53
종이형태에 따른 구도(6): 두루마리 형태(장형ㆍ수형)
16:08
구도의 병폐(화 ㆍ산 ㆍ난)
17:27
변ㆍ각의 처리 방법: 가장 금하는 구도는 무엇일까?
14:52
구도와 관지ㆍ인장의 관계
14:41
필묵론(문방사우)
20:56
필묵론 - 용필론(1)집필
17:45
필묵론 - 용필론(2)필봉
21:15
필묵론 - 용필론(3)운필
15:03
필묵론 - 용필론(4)필법: 구법(鉤法)
19:05
필묵론 - 용필론(4)필법: 준법(皴法)
13:28
필묵론 - 용필론(4)필법: 찰법(擦法)
15:21
필묵론 - 용필론(4)필법: 점법(點法)
22:09
필묵론 - 용필론(4)필법: 염법 (染法)
17:55
필묵론 - 용필론(4) 필법: 사화법(絲畵法)
21:13
필묵론 - 용묵론: 묵색(오색육채)
13:02
필묵론 - 용묵론: 묵법(1) 발묵법(潑墨法)
22:38
필묵론 - 용묵론: 묵법(2) 잠묵법 (蘸墨法)
22:47
필묵론 - 용묵론: 묵법(3) 파묵법 (破墨法)
14:54
필묵론 - 용묵론 : 묵법(4) 적묵법 (積墨法)
14:47
해음론(諧音論) : 가지와 개미가 경사스러운 일을 뜻하는 그림이라구!?
12:28
해음론: 기러기와 노인의 관계는?!
14:01
해음론: 사사건건 감이 문제!!
12:17
해음론: 개와 나무 그림이 집을 지킨다고??
12:01
해음론: 북에 개구리를 그린 이유??
12:09
해음론: 왜 아침 거미는 살려 주어야 할까?
12:14
해음론: 거북이를 귀하게 여긴 이유
13:22
해음론: 서성 왕희지의 루틴
12:52
해음론: 니들이 게를 알어
16:40
해음론: 계수나무의 진실
16:43
해음론: 청춘을 돌려다오
9:57
해음론: 세조와 고양이 이야기
7:32
해음론: 고추에 얽힌 이야기
9:01
해음론: 영정휘황(높은 관직에 오르길 염원하는 그림)
9:56
해음론: 은거환락(은퇴후 즐거움이 넘치길 바란다면)
8:32
해음론: 관거일품(최고의 관직에 오르길 바란다면)
9:03
해음론: 인풍대길(인품으로 매사 크게 길하길 바란다면)
11:40
해음론: 꿩 대신 닭
8:45
해음론: 까마귀와 효도
7:51
해음론: 기쁨이 두 배가 되려면??
해음론: 돈이 남아 돌길 바란다면
8:24
해음론: 자식 잘 되길 축원
10:21
해음론: 취직하길 바란다면
8:29
해음론: 승진에 승진을 담은 그림
7:22
해음론: 고관축수(굵고 길게)
7:18
해음론: 죽보평안(멘토와 멘티)
7:29
해음론: 조립자(라떼는 말이야)
7:46
해음론: 벼락치기는 그만!!
9:42
해음론: 병문안 선물 금지꽃!!
8:44
해음론: 망제의 넋과 고독
10:19
해음론: 사업 성공을 위한 그림
9:43
해음론: 영웅의 부재(세대차이!!)
8:55
해음론: 공무원의 도리(오덕)
9:59
해음론: 상춘은 봄의 정서
8:41
해음론: 스마일의 우리그림식 표현(희상미초)
9:28
해음론: 부부의 생일 축하그림(제미축수)
8:16
해음론: 매화꽃가지와 달(미수상락)
9:45
해음론: 풍류란 뭘까??
9:17
해음론: 북어 제사상에 왜??
9:00
해음론: 메기와 귤이 만나면??
8:22
작화법: 친구 무사히 잘 가시게
9:25
작화법: 안거낙업(安居樂業)
46:53
작화법: 매화(1) 꽃잎 그리기
23:32
작화법: 매화(2) 지간화법
20:31
작화법: 난초(1) 난초잎치기
21:28
작화법: 난초(2) 난꽃그리기
20:57
작화법: 국화(1) 꽃그리기
18:37
작화법: 국화(2) 잎사귀 그리기
13:07
작화법: 대나무(1) 죽간과 죽순그리기
15:16
작화법: 대나무(2)댓잎그리기
11:24
작화법: 매화그리기
9:02
작화법: 난초그리기
16:26
작화법: 국화그리기
작화법: 대나무그리기
21:35
작화법: 새 그리는 법 ( 새의 머리)
20:44
작화법: 새 그리는 법 (새의 구조)
27:31
작화법: 매미그리기
15:06
작화법: 참새그리기
27:20
작화법: 금붕어그리기
26:37
작화법: 금붕어의 종류
24:32
작화법: 비단잉어그리기
19:40
작화법: 잠자리그리기
23:31
작화법: 물총새그리기
22:25
작화법: 비단잉어와 금붕어
14:36
작화법: 백모란그리기
9:55
작화법: 붉은 모란 그리기
11:02
작화법: 잎사귀그리기
작화법: 모란 완성작 그리기
12:21
작화법: 모란꽃그리기
9:18
작화법: 모란잎사귀 그리기
작화법: 모란그리기완성작
20:18
작화법: 나비그리기
22:59
작화법: 여치 베짱이
작화법: 연꽃그리기
작화법: 연잎그리기
22:06
작화법: 연꽃그리기완성작
18:03
작화법: 백련꽃그리기
20:59
작화법: 백련꽃 완성작 그리기
작화법: 백합꽃 그리기
12:59
작화법: 백합 완성작
18:08
작화법: 원추리꽃 그리기
11:33
작화법: 원추리 완성작
24:20
작화법: 수선화 꽃그리기
16:45
작화법: 수선화 완성작
17:21
작화법: 여지(리치) 그리기
16:42
작화법: 여지(리치) 완성작
작화법: 장미기초
작화법: 장미 완성작
18:21
작화법: 비파 기초
16:19
작화법: 비파 완성작
16:20
작화법: 소나무 기초
17:35
작화법: 소나무 완성작
21:19
작화법: 국화꽃 종류별 특징
13:11
작화법: 국화 완성작
17:31
은행나무 기초
16:18
은행나무 완성작
작화법: 동백꽃 그리기
15:18
작화법: 동백 완성작
13:35
작화법: 감 그리기(기초)
14:32
작화법: 감 완성작(사사평안)
12:03
작화법: 갈대(기초)
작화법: 갈대 완성작(노안도)
작화법: 성탄화 기초(포인세티아)
21:32
작화법: 성탄화 완성작(포인세티아)
19:22
작화법: 토끼 기초
12:37
작화법: 토기 완성작(일두다신법)
22:30
작화법: 학그리기 (기초)
23:10
작화법: 학그리기(완성작)
16:59
작화법: 목련꽃 기초
12:25
작화법: 목련 완성작
17:11
작화법: 매화 꽃 (기초)
13:44
작화법:홍매와 백매( 홍악ㆍ녹악)
13:05
작화법: 난화 그리는 법(종류)
7:41
작화법: 난흥(蘭興)-난의 흥취를 그리다
21:44
작화법: 수대조 기초
14:03
작화법: 수대조 완성작
작화법: 국화 잘 그리려면??
8:48
작화법: 고정시판(高頂匙瓣)
17:50
작화법: 까치그리기(기초)
13:50
작화법: 까치그리기(작품)
14:19
작화법: 개구리 그리는 방법
9:31
작화법: 개구리의 한솥밥
18:48
작화법: 제비그리기(기초1)
18:46
작화법: 제비그리기(기초2)
22:39
작화법: 모란꽃 그리는 새로운 방법
13:01
작화법: 유채꽃 기초
11:34
작화법: 유채꽃 완성작
11:44
작화법: 개나리 기초
12:39
작화법: 개나리 작품
작화법: 영춘화 기초
12:07
작화법: 영춘화 작품
17:40
작화법: 매화•복사꽃•벚꽃의 차이
12:53
작화법: 복사꽃 가지의 이해
작화법: 복사꽃 완성
17:09
작화법: 벚꽃(櫻花)기초
19:35
작화법: 벚꽃(櫻花) 완성작
13:23
작화법: 진달래 기초
10:27
작화법: 진달래 완성작
15:17
작화법: 철쭉꽃 기초
19:23
작화법: 철쭉 작품
16:04
작화법: 사마귀그리기(기초)
작화법: 사마귀 작품
8:39
작화법: 복숭아 기초
10:39
작화법: 복숭아 작품
9:52
작화법: 등나무꽃 기초
작화법: 등나무꽃 작품
12:42
작화법: 흰등나무꽃 (白藤花)기초
16:13
작화법: 백등(白藤) 작품하는 법
10:04
작화법: 나팔꽃 기초
9:16
작화법: 나팔꽃 완성작
13:10
작화법: 들장미(찔레장미)기초
13:43
작화법: 들장미(찔레장미)완성작
18:27
작화법: 능소화 기초
8:42
작화법: 능소화 완성작
11:35
작화법: 수사해당 기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