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18
데이터 과학 기초: 1.1 데이터 과학이 뭐길래?
주니온TV 아무거나연구소
8:28
데이터 과학 기초: 2.1 데이터 과학을 위한 도구
18:03
데이터 과학 기초: 2.2 R로 해보는 데이터 과학
16:17
데이터 과학 기초: 2.3 Python으로 해보는 데이터 과학
28:46
데이터 과학 기초: 2.4 Orange로 해보는 데이터 과학
39:00
데이터 과학 기초: 3.1 탐색적 데이터 분석
33:29
데이터 과학 기초: 3.2 탐색적 데이터 시각화
19:26
데이터 과학 기초: 3.3 보스턴 하우징 데이터 탐색
43:24
데이터 과학 기초: 4.1 데이터 전처리
36:03
데이터 과학 기초: 4.2 이상치와 결측치 처리
18:40
데이터 과학 기초: 4.3 정규화와 차원 축소
30:10
데이터 과학 기초: 5.1 회귀분석과 선형회귀
58:12
데이터 과학 기초: 5.2 선형 회귀식의 학습 방법
16:45
데이터 과학 기초: 5.3 과제: 자전거 대여 수요 예측 (feat. by Kaggle)
39:51
데이터 과학 기초: 6.1 이진 분류와 로지스틱 회귀
43:45
데이터 과학 기초: 6.2 분류 모델의 평가와 교차 검증
30:00
데이터 과학 기초: 6.3 결정 트리와 k-최근접-이웃
29:03
데이터 과학 기초: 7.1 군집분석을 위한 유사도와 거리
42:06
데이터 과학 기초: 7.2 계층적 군집화와 실루엣 점수
39:35
데이터 과학 기초: 7.3 k-평균 군집화 알고리즘
28:20
데이터 과학 기초: 9.1 인공신경망의 이해
28:48
데이터 과학 기초: 9.2 퍼셉트론으로 만드는 예측기
37:38
데이터 과학 기초: 9.3 다층 퍼셉트론과 순전파
48:32
데이터 과학 기초: 10.1 다층 퍼셉트론과 딥 러닝
23:31
데이터 과학 기초: 10.2 개와 고양이의 이미지 분류
22:21
데이터 과학 기초: 10.3 MNIST 데이터셋과 필기체 인식
43:07
데이터 과학 기초: 11.1 비정형 데이터와 자연어 처리
34:08
데이터 과학 기초: 11.2 텍스트 임베딩과 단어 가방
16:49
데이터 과학 기초: 11.3 텍스트 분석과 텍스트 분류
31:21
데이터 과학 기초: 12.1 베이즈 정리와 나이브 베이지안
34:10
데이터 과학 기초: 12.2 스팸 메일 분류기 만들기
29:34
데이터 과학 기초: 12.3 오피니언 마이닝과 감성 분석
41:53
데이터 과학 기초: 13.1 그래프 이론과 복잡계 네트워크
39:36
데이터 과학 기초: 13.2 네트워크 중심성과 페이지랭크
25:20
데이터 과학 기초: 13.3 협동 네트워크의 중심성 분석
32:49
데이터 과학 기초: 14.1 네트워크의 유사도와 군집도
40:50
데이터 과학 기초: 14.2 커뮤니티 발견 알고리즘
27:43
데이터 과학 기초: 14.3 네트워크의 동역학 분석 (종강)